최근 수정 시각 : 2025-04-12 12:42:48

앨리게이터가아

엘리게이터가아에서 넘어옴
앨리게이터가아(악어동갈치)
Alligator gar
파일:앨리게이터가아.jpg
학명 Atractosteus spatula
Lacépède, 1803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조기어강(Actinopterygii)
레피소스테우스목(Lepisosteiformes)
레피소스테우스과(Lepisosteidae)
아트락토스테우스속(Atractosteus)
앨리게이터가아(A. spatula)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파일:ㅇㅇㄷㄱㅊ.jpg

1. 개요2. 특징3. 사육4. 현황5. 기타

1. 개요

가아의 일종으로, 현존하는 가아 중 최대종이다.

2. 특징

가아 중 가장 큰 종이며, 북미 담수어 중에서도 가장 큰 종이다. 성체 기준 몸길이는 보통 1.8m, 체중은 45kg이 넘는다. 공식적으로 기록된 가장 큰 개체는 2011년 2월 14일, 미시시피 강우각호에서 우연히 구물망에 잡힌 개체로, 몸길이 2.572m, 체중 148kg, 둘레 120cm였다.

서식지는 미국 남부와 멕시코타마울리파스베라크루스 북부다. 미국 북부에선 절멸되었고, 니카라과코스타리카에선 목격담만 있다. 적응력이 높아 저수지, 호수, 늪, 강, 기수역 등 가리지 않고 서식한다.

생긴 것처럼 당연히 육식성이며, 삼킬 수 있는 것이라면 다 먹는다. 주식은 소형 어류와 갑각류이나 이따금 수면에서 수영하는 새나 물가에 있는 포유류까지 공격해서 잡아먹는다. 디스커버리에서는 어린 악어를 잡아먹는 모습까지 찍었을 정도.

튼튼한 골격과 경린 덕분에 상당한 수준의 방어력을 가진다. 이들의 비늘엔 '가노인'이란 광물화 조직층이 있는데, 이 가노인은 치아의 법랑질과 강도가 유사하여 상당히 뚫기 어렵다. 일설에는 성어는 도끼로 찍어도 멀쩡할 정도라고 하며 현지에서는 지느러미 뒷쪽을 도끼로 쳐서 결을 따라 벗겨내는 방식으로 가공하여 식용으로 쓰인다. 물론 살만 먹으며 난소나 알은 맹독이 포함되어 있어 식용하지 않는다.

3. 사육

무섭게 생겼지만 그 위엄에 반해 애완용으로 기르는 사람들도 있다. 사실 외견만큼 난폭한 종은 아니며, 인간을 공격한 적도 없다고 한다. 입부터가 사람만큼 큰 생물을 해치기에 용이한 구조가 아니다. 물론 물리면 아프기야 하겠지만, 악어는 상중구조의 근육으로 턱의 문제점을 커버했지만 이 물고기는 그렇지 않다. 쉽게 말해서 악어는 이빨달린 프레스기고, 앨리게이터가아는 이빨달린 집게로 비유할 수 있을 것이다.
고대어 입문어종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나 절대 입문어종으로는 들여선 안 되는 어종이다. 낮은 가격, 수질에 구애받지 않음, 멋진 외관 등 여러 장점에 혹해 구매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최소한 이 글을 보는 사람들은 구매를 자제하길 바란다.
  • 매우 빠른 성장 속도
    동호인들 사이에서 밖에 나갔다 들어오면 커져있다(!) 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성장속도가 매우 빠르다. 치어를 키우더라도 반년이면 성인 남성의 허벅지만한(!) 떡대가 되어버린다. 먹잇값도 문제지만 분양이 힘들다는게 최고의 문제점. 대다수의 아쿠아리움에서는 포화상태인데다가, 개인 분양 또한 쉽지 않다. 수요가 공급에 비해 현저히 낮기에, 적지 않은 사람들이 방생을 빙자한 유기를 하게 된다.[1]
  • 매우 사나운 성격[2]
    사람을 일부러 공격하지는 않지만 다른 종류의 물고기들에겐 사나운 모습을 보여줘 동종 외 합사가 상당히 어렵다. 배가 고플 경우 돌변하는 성격이 문제가 되는데, 비슷한 크기라도 지느러미를 물어뜯기에 합사에 애로사항이 크다. 게다가 조금이라도 크기 차이가 나면 아로와나든 뭐든 다 먹어 버린다. 해외에서는 조금 더 큰 앨리게이터가아에게 무려 아시아아로와나를 잃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 수입 금지
    어찌보면 가장 큰 단점. 개인사육 목적의 수입이 금지되어 소수의 브리더가 국내에서 번식시키는 매물이 전부이다. 그러다보니 값비싼 희귀모프 위주로 시중에 풀리고, 그조차도 매물 자체가 극도로 적어 웃돈줘도 구하기 힘들다. 고로 사육할 생각이 있다면 다음 기회는 없다 생각하고 준비해야 한다.

4. 현황

대한민국에서는 강원특별자치도홍천군에 있는 연못에 서식하고 있다는 사실이 스펀지를 통해 알려지면서 관심을 받게 되었다. 네이버 검색창에 앨리게이터를 치면 악어가 아니라 이 물고기가 나올 정도.[3]

일본은 이미 무단 방사되어 강, 하천, 해자에서 가물치 정도의 크기만한 정도의 개체들이 가끔 목격되거나 잡히지만, 그중 나고야 성 해자에서 약 1.3m 정도 추정되는 앨리게이터가아가 생존해있다고 한다. 7년 전에 처음 목격되어 이리저리 포획을 시도하였지만 아직까지 포획하지 못하고 있다. 2018년 4월 23일에는 나고야 대학의 연못에서 몸길이 약 1.3m, 무게 14kg의 엘리게이터가아가 포획되기도 했다.[4]

한국과 일본에서는 엘리게이터가아의 수입을 전면 금지시켰다.

본 서식지인 미국에서는 백련어의 무분별한 개체수 증가를 막기 위해서 앨리게이터가아가 절멸된 북부 지역에 복원 사업을 진행 중이다.

5. 기타

무서운 외모와 크기로 인해 사람을 잡아먹는 물고기라는 오명이 씌워져서 이것을 빌미로 상당히 많은 수가 사냥당해 죽었었다. 하지만 River Monsters에서도 나오지만, 사람이 맨몸으로 앨리게이터가아에게 접근해도 물지 않으며 오히려 도망가는 물고기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영상

아쿠아스토리에 사육 가능한 물고기로 등장한다.

유튜버푸른상어가 기르는 물고기들 중 '흰둥이'가 이 종이다. 플래티넘[5] 돌연변이 개체라 원래 앨리게이터가아 보다 색이 밝은데 흰둥이는 플래티넘 엘리게이터 가아들 중에서도 유독 하얗다. 해당 유튜버가 키우는 수많은 엘리게이터 가아 중 따로 이름이 있는 개체인데, 이유는 성격도 사나운데 사고도 많이 일으켜서다. 그래도 자신과 같은 플래티넘모프 새끼들을 많이 낳아 효녀(?) 노릇을 톡톡히 했다.[6]


[1] 가아는 냉수에서 살아갈 수 있기 때문에 방생하면 적지 않은 확률로 생태계에 적응해 버린다. 배스는 중간 포식자이니 가물치를 푸는 방법으로 해결하고 있지만 앨리게이터가아는 가물치보다 몸집이 더 큰 물고기이기 때문에 오히려 가물치를 잡아먹는다.[2] 사실 사납다기보단 워낙 식탐이 강해서 합사어를 먹이로 보고 공격하는 경우. 사람을 공격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어종으로 근본적으로 자신보다 큰 대상은 거의 공격하지 않는다. 문제는 엘리게이터 가아의 크기가 민물고기 중 극소수를 제외하면 최상급에 달할 정도로 크다는 것.[3] 여담으로 해당 프로그램에서 1988년 3월 스리랑카에서 한 어부가 앨리게이터 가아에게 죽임을 당했다는 사연을 소개(영상의 8:37)하였는데 스리랑카에 자생하는 종이 아니다.[4] https://headlines.yahoo.co.jp/hl?a=20180424-00180400-nbnv-l23[5] 관상어계에서 플래티넘은 루시스틱 돌연변이를 말한다. 알비노와의 차이점은 보통 알비노 물고기는 미묘하게 노란색을 띄기도 하나 루시스틱은 새하얗고 눈도 정상이다.[6] 플래티넘 개체는 어떤 어종이든 기존 어종보다 훨씬 더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