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5 18:34:39

쉴레이만 1세

술레이만 1세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사파비 왕조의 샤한샤}}}에 대한 내용은 [[솔레이만 1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솔레이만 1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솔레이만 1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사파비 왕조의 샤한샤: }}}[[솔레이만 1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솔레이만 1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솔레이만 1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22222, #c70125 20%, #c70125 80%, #b22222);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오스만 베이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오스만 1세 오르한 무라트 1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rowcolor=#fff> 오스만 술탄
<rowcolor=#fff>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무라트 1세 바예지트 1세 메흐메트 1세 무라트 2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rowcolor=#fff> 제7대 제6대2 제7대2
메흐메트 2세 무라트 2세 메흐메트 2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rowcolor=#fff> 오스만 파디샤
<rowcolor=#fff>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메흐메트 2세 바예지트 2세 셀림 1세 쉴레이만 1세
<rowcolor=#fff>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셀림 2세 무라트 3세 메흐메트 3세 아흐메트 1세
<rowcolor=#fff> 제15대 제16대 제15대2 제17대
무스타파 1세 오스만 2세 무스타파 1세 무라트 4세
<rowcolor=#fff>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이브라힘 메흐메트 4세 쉴레이만 2세 아흐메트 2세
<rowcolor=#fff>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무스타파 2세 아흐메트 3세 마흐무트 1세 오스만 3세
<rowcolor=#fff>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무스타파 3세 압뒬하미트 1세 셀림 3세 무스타파 4세
<rowcolor=#fff> 제30대 제31대 제32대 제33대
마흐무트 2세 압뒬메지트 1세 압뒬아지즈 무라트 5세
<rowcolor=#fff> 제34대 제35대 제36대
압뒬하미트 2세 메흐메트 5세 메흐메트 6세
}}}
오스만 군주 · 오스만 가문 당주
룸 술탄 · 오스만 군주 · 튀르키예 대통령
}}}}}} ||
쉴레이만 1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100 0%, #008000 20%, #008000 80%, #0061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정통 칼리파
#!if 대수="style=\"margin: 0 -10px; font: .74067em/1 monospace; font-family: revert\"", 칼리파="style=\"margin: 0 -10px; font: 1em/1 monospace; font-family: revert\""
#!wiki 
초대
#!wiki 
제2대
#!wiki 
제3대
#!wiki 
제4대
#!wiki 
제5대*
#!wiki 
[[아부 바크르]]
#!wiki 
[[우마르]]
#!wiki 
[[우스만]]
#!wiki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wiki 
[[하산 이븐 알리]]
#!wiki 
*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알리 등 이 4명만 정통 칼리파로 인정받으나, 하산도 잠깐 칼리파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포함한다.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keepall> 우마이야 왕조
<rowcolor=#000>
#!wiki 
초대
#!wiki 
제2대
#!wiki 
제3대
#!wiki 
제4대
#!wiki 
[[무아위야 1세]]
#!wiki 
[[야지드 1세]]
#!wiki 
[[무아위야 2세]]
#!wiki 
[[마르완 1세]]
<rowcolor=#000>
#!wiki 
제5대
#!wiki 
제6대
#!wiki 
제7대
#!wiki 
제8대
#!wiki 
[[아브드 알 말리크]]
#!wiki 
[[왈리드 1세]]
#!wiki 
[[술라이만]]
#!wiki 
[[우마르 2세]]
<rowcolor=#000>
#!wiki 
제9대
#!wiki 
제10대
#!wiki 
제11대
#!wiki 
제12대
#!wiki 
[[야지드 2세]]
#!wiki 
[[히샴]]
#!wiki 
[[왈리드 2세]]
#!wiki 
[[야지드 3세]]
<rowcolor=#000>
#!wiki 
제13대
#!wiki 
제14대
#!wiki 
[[이브라힘 이븐 알 왈리드]]
#!wiki 
[[마르완 2세]]
<keepall> 아바스 왕조
#!wiki 
초대
#!wiki 
제2대
#!wiki 
제3대
#!wiki 
제4대
#!wiki 
[[아부 알 아바스]]
#!wiki 
[[알 만수르]]
#!wiki 
[[알 마흐디(칼리파)|알 마흐디]]
#!wiki 
[[알 하디]]
#!wiki 
제5대
#!wiki 
제6대
#!wiki 
제7대
#!wiki 
제8대
#!wiki 
[[하룬 알 라시드]]
#!wiki 
[[알 아민]]
#!wiki 
[[알 마문]]
#!wiki 
[[알 무타심]]
#!wiki 
제9대
#!wiki 
제10대
#!wiki 
제11대
#!wiki 
제12대
#!wiki 
[[알 와시크]]
#!wiki 
[[알 무타와킬]]
#!wiki 
[[알 문타시르]]
#!wiki 
[[알 무스타인]]
#!wiki 
제13대
#!wiki 
제14대
#!wiki 
제15대
#!wiki 
제16대
#!wiki 
[[알 무타즈]]
#!wiki 
[[알 무흐타디]]
#!wiki 
[[알 무타미드]]
#!wiki 
[[알 무타디드]]
#!wiki 
제17대
#!wiki 
제18대
#!wiki 
제19대
#!wiki 
제20대
#!wiki 
[[알 무크타피]]
#!wiki 
[[알 무크타디르]]
#!wiki 
[[알 카히르]]
#!wiki 
[[알 라디]]
#!wiki 
제21대
#!wiki 
제22대
#!wiki 
제23대
#!wiki 
제24대
#!wiki 
[[알 무타키]]
#!wiki 
[[알 무스탁피]]
#!wiki 
[[알 무티]]
#!wiki 
[[알 타이]]
#!wiki 
제25대
#!wiki 
제26대
#!wiki 
제27대
#!wiki 
제28대
#!wiki 
[[알 카디르]]
#!wiki 
[[알 카임(아바스 왕조)|알 카임]]
#!wiki 
[[알 무크타디]]
#!wiki 
[[알 무스타지르]]
#!wiki 
제29대
#!wiki 
제30대
#!wiki 
제31대
#!wiki 
제32대
#!wiki 
[[알 무스타르시드]]
#!wiki 
[[알 라시드]]
#!wiki 
[[알 묵타피]]
#!wiki 
[[알 무스탄지드]]
#!wiki 
제33대
#!wiki 
제34대
#!wiki 
제35대
#!wiki 
제36대
#!wiki 
[[알 무스타디]]
#!wiki 
[[알 나시르]]
#!wiki 
[[알 자히르]]
#!wiki 
[[알 무스탄시르 1세]]
#!wiki 
제37대
#!wiki 
제38대
#!wiki 
제39대
#!wiki 
제40대
#!wiki 
[[알 무스타심]]
#!wiki 
[[알 무스탄시르 2세]]
#!wiki 
[[알 하킴 1세]]
#!wiki 
[[알 무스탁피 1세]]
#!wiki 
제41대
#!wiki 
제42대
#!wiki 
제43대
#!wiki 
제44대
#!wiki 
[[알 와시크 1세]]
#!wiki 
[[알 하킴 2세]]
#!wiki 
[[알 무타디드 1세]]
#!wiki 
[[알 무타와킬 1세]]
#!wiki 
제45대
#!wiki 
제44대(2차 재위)
#!wiki 
제46대
#!wiki 
제45대(2차 재위)
#!wiki 
[[알 무스타심(카이로 칼리파)|알 무스타심]]
#!wiki 
[[알 무타와킬 1세]]
#!wiki 
[[알 와시크 2세]]
#!wiki 
[[알 무스타심(카이로 칼리파)|알 무스타심]]
#!wiki 
제44대(3차 재위)
#!wiki 
제47대
#!wiki 
제48대
#!wiki 
제49대
#!wiki 
[[알 무타와킬 1세]]
#!wiki 
[[알 무스타인(카이로 칼리파)|알 무스타인]]
#!wiki 
[[알 무타디드 2세]]
#!wiki 
[[알 무스탁피 2세]]
#!wiki 
제50대
#!wiki 
제51대
#!wiki 
제52대
#!wiki 
제53대
#!wiki 
[[알 카임(카이로 칼리파)|알 카임]]
#!wiki 
[[알 무스탄지드(카이로 칼리파)|알 무스탄지드]]
#!wiki 
[[알 무타와킬 2세]]
#!wiki 
[[알 무스탐식]]
#!wiki 
제54대
#!wiki 
제53대(2차 재위)
#!wiki 
제54대(2차 재위)
#!wiki 
[[알 무타와킬 3세]]
#!wiki 
[[알 무스탐식]]
#!wiki 
[[알 무타와킬 3세]]
<keepall> 오스만 왕조
#!wiki 
초대
#!wiki 
제2대
#!wiki 
제3대
#!wiki 
제4대
#!wiki 
[[셀림 1세]]
#!wiki 
[[쉴레이만 1세]]
#!wiki 
[[셀림 2세]]
#!wiki 
[[무라트 3세]]
#!wiki 
제5대
#!wiki 
제6대
#!wiki 
제7대
#!wiki 
제8대
#!wiki 
[[메흐메트 3세]]
#!wiki 
[[아흐메트 1세]]
#!wiki 
[[무스타파 1세]]
#!wiki 
[[오스만 2세]]
#!wiki 
제7대(2차 재위)
#!wiki 
제9대
#!wiki 
제10대
#!wiki 
제11대
#!wiki 
[[무스타파 1세]]
#!wiki 
[[무라트 4세]]
#!wiki 
[[이브라힘(오스만)|이브라힘]]
#!wiki 
[[메흐메트 4세]]
#!wiki 
제12대
#!wiki 
제13대
#!wiki 
제14대
#!wiki 
제15대
#!wiki 
[[쉴레이만 2세]]
#!wiki 
[[아흐메트 2세]]
#!wiki 
[[무스타파 2세]]
#!wiki 
[[아흐메트 3세]]
#!wiki 
제16대
#!wiki 
제17대
#!wiki 
제18대
#!wiki 
제19대
#!wiki 
[[마흐무트 1세]]
#!wiki 
[[오스만 3세]]
#!wiki 
[[무스타파 3세]]
#!wiki 
[[압뒬하미트 1세]]
#!wiki 
제20대
#!wiki 
제21대
#!wiki 
제22대
#!wiki 
제23대
#!wiki 
[[셀림 3세]]
#!wiki 
[[무스타파 4세]]
#!wiki 
[[마흐무트 2세]]
#!wiki 
[[압뒬메지트 1세]]
#!wiki 
제24대
#!wiki 
제25대
#!wiki 
제26대
#!wiki 
제27대
#!wiki 
[[압뒬아지즈]]
#!wiki 
[[무라트 5세]]
#!wiki 
[[압뒬하미트 2세]]
#!wiki 
[[메흐메트 5세]]
#!wiki 
제28대
#!wiki 
제29대
#!wiki 
[[메흐메트 6세]]
#!wiki 
[[압뒬메지트 2세]]
}}}}}}}}}}}}
<colbgcolor=#c70125><colcolor=#ffffff>
오스만 제국 제4대 파디샤
쉴레이만 1세
سلطان سليمان اول[1] | I. Süleyman
파일:EmperorSuleiman.jpg
노년의 모습 ▼
파일:쉴레이만 1세.jpg
출생 1494년 11월 6일[2]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1453-1499).svg 오스만 제국 트라브존
(現 튀르키예 흑해 지방 트라브존주 트라브존)
사망 1566년 9월 7일 (향년 71세)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합스부르크 제국 헝가리 왕국 시게트바르
(現 헝가리 버러녀주 시게트바르구)
묘소 이스탄불 쉴레이마니예 모스크 쉴레이만 대제 영묘[3]
재위기간 오스만 파디샤[4]
1520년 9월 30일 ~ 1566년 9월 5일
서명 파일:쉴레이만 1세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70125><colcolor=#fff> 부모 아버지: 셀림 1세
어머니: 하프사 술탄 (출신: 크림 칸국 / 불명[5])
형제
자매
셰자데 오르한, 셰자데 무사, 셰자데 코르쿠트, 위베이스 파샤[6], 하티제 술탄, 베이한 술탄, 파트마 술탄, 샤 술탄, 하피제 술탄[7]
반려[8] 하세키 휘렘 술탄 (1533년 결혼[9] / 1558년 사별)
(출신: 폴란드 왕국 - 우크라이나)
후궁 마히데브란
(출신: 체르케스 / 알바니아 / 몬테네그로)
귈펨 하툰
(출신: 폴란드 왕국 - 폴란드인 / 알바니아 / 이탈리아[10])
자녀 셰자데 마흐무트, 셰자데 무스타파, 셰자데 무라트, 셰자데 메흐메트, 미흐리마 술탄, 셰자데 압둘라, 라지예 술탄, 셀림 2세, 셰자데 바예지트, 셰자데 지한기르
종교 이슬람 (수니파)
이명 튀르키예: 입법자 (Kanuni)
유럽: 장엄제 (The Magnificent)
전임자 셀림 1세 (9대)
후임자 셀림 2세 (11대) }}}}}}}}}

1. 개요

병사 없이는 권력이 없고, 돈 없이는 병사가 없으며, 국민의 행복 없이는 돈이 없고, 정의 없이는 국민이 없다.[11][12]
하늘 위에 단 하나의 신 밖에 없듯이, 땅 위에도 단 하나의 군주 밖에 없다.
이브라힘 파샤베네치아 공화국대사들에게.
오스만 제국의 제4대 파디샤로 제국의 최전성기를 이룩했다. 대한민국동아시아권에서도 대제(大帝)의 격으로 높여 부른다. 즉, '쉴레이만 대제'. 쉴레이만이라는 이름은 그 유명한 이스라엘 솔로몬튀르키예어 표기이다.[13]

로도스 섬헝가리 왕국을 정복하여 서유럽 국가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종교 개혁의 혼란기의 와중에 서유럽을 제패한 카를 5세라이벌로 대립하였다. 동시에 해군을 양성하였고 해적 출신의 하이르 앗 딘제독으로 고용, 프레베자 해전에서 베네치아 공화국 해군을 격파하여 향후 40여 년간 오스만 제국이 지중해의 패권을 쥐게 되었다. 다만 빈 공방전몰타 공방전에서는 패배하였다.

또한 그는 정복군주이면서도 문무에 조예가 깊고 예술을 애호하는 등 명군주의 면모를 모두 갖춘 술탄으로, 심지어 적인 합스부르크 가문대사조차도 "도리에 어긋나는 모든 것들을 맹렬히 공격하고 무너뜨린 인물"이라며 그를 찬양했다. 그리고 "작렬하는 천둥과 번개의 모습과도 같다."라고도 비유했다.[14]

2.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쉴레이만 1세/생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쉴레이만 1세/생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쉴레이만 1세/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가족

3.1. 자녀

4. 기타

  • 상당수의 오스만 술탄들과 마찬가지로 동성애 의혹[15]이 있는데 상대는 이브라힘 파샤. 이브라힘 파샤를 전례없이 총애한 것과 더불어 둘이 같은 침대에서 함께 자고 밤을 보낸 적이 많아, 역사가들은 쉴레이만을 "두 노예에 대한 사랑"으로 기억된다고 말한다. 이는 젊은 시절에는 아브라힘을, 나이를 먹어서는 휘렘을 아낀 것을 의미한다.[16]

5. 대중매체에서

5.1. 대항해시대 2

오스만 제국의 궁성에 가면 떡하니 반겨주는 바로 그 분. 실제로 훈남이니 뭐니하지만 작중에선 미중년은 고사하고 그냥 수염 덥수룩한 중년 아랍인의 전형으로 나온다. 영토 확장에 힘을 썼던 실제 모습을 재현하고자 했는지 동맹항 확장에 열을 올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런데 어째서 궁성에 돈이 쪼달리시는지는 모르겠다. 알 베자스로 플레이하면 금괴 몇 개 던져주고 몇 되지도 않는 전 세계의 동맹항을 수십개씩 늘려 오라고 명령을 내려서 유저의 혈압을 올리는 주범이다.물론 베자스 엔딩의 최종보스는 베네치아 은행장이다.

5.2. 도미네이션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미네이션즈/유니버시티/쉴레이만 대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미네이션즈/유니버시티/쉴레이만 대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도미네이션즈/유니버시티/쉴레이만 대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어쌔신 크리드 : 레벨레이션

파일:attachment/a0080834_50e6380a81c69.png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Prince_Suleiman_Artwork.jpg
인게임 설정화
영어판 성우는 1편의 말릭 알-사이프와 동일한 하즈 슐레이만.

왕이 되지 않은 시점이기에 왕자로 등장. 코스탄티니예로 향하는 배에 에치오와 함께 탑승하여 안면을 튼다. 이때 에치오에겐 자신이 학생이라고 소개했으며, 여성을 배려하는 신사적인 면모도 보였다. 근데 정작 만나고 나서 뜨는 데이터베이스엔 떡하니 쉴레이만 왕자라고 뜬다.

후에 템플러들이 왕자를 죽이려 한다는 정보를 듣고 잠입한 에치오와 조우. 이 때 에치오는 쉴레이만이 왕자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리고 쉴레이만에게 달려드는 자객을, 들고 있던 류트뽀개서 자객의 목에 쑤셔 박아 죽인다. 이 때 다시 인사를 하는데,
에치오 : 학자에 왕자까지. 안 해본 일이 무엇입니까?
쉴레이만 : 전 모르는 사람과는 이야기하지 않죠. 쉴레이만이라고 합니다.
에치오 : 에치오 아우디토레(라고 합니다).
이후 템플러의 습격을 저지하지 못한 예니체리[17]의 대장 타릭 바를레티를 감시하는 일을 에치오에게 맡긴다. 에치오와 함께 있는 장면을 아흐메트 왕자가 보자 "제 유럽 쪽 협력자입니다."라고 둘러대기도 한다. 마누일 팔레올로고스를 추적할 때는 배편을 마련해주기도 한다.

나중에는 대신전을 열겠다고 소피아를 볼모로 열쇠를 내놓으라고 협박하는 아흐메트 왕자의 말을 듣고 에치오와 세계의 통치자로써의 관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이때의 대화를 보면 그가 확실히 대제로써의 자질이 충분함을 볼 수 있다.
쉴레이만 : 아흐메트 왕자가 도착한 이후로 계속 미행했습니다만 이런 이야기를 들을줄은 몰랐군요.
에치오 :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쉴레이만 : 그는 성실한 자이지요. 하지만 그가 가지고 있는 템플러들의 환상은 위험합니다. 이는 진실의 눈앞에서 날아다닐 뿐이지요. 세계는 제각각의 색깔과 문양을 가진 양탄자입니다. 진정한 지도자는 이를 축하해야 하지요. 풀어헤치는게 아니라요.
에치오 : 그자는 '다름'이 가져오는 불협화음을 무서워하고 있습니다.
쉴레이만 : 그것이 우리가 살아남기 위해 법을 만드는 이유이지요. 모든 사람에게 평등하게 적용되는 카눈(Kanun, 법)을 말입니다.[18]
여담이지만 막판에 셀림 1세가 예니체리를 끌고 등장해선 "내 아들이 당신을 지지하지 않았다면 여기서 처리해버렸을 것이다."라고 한다.[19] 에치오는 이 말을 듣고 꼭지가 단단히 돌아서 칼을 뽑아 셀림을 찔러 버리려고 했지만 소피아가 말려서 관뒀다. 찔렀다간 에치오는 순식간에 수십 명의 예니체리와 싸워야 했을 것이다. 그런데 이 말은 반대도 되는데 저기서 에치오를 공격하지 않았기에 암살단이 가만히 있었던 것이기도 하다. 암살단은 고대부터 높으신 분들을 암살하는 게[20] 일이었다. 만약 셀림 1세가 에지오를 죽였다면 그의 통치는 1년도 가지 못했을 게 뻔하다. 감히 암살단의 멘토를 죽이고도 멀쩡히 살아있을 수 있을 리가 없다. 이를 볼 때 암살단이 얼마나 무서운 조직인지 제대로 몰랐던 것으로 보인다. 애초에 에치오가 얌전히 죽어줄 인물도 아니다. 근데 셀림 1세의 제위 기간은 1512년부터 1520년까지 꽤 짧다. 아마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암살단을 건드린 모양이다. [21]

5.4. 위대한 세기

파일:external/kdmedia.kanald.ro/media_139721095048735300.jpg

튀르키예에서 방영한 사극무흐테솀 유즈이을(=위대한 세기)에서 남주인공으로 등장한다. 다만 궁정내의 권력다툼과 하렘에만 포커스가 맞춰져 있다고 까는 쪽도 있고[22], 지금까지 사극가운데 고증과 시나리오 모두에 충실[23]하다고 보는 쪽으로 호불호가 극단적으로 갈린다. 한회분량이 1시간 반 이상이고 그런게 139개나 있다.[24]

무흐테솀 유즈이을에서 쉴레이만은 겉으로는 이 세계의 주인인 파디샤로 완전체 비슷하게 등장하지만, 인간적인 측면도 상당히 부각시키고 있으며 휘렘 술탄이 본래 알렉산드라라는 이름을 가진 우크라이나 출신의 노예였다가 타타르에게 잡혀서 노예로 팔리고, 크림 한국의 궁정에 있다가 오스만 제국 궁정으로 '진상' 되었다는 비극적 주인공이라는 설정으로 나온다. 그러다가 궁정 시종장의 "술탄은 세계를 지배하지만 그의 여인은 술탄을 지배한다."는 말을 듣고 회심, 술탄을 유혹하는 모습으로 등장.

5.5. 꿈의 물방울, 황금의 새장

파일:attachment/쉴레이만 1세/suleiyman.jpg

일본 만화 꿈의 물방울, 황금의 새장(夢の雫 黄金の鳥籠)에서는 금발의 미소년[25]으로 나온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5.6. 3000년의 기다림

총애하는 여인에게 놀아나 아들 무스타파를 살해하는 인물로 나온다.

5.7.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오스만의 군주로 출연한다. 성우는 한국판은 노민, 일본판은 마츠이 노리오. 본 게임에 등장하는 쉴레이만은 노년의 모습인데, 정작 본인은 젊었을 때 가장 잘 나갔었다는 게 문제다. 일까?[26]

캠페인 중에 직접적으로 등장하는 경우는 없지만, 일반 대전에서 플레이할 때에는 인공지능의 입담과 재치가 수준급이다. 이 외 사항은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오스만 참조.

5.8. 시드 마이어의 문명

문명 4 · 문명 5 · 문명 6, 문명: Reign of Power에서 오스만제국의 지도자로 출연한다. 4에서는 오스만을 대표하는 다른 황제인 메흐메트 2세와 함께 등장했으며 나머지는 단독 출연.

5.9. 유로파 유니버설리스 4

행정, 외교, 군사 순으로 6, 5, 6의 능력치를 지닌 군주로 나온다. 참고로 이 게임의 능력치 상한은 6이다.
[1] Sultân Süleymân-ı Evvel[2] 일부 자료에서는 1495년 4월 27일 출생으로 기록된다.[3] 장기는 헝가리 시게트바르구 투르베크(Turbék)에 별도로 안치.[4] 수니파칼리파 겸직.[5] 그동안 크림 칸국의 공주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연구를 통해 크림 칸국 공주가 아니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6] 참고: 일부 출처에서는 셀림 1세에게 어린 나이에 죽은 아들이 있었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일부에서는 이 자녀의 존재를 언급하지 않다. 이 주제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다.[7] 참고: 딸의 수는 9명이라고 한다.[8] 이전까지의 후궁(하툰)과 달리 타국의 황후에 준하는 하세키 술탄이 책봉되기 시작했으며 쉴레이만 1세는 하세키 휘렘 술탄과 결혼식을 했다.[9] 처음 만난것은 1520년대. 결혼 이전까지는 애첩이었다.[10] 이탈리아 출신설에 의하면 시칠리아 출신으로 추정된다.#1, #2[11] 군주에게 들려주는 조언의 책[12] 공자가 정치의 본질에 대해 병(군대), 식(먹이는 것, 돈), 신(믿음)을 들고 그 중에 버릴 것이 있다면 앞의 것 둘을 순서대로 버리라는 말을 남긴 것과 거의 같다. 민무신불립(民無信不立, 백성들의 믿음이 없으면 그 나라는 존립할 수 없다.)[13] 비슷한 예로 살라흐 앗 딘의 풀네임에 있는 유수프(Yusuf)와 아이유브(Ayyub)는 각각 요셉에서 왔다.[14] 여기에서의 대사는 오지에 기슬랭 드 뷔스베크(Ogier Ghiselin de Busbecq)이라는 사람인데, 그는 예니체리, 관료 선발 제도인 데브시르메 제도, 여러 종교가 한데 공존하는 모습 등에 감명을 받아 당시 기준으로 열렬한 오스만빠였던 사람이다. 그가 남긴 글 가운데에는, 언제고 닥쳐 올 오스만 제국의 맹공에 "우리가 얼마나 준비되어 있지 않는가는, 감히 말하고 싶지도 않다."라는 것도 있다. 물론 동시대인의 증언으로 가치가 있는 글이지만, 적당히 간추려 읽도록 하자.[15] 정확히는 양성애. 현대 이슬람의 동성애 박해 이미지와는 달리 오히려 오스만 제국은 남성 권력자의 소년애, 동성애가 당대의 서구권에 비해 더 잦았다. 이는 똑같이 튀르크계 무슬림이 지배계층이었던 무굴 제국에서도 보이는 현상이다.[16] Baer, Marc David (2021).[17] 예니체리들이 경비를 잘 못선다고 툴툴댄다.[18] 다만 여기서 말하는 카눈은 오직 형법만을 의미한다. 오스만 제국 시절 민사법은 각각 밀레트의 법(교회법, 이슬람법 등등)에 근거해 각 밀레트의 판관(성직자, 카디 등)이 판결을 내렸으며, 형법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적용되었다. 예를 들어 살인, 강간같은 중죄나 절도같은 경범죄, 역적질까지 처벌내용은 카눈에 근거에 똑같이 처벌했다.[19] 안 그래도 셀림 1세는 에치오가 자신의 친구이자 충신타릭 바를레티를 죽인 일로 분노한 상태였다.[20] 높으신 분들이면 그냥 찌르는 게 아니라, 아무리 성군이거나 명군이라도 템플 기사단을 등에 업거나 그와 비슷한 사상을 가진 높으신 분들을 찔렀다. 덧붙여서 암살단은 폭군이나 독재자들을 제거하기도 하는데, 이러면 99%는 템플 기사단과 연결되어 있다. 그 반대로 템플 기사단에게 비판적인, 암살단을 후원하거나 협력 관계인 지도자나 통치자에게 암살단은 호의를 보냈다. 물론 이 경우 99%는 최소한 실책은 터트리지 않거나 터트려도 적게 터트리는 성군이나 명군들이다.[21] 다만 실제 셀림의 사인(死因)으로는 오랫동안 원정을 하느라 말을 탄 것에서 유추하여 탄저병이 아니었나 생각되고 있다.[22] 일단 이슬람주의자가 많고, 그 외에 일부 밀덕이나 역덕들. '하렘물인 건 알겠지만 전쟁은 언제 하나효?' 라든가, '나의 대제님은 이렇지 않아!' 하는 의견이 있다. 하기사 한국으로 치면 광개토왕이나 세종대왕이 나오는데 백제와의 전쟁이나 훈민정음 창제 같은 건 대강대강 지나가면서 사랑 타령은 사료에 없는 내용까지 창작해 가며 길게 늘어놓는다면 어떤 소리를 듣겠는가. 세종과 소헌왕후의 장장 1시간짜리 사랑놀음을 다 보고 나니 겨우 김종서와 최윤덕이 나오더라, 그런데 20분만에 출연 끝이고 전투 신도 조선군 갑사는 어디론가 사라지고 개마무사가 앞장서서 돌격하고 뒤에서는 화랑이 화살을 쏘더라라는 게 "일부 밀덕이나 역덕들" 이 받는 느낌이다.[23] 다만 깐깐하게 따지자면, 시나리오는 몰라도 재현은 등장인물만 보더라도 잘못 묘사되거나 사료에 비추어 볼 때 각색한 부분이 많다.[24] 한국 방영분은 한회를 두개로 나누어 방영.[25] 두말할 필요 없는 고증오류. 다만, 쉴레이만과 휘렘의 아들로 쉴레이만의 뒤를 이은 셀림 2세는 슬라브계인 어머니의 유전자 탓에 정말로 금발이었다. 이 때문에 금발의 셀림(Sarı Selim)이라는 별명까지 얻었을 정도.[26] 이와 관련이 있는지 없는지는 모르지만, 영문 원판의 목소리는 외모에 비해 상당히 젊게 느껴지는 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