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22:12:16

서울특별시경찰청장

파일:치안정감계급장.svg
대한민국 경찰현직 치안정감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경찰청 차장 해양경찰청 차장
파일:대한민국 경찰청 휘장.svg 김수환 파일:해양경찰청 OI.svg 오상권
국가수사본부장 경찰대학장 중부지방해양경찰청장
파일:대한민국 경찰청 휘장.svg 우종수 파일:대한민국 경찰청 휘장.svg 파일:해양경찰청 OI.svg 김용진
서울경찰청장 경기남부경찰청장 인천경찰청장 부산경찰청장
파일:대한민국 경찰청 휘장.svg 조지호 파일:대한민국 경찰청 휘장.svg 홍기현 파일:대한민국 경찰청 휘장.svg 김희중 파일:대한민국 경찰청 휘장.svg 우철문
}}}}}}
※ 둘러보기: 현직 치안총감, 치안정감, 시·도경찰청장, 지방해양경찰청장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54a6><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54a6>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61aa,#ffc224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치안정감계급장.svg
초대
이인섭
제2대
김효은
제3대
여관구
제4대
이기태
제5대
박일용
제6대
안병욱
제7대
황용하
제8대
이필우
제9대
김광식
제10대
이무영
제11대
윤웅섭
제12대
박금성
제13대
이팔호
제14대
이대길
제15대
이근표
제16대
허준영
제17대
이기묵
제18대
한진호
제19대
홍영기
제20대
어청수
제21대
한진희
제22대
김석기
제23대
주상용
제24대
조현오
제25대
이성규
제26대
이강덕
제27대
김용판
제28대
김정석
제29대
강신명
제30대
구은수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31대
이상원
제32대
김정훈
제33대
이주민
제34대
원경환
제35대
이용표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36대
장하연
제37대
최관호
제38대
김광호
제39대
조지호
}}}}}}}}}}}}


1. 개요2. 역대 서울특별시경찰청장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서울特別市警察廳長 / 서울특별시경찰청장

서울특별시경찰청장은 치안정감(1급 상당)에 해당하는 시도경찰청장으로 서울특별시경찰청의 수장이다.

대한민국 수도의 경찰기관장인 만큼 강한 권력을 가지며, 경찰청장에 이은 경찰 수뇌부의 실질적 2인자라고 인정받는다.[1] 형식적 2인자로 경찰청 차장이 있지만 경찰청장 휘하의 경찰청 차장보다는 그 스스로가 기관장[2]인 서울경찰청장이 더 독립적인 권한을 가지고 권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3]

다만 박근혜 정부 중반 이후부터 일본 사례처럼 경찰청 차장이 주로 경찰청 장관/경찰청장으로 승진하고 서울청장은 경시총감과 같이 서울청장에서 커리어가 마무리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2. 역대 서울특별시경찰청장

||<table align=center><rowcolor=#fff><table bgcolor=#fff,#1f2023><table bordercolor=#0054a6><rowbgcolor=#0054a6>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입직경로 ||
노태우 정부 초대 이인섭(李寅燮) 1991년 08월 01일 ~ 1992년 07월 15일 학사 경사
2대 김효은(金孝恩) 1992년 07월 15일 ~ 1993년 03월 04일 간부후보생 14기
문민정부 3대 여관구(呂觀九) 1993년 03월 4일 ~ 1993년 09월 21일 간부후보생 14기
4대 이기태(李起泰) 1993년 09월 21일 ~ 1994년 07월 19일 간부후보생 14기
5대 박일용(朴一龍) 1994년 07월 19일 ~ 1994년 12월 26일 행정고시 10회
6대 안병욱(安秉郁) 1994년 12월 27일 ~ 1995년 12월 11일 경위 특채
7대 황용하(黃龍河) 1995년 12월 12일 ~ 1996년 12월 20일 행정고시 14회
8대 이필우(李必雨) 1996년 12월 23일 ~ 1998년 03월 14일 순경
국민의 정부 9대 김광식(金光植 ) 1998년 03월 15일 ~ 1999년 01월 11일 간부후보생 17기
10대 이무영(李茂永) 1999년 01월 12일 ~ 1999년 11월 15일 간부후보생 19기
11대 윤웅섭(尹雄燮) 1999년 11월 17일 ~ 2000년 12월 06일 간부후보생 16기
12대 박금성(朴金成) 2000년 12월 07일 ~ 2000년 12월 09일 간부후보생 19기
13대 이팔호(李八浩) 2000년 12월 12일 ~ 2001년 11월 09일 간부후보생 19기
14대 이대길(李大吉) 2001년 11월 12일 ~ 2003년 03월 28일 간부후보생 20기
참여정부 15대 이근표(李根杓) 2003년 03월 29일 ~ 2004년 01월 12일 간부후보생 22기
16대 허준영(許准榮) 2004년 01월 12일 ~ 2005년 01월 19일 외무고시 14회
17대 이기묵(李基默) 2005년 01월 21일 ~ 2005년 12월 30일 간부후보생 24기
18대 한진호(韓進澔) 2006년 02월 15일 ~ 2006년 11월 27일 간부후보생 24기
19대 홍영기(洪永基) 2006년 12월 04일 ~ 2007년 05월 25일 간부후보생 29기
20대 어청수(魚淸秀) 2007년 06월 01일 ~ 2008년 02월 11일 간부후보생 28기
이명박 정부 21대 한진희(韓珍熙) 2008년 03월 07일 ~ 2008년 07월 24일 간부후보생 27기
22대 김석기(金碩基) 2008년 07월 24일 ~ 2009년 02월 12일 간부후보생 27기
23대 주상용(朱相龍) 2009년 02월 13일 ~ 2010년 01월 07일 간부후보생 26기
24대 조현오(趙顯五) 2010년 01월 08일 ~ 2010년 08월 30일 외무고시 15회
25대 이성규(李聖揆) 2010년 09월 08일 ~ 2011년 11월 10일 간부후보생 28기
26대 이강덕(李康德) 2011년 11월 11일 ~ 2012년 05월 08일 경찰대학 1기
27대 김용판(金用判) 2012년 05월 10일 ~ 2013년 04월 01일 행정고시 30회
박근혜 정부 28대 김정석(金正錫) 2013년 04월 02일 ~ 2013년 12월 09일 사법시험 30회
29대 강신명(姜信明) 2013년 12월 10일 ~ 2014년 08월 22일 경찰대학 2기
30대 구은수(具恩洙) 2014년 09월 12일 ~ 2015년 12월 28일 간부후보생 33기
31대 이상원(李相元) 2015년 12월 28일 ~ 2016년 09월 23일 간부후보생 30기
32대 김정훈(金正勳) 2016년 09월 23일 ~ 2017년 12월 11일 경찰대학 2기
문재인 정부 33대 이주민(李柱旻) 2017년 12월 12일 ~ 2018년 12월 03일 경찰대학 1기
34대 원경환(原景煥) 2018년 12월 03일 ~ 2019년 07월 04일 간부후보생 37기
35대 이용표(李龍杓) 2019년 07월 04일 ~ 2020년 08월 07일 경찰대학 3기
36대 장하연(張夏淵) 2020년 08월 07일 ~ 2021년 07월 08일 경찰대학 5기
37대 최관호(金甫煥) 2021년 07월 09일 ~ 2022년 06월 09일 간부후보생 39기
윤석열 정부 38대 김광호(金廣鎬) 2022년 06월 10일 ~ 2024년 01월 26일 행정고시 35회
39대 조지호(趙志浩) 2024년 01월 26일 ~ 현재 경찰대학 6기

3. 관련 문서



[1] 관할 인구는 경기청이 더 많았고, 경기청이 경기남부청경기북부청으로 나뉜 이후에는 경기남부경찰청이 관할 인구 면에서도 서울청을 앞질렀지만, 서울은 경기도에는 없는 용산 대통령 집무실, 총리 공관, 국회, 대법원 등 국가핵심시설이 관할 구역 내에 있다.[2] 바꿔 말해, 본인의 직인이 있고 본인의 명의로 행정행위를 할 수 있는.[3] 대표적인 근거 두 가지가 있는데 경찰청장을 제일 많이 배출한 보직이 서울경찰청장이고 경찰청 차장에서 서울청장을 거쳐 경찰청장이 된 사례는 많지만 반대로 서울청장에서 경찰청 차장을 거쳐 경찰청장이 된 사례는 없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경찰청 차장이 한직은 아니다. 직전 보직이 차장이었던 경찰청장도 직전 보직이 서울청장이었던 경찰청장 못지 않게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