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프라 배틀 시리즈의 주인공 | |||
| 프라모 쿄시로 | 모형전사 건프라 빌더즈 비기닝 G | 건담 빌드 파이터즈 | 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 |
| 쿄다 시로 | 이레이 하루 사카자키 켄타 노야마 리나 | 이오리 세이 레이지 | 카미키 세카이 코우사카 유우마 호시노 후미나 |
| 건담 빌드 다이버즈 | 건담 빌드 다이버즈 Re:RISE | 건담 빌드 리얼 | 건담 빌드 메타버스 |
| 미카미 리쿠 사라 히다카 유키오 야시로 모모카 나나세 코이치 아야메 | 쿠가 히로토 메이 카자미 파르비즈 프레디 | 스즈키 히로 시미즈 타쿠미 나리타 켄타로 나카마루 타이치 마츠모토 소타 | 호조 리오 우르츠키 세리아 |
| |
| アリーア・フォン・レイジ・アスナ | Arīa fon Reiji Asuna |
1. 개요
건담 빌드 파이터즈의 주인공 중 한 명. 성우는 코쿠류 사치[1] / 김율.[2]2. 특징
또 한 명의 주인공인 이오리 세이가 거리에서 만난 의문의 소년. 억지가 심하며, 제멋대로에 툭하면 힘으로 싸우려 드는 등, 일반 상식이 매우 부족한 막무가내 타입이다.[3] 그래도 본성이 나쁜 것은 아니며, 약자를 괴롭히는 것은 절대 지나치지 않는 등 따뜻한 일면도 있다. 온건한 성격의 이오리 세이와 지내며 이쪽도 인간적으로 많이 성장하게 되는 전형적인 열혈 주인공 타입.일반인같지 않은 언행과 더불어 세계적으로 유명한 스포츠인 건프라 배틀에 대해 전혀 모르는 모습을 보여 세이를 당황케 하지만, 문외한이라는 사실이 무색하게 첫 건프라 배틀부터 대단한 실력을 보여준다. 작중에서는 첫 배틀임에도 현란한 움직임을 보여주는 레이지의 조종 실력을 본 랄 씨가 뉴타입이라도 되는 것 아니냐며 감탄한다.
그리고 건프라 제작 능력은 뛰어나지만 배틀 실력이 부족한 세이와 건담이나 건프라에 대해선 아무것도 모르지만 배틀 실력 하나는 천재적인 레이지가 함께 팀을 맺고 건프라 배틀 세계대회를 목표로 싸워나가는 것이 빌드 파이터즈의 주요 줄거리.
사용 건프라는 빌드 스트라이크 건담, 빌드 건담 Mk-Ⅱ, 볼(3화), 빅토리 건담(5화), 스포일러. 사용·제작 건프라는 비기닝 건담.(16화, 20화, 23화)
출격대사는 빌드 스트라이크 건담 간다!(行くぜ!)[4]
2.1. 파이터 능력
| | |
| 3대명인을 상대로 승리하는 레이지 | |
레이지의 진가는 뛰어난 잠재능력으로 무려 건프라 배틀을 시작한지 반년도 채 되지 않아 세계 챔피언의 자리에 오른 그야말로 빌드 파이터즈 세계관 최고의 잠재력을 가진 캐릭터이며 이에 비견되는 잠재력을 지닌 캐릭터는 본인의 파트너인 이오리 세이뿐이다.
1화부터 건프라배틀은 해본적도 없음에도 사자키 스스무를 상대로 압승을 거두는 실력을 보여주었다.[5] 이후 랄의 주선으로 성사된 주점의 건프라 파이터들과 3대1로 싸워서 압도하기도 하였다.
14화 A파트에서 스리슬쩍 지나가는 능력 평가가 나왔는데 토탈명중률 94%, 토탈회피율 57%, 토탈방어율 81%, 지형대응평가 A-, 공전대응평가 A+로 상당히 뛰어난 능력치를 보여주었다.[6] 다만 타츠야에게 패배한 것도 그렇고 평균적으로 A- 수준인 레이지와 달리 건빌파 기준 상위권에 강자인 리카르도 펠리니의 평균 능력치가 올 S인걸 감안하면 해당 시점에도 재능과 실력이 뛰어난 파이터는 맞아도 백전노장인 상위권 파이터들에 비해 경험과 숙련도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수준까지는 아니었다고 볼 수 있다. 레이지가 본격적으로 상위권 강자로 올라서게 된 건 15화에서의 펠리니와의 혈투를 시작으로 세계구급 강자들과 직접 배틀을 하면서부터일 것이다.
그러나 세계대회에 여러 강자들과 맞붙으면서 상술한 잠재력과 겹치며 단기간에 엄청난 성장을 거듭, 결국 3대 명인인 유우키 타츠야를 이기며 제 7회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자이자 세계 챔피언에 등극하는 업적을 달성한다. 또한 OVA인 GM의 역습에선 세이에 달리 건프라 배틀실력을 더 쌓을 기회가 없었음에도 최종화 시점보다 성장한 세이와 치열하게 맞붙기도 하는 등 여전히 세계 챔피언 다운 실력을 보여주었다.
3. 작중 행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이지(건담 빌드 파이터즈)/작중 행적#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레이지(건담 빌드 파이터즈)/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기타
특이사항으로 배틀 중에 헤드 발칸을 굉장히 자주 사용한다. 아마도 연습 상대를 해주던 사람의 영향인 듯.14화 A파트에서 스리슬쩍 지나가는 능력 평가는 다음과 같다.
토탈명중률 94%
토탈회피율 57%
토탈방어율 81%
지형대응평가 A-
공전대응평가 A+
같이 나온 이오리 세이의 능력 평가는 다음과 같다.
토탈명중률 26%
토탈회피율 9%
토탈방어율 69%
지형대응평가 C
공전대응평가 B
은근히 제멋대로에 난폭해보이고 상식이 떨어지지만, 그래도 남들을 생각하는 마음이 충실하다. 처음에는 무개념 캐릭으로서의 지분을 지녔지만 점점 시간이 지날수록 개념이 심어지는 게 눈에 띈다.
여담으로 작중 두드러지게 묘사되지는 않지만 건프라 배틀뿐 아니라 실전싸움 실력도 엄청나다. 마시타 회장의 경비들을 모조리 쳐바르고 회장실까지 쳐들어갈 정도.
5. 둘러보기
|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 애니메이션 작품별 주인공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우주세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아무로 레이 | ||||
| | ||||
| 샤아 아즈나블 | 카미유 비단 | |||
| | ||||
| 쥬도 아시타 | ||||
| | ||||
| 아무로 레이 | ||||
| | ||||
| 알프레드 이즈루하 | 크리스티나 맥켄지 | 버나드 와이즈먼 | ||
| | ||||
| 시북 아노 | ||||
| | ||||
| 코우 우라키 | ||||
| | ||||
| 웃소 에빈 | ||||
| | ||||
| 시로 아마다 | ||||
| | ||||
| 버나지 링크스 | ||||
| | ||||
| 이오 플레밍 | 대릴 로렌츠 | |||
| | ||||
| 아를렛 알마쥬 | ||||
| | ||||
| 요나 바슈타 | ||||
| 파일:섬광의 하사웨이_로고_png.png 극장판 기동전사 건담: 섬광의 하사웨이 (2021) | ||||
| 하사웨이 노아(마프티 나비유 에린) | ||||
| | ||||
| 이리아 솔라리 | ||||
| | ||||
| 아마테 유즈리하 | ||||
| 극장판 기동전사 건담: 섬광의 하사웨이 키르케의 마녀 (2026) | ||||
| 하사웨이 노아(마프티 나비유 에린)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비우주세기 헤이세이 3연작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도몬 캇슈 | ||||
| | ||||
| 히이로 유이 | ||||
| | ||||
| 가로드 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비우주세기 신건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키라 야마토 | 아스란 자라 | |||
| | ||||
| 신 아스카 | 키라 야마토 | 아스란 자라 | ||
| | ||||
| 셀레네 맥그리프 | 스웬 칼 바얀 | |||
| | ||||
| 세츠나 F. 세이에이 | ||||
| | ||||
| 1부 플리트 아스노 | 2부 아세무 아스노 | 3부 키오 아스노 | ||
| | ||||
| 미카즈키 아우구스 | 올가 이츠카 | |||
| | ||||
| 슬레타 머큐리 | 미오리네 렘블랑 | |||
| | ||||
| 키라 야마토 | 라크스 클라인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토미노 오리지널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로랑 세아크 | ||||
| | ||||
| 벨리 제남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건프라 배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모형전사 건프라 빌더즈 비기닝 G (2009) | |||
| 이레이 하루 | ||||
| 파일:external/gundam-bf.net/logo_gbf.png 건담 빌드 파이터즈 (2013) | ||||
| 이오리 세이 | 레이지 | |||
| | ||||
| 카미키 세카이 | 코우사카 유우마 | 호시노 후미나 | ||
| | ||||
| 미카미 리쿠 | ||||
| 건담 빌드 다이버즈 리라이즈 (2019) | ||||
| 쿠가 히로토 | ||||
| 건담 빌드 메타버스 (2023) | ||||
| 호조 리오 | ||||
[1] 이후 철혈의 오펀스에서 아지 그루민을 맏았다.[2] 원작의 성우와 완전히 똑같은 음색에 원래 목소리인 것처럼 자연스레 대사를 뱉어 혼연일체의 평가를 받고 있다. 이후 김율 성우는 이 작품의 후속작 격인 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의 건프라 홍보 광고에서도 내레이션을 맡았다.[3] 빵집에서 가판대에 내놓고 파는 빵을 그냥 가져가는 건 줄 알고 먹기도 했다.[4] 파랑색은 이오리 세이가, 빨강색은 레이지가 외친다. 국내판에서는 '간다!'에서 '가자고!'로 바뀌었다.[5] 레이지한테 워낙에 털린데다가 비중도 별로 없어서 약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타츠야가 스스무를 실력있는 파이터라고 칭찬하였으며 애초에 세이에게 관심을 가진 것부터가 세이가 스스무를 이겼다고 착각해서인데다가 제 7회 세계선수권 대회 예선전에 준준결승까진 본인 스스로의 실력으로 올라간 만큼 적어도 건프라를 이제 막 시작한 초짜가 이길 수 있는 레벨은 절대 아니다.[6] 같이 나온 세이의 능력치[7]와는 굉장히 비교되는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