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4 22:08:48

비야레알 CF

비야레알 C.F.에서 넘어옴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2024-25 시즌에 대한 내용은 비야레알 CF/2024-25 시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스페인의 여자 프로축구 클럽에 대한 내용은 비야레알 CF 페메니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라리가 EA SPORTS 로고.svg
2024-25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555555,#aaaaaa
파일:UD 라스팔마스 로고.svg
파일:라요 바예카노 로고.svg
파일:CD 레가네스 로고.svg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파일:RCD 마요르카 로고.svg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파일:레알 바야돌리드 CF 엠블럼.svg
파일:발렌시아 CF 로고.svg
파일:레알 베티스 발롬피에 로고.svg
파일:비야레알 CF 로고.svg
파일:세비야 FC 로고.svg
파일:RC 셀타 데 비고 로고.svg
파일:레알 소시에다드 로고.svg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파일:아틀레틱 클루브 로고.svg
파일:데포르티보 알라베스 로고.svg
파일:CA 오사수나 로고.svg
파일:지로나 FC 로고.svg
파일:헤타페 CF 엠블럼.svg
파일:라리가 하이퍼모션 로고 화이트.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리가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세리에 A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프리메이라 리가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쉬페르리그파일:키프로스 국기.svg A 카티고리아스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수페르리가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프르바 HNL파일:그리스 국기.svg 수페르리가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리갓 하알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파르바 리가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리가 I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프르바 리가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프리미어 리그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수페르리가파일:지브롤터 기.svg 풋볼 리그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프르바 CFL
파일:안도라 국기.svg 프리메라 디비지오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e667><tablebgcolor=#ffe667> 파일:비야레알 CF 로고.svg비야레알 CF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e66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000
<colbgcolor=#005187><colcolor=#ffe667> 산하
스포츠단
축구 비야레알 CF | 비야레알 CF B | 비야레알 CF C | 비야레알 CF 페메니노
역사 역사 구단 역사 · 유니폼
역대 시즌 2024-25(리그)
역대
명승부
UEFA 유로파 리그/2020-21 시즌/결승전
콘텐츠 Yellow Submarine(노래)
정체성 연고지 스페인 | 발렌시아 지방 | 카스테욘 주 | 비야레알(도시) | 발렌시아어
더비 매치 파일:발렌시아 CF 로고.svg 데르비 데 라 코무니타트 | 파일:레반테 UD 로고.svg | 파일:CD 카스테욘 로고.svg | 파일:CD 부리아나 로고.svg
구단 시설 경기장 에스타디오 데 라 세라미카 | 미랄캄프
훈련 시설 시우다드 데포르티바 호세 마누엘 야네사
관련 인물 직책 역대 회장 | 역대 감독(1대~40대) | 역대 감독 | 역대 주장
명단 선수 명단선수 명단(간략) | B팀 선수 명단 | B팀 선수 명단(간략) | C팀 선수 명단 | C팀 선수 명단(간략)
기타 스폰서 조마유니폼 | 파메사 그룹
}}}}}}}}}}}}}}} ||
파일:비야레알 CF 로고.svg
비야레알[1] CF
Villarreal CF
<colbgcolor=#ffe667><colcolor=#005187> 정식 명칭 Villarreal Club de Fútbol, S.A.D.
별칭 Groguet (노랑)[2]
El Submarino Amarillo (노란 잠수함)[3]
약칭 VIL
창단 1923년 3월 10일 ([age(1923-03-10)]주년)[4]
소속 리그 라리가 (La Liga)
연고지 발렌시아 지방 카스테욘 주 비야레알
홈구장 에스타디오 데 라 세라미카
(Estadio De La Cerámica, 1923~ / 23,000석)
라이벌 레반테 UD
데르비 발렌시아노(Derby Valenciano)
발렌시아 CF
데르비 데 라 코무니타트(Derbi de la Comunitat)
CD 카스테욘
CD 부리아나
회장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로치 알폰소
(Fernando Roig Alfonso)[5]
감독 파일:스페인 국기.svg 마르셀리노
(Marcelino)
주장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울 알비올
(Raúl Albiol)
부주장 파일:스페인 국기.svg 마누 트리게로스
(Manu Trigueros)
UEFA랭킹 15위 출처
공식 웹사이트 파일:비야레알 CF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팬 커뮤니티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우승 기록
테르세라 디비시온 (4부)
(1회)
1969-70
UEFA 유로파 리그
(1회)
2020-21
UEFA 인터토토컵
(2회 / 최다 우승)
2003, 2004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아르나우트 단주마 (Arnaut Danjuma)
(2021년, From AFC 본머스, 2,350만 €)
최고 이적료 방출
[[콩고민주공화국|]][[틀:국기|]][[틀:국기|]]세드릭 바캄부 (Cédric Bakambu)
(2018년, To 베이징 궈안, 4,000만 €)
최근 영입
[[부르키나파소|]][[틀:국기|]][[틀:국기|]]베르트랑 트라오레 (Bertrand Traoré)
(2024년, From 아스톤 빌라 FC)
최근 방출
[[콜롬비아|]][[틀:국기|]][[틀:국기|]] 요한 모히카 (Johan Mojica)
(2023년, To CA 오사수나)
최다 출장
[[스페인|]][[틀:국기|]][[틀:국기|]] 마누 트리게로스 (Manu Trigueros)
(472경기, 2012~)
최다 득점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제라르 모레노 (Gerard Moreno)
(117득점, 2012~2015 / 2018~)
최다 도움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산티 카솔라 (Santi Cazorla)
(57도움, 2007~2011 / 2018~2020)

1. 개요2. 왜 노란 잠수함인가?3. 역사
3.1. 역대 감독3.2. 역대 리그 순위
4. 스태프 명단5. 선수 명단6. 기타7.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qldifpdkf.jpg
스페인 라리가의 프로 축구 클럽이다. 연고지는 카스테욘 주 비야레알. 홈구장은 23,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에스타디오 데 라 세라미카다. 흔히 비야레알 CF나 비야레알 등으로 불리며, '노란 잠수함' 이라는 별명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100년 넘는 역사에서 우승컵을 들어올린 게 1969-70 시즌 4부리그 우승컵과 UEFA 인터토토컵 공동 우승 2번이 전부이던 팀이지만, 90년대 1부 리그로 승격 후 2000년대 중반 리켈메를 필두로 라리가 2위, 3위를 각각 1회씩 기록했다. 2010년대 이후로는 라리가에서 꾸준히 중상위권 성적을 기록하고 있으며, 2020-21 시즌 결승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꺾고 팀 사상 첫 메이저 우승컵인 유로파 리그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2. 왜 노란 잠수함인가?

잦은 승격과 강등을 경험했기 때문에 비야레알이 노란 잠수함이라는 별명을 얻었다는 이야기는 잘못된 사실이다.

비야레알이 이 별명을 처음 얻게 된 것은 창단 20주년을 맞던 1967년이다. 당시 선수단과 팬들은 4부 리그(테르세라 디비시온)로 승격한 것을 자축하며 비틀즈의 "Yellow Submarine"을 스페인어로 번안해서 부른 것에서 따왔다.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멜로디에 절로 어깨가 들썩일 만큼 신명나는 리듬이다. 발렌시아 자치주에 속한 비야레알의 연고지 카스테욘의 작은 도시 비야레알은 바닷가에 자리잡고 있다. 게다가 유니폼 색상이 노란색이었기 때문에 비야레알 팬들은 이 노래를 좋아했다. 비틀즈의 위엄 , 링고 스타가 좋아합니다

비야레알의 유니폼이 노란색이 된 이유는, 1947년 창단 당시 리그 경기 출전에 앞서 빠듯한 일정 속에 구할 수 있었던 유니폼의 천이 노란색 뿐이었기 때문이다. 역사의 운명을 우연이 만든다는 이야기는 비야레알의 경우 정확히 들어맞는다. 1967년에 생긴 비야레알의 별명은 이후 팀의 행보와 그럴싸하게 어울렸다.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비야레알 CF/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e667><tablebgcolor=#ffe667> 파일:비야레알 CF 로고.svg비야레알 CF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e66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2년 ~ 현재
41대
벨라스케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42대
마르셀리노
파일:스페인 국기.svg
43대
에스크리바
파일:스페인 국기.svg
44대
카예하
파일:스페인 국기.svg
45대
플라사
파일:스페인 국기.svg
46대
카예하
파일:스페인 국기.svg
47대
에메리
파일:스페인 국기.svg
48대
세티엔
파일:스페인 국기.svg
49대
파체타
파일:스페인 국기.svg
50대
마르셀리노
파일:스페인 국기.svg
◀ 비야레알 CF 감독(1대~40대)
}}}}}}}}}}}} ||

3.2. 역대 리그 순위

파일:비야레알 CF 로고.svg
역대 리그 순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즌 리그 순위
1931-32 5 세군다 레히오날 5
1932-33 정보 없음
1933-34
1934-35 4 프리메라 레히오날 3
1935-36 4 프리메라 레히오날 1
1936-37 스페인 내전으로 인한 중단
1937-38
1938-39
1939-40 4 프리메라 레히오날 ?
1940-41 5 세군다 레히오날 ?
1941-42 5 세군다 레히오날 ?
1942-43 정보 없음
1943-44
1944-45
1945-46
1946-47
1947-48 5 세군다 레히오날 ?
1948-49 5 세군다 레히오날 ?
1949-50 5 세군다 레히오날 1
1950-51 5 세군다 레히오날 1
1951-52 4 프리메라 레히오날 7
1952-53 4 프리메라 레히오날 4
1953-54 4 프리메라 레히오날 2
1954-55 4 프리메라 레히오날 2
1955-56 4 프리메라 레히오날 1
1956-57 3 테르세라 디비시온 8
1957-58 3 테르세라 디비시온 5
1958-59 3 테르세라 디비시온 6
1959-60 3 테르세라 디비시온 12
1960-61 3 테르세라 디비시온 14
1961-62 4 프리메라 레히오날 14
1962-63 4 프리메라 레히오날 15
1963-64 4 프리메라 레히오날 6
1964-65 4 프리메라 레히오날 3
1965-66 4 프리메라 레히오날 3
1966-67 4 프리메라 레히오날 1
1967-68 3 테르세라 디비시온 3
1968-69 3 테르세라 디비시온 9
1969-70 3 테르세라 디비시온 1
1970-71 2 세군다 디비시온 16
1971-72 2 세군다 디비시온 17
1972-73 3 테르세라 디비시온 12
1973-74 3 테르세라 디비시온 12
1974-75 3 테르세라 디비시온 8
1975-76 3 테르세라 디비시온 13
1976-77 4 레히오날 프레페렌테 노르테 2
1977-78 4 테르세라 디비시온 15
1978-79 4 테르세라 디비시온 13
1979-80 4 테르세라 디비시온 9
1980-81 4 테르세라 디비시온 16
1981-82 4 테르세라 디비시온 7
1982-83 4 테르세라 디비시온 14
1983-84 4 테르세라 디비시온 13
1984-85 4 테르세라 디비시온 14
1985-86 4 테르세라 디비시온 6
1986-87 4 테르세라 디비시온 3
1987-88 3 세군다 디비시온 B 2
1988-89 3 세군다 디비시온 B 4
1989-90 3 세군다 디비시온 B 18
1990-91 4 테르세라 디비시온 2
1991-92 3 세군다 디비시온 B 2
1992-93 2 세군다 디비시온 13
1993-94 2 세군다 디비시온 16
1994-95 2 세군다 디비시온 10
1995-96 2 세군다 디비시온 15
1996-97 2 세군다 디비시온 10
1997-98 2 세군다 디비시온 4
1998-99 1 프리메라 디비시온 18
1999-00 2 세군다 디비시온 3
2000-01 1 프리메라 디비시온 7
2001-02 1 프리메라 디비시온 15
2002-03 1 프리메라 디비시온 15
2003-04 1 프리메라 디비시온 8
2004-05 1 프리메라 디비시온 3
2005-06 1 프리메라 디비시온 7
2006-07 1 프리메라 디비시온 5
2007-08 1 프리메라 디비시온 2
2008-09 1 프리메라 디비시온 5
2009-10 1 프리메라 디비시온 7
2010-11 1 프리메라 디비시온 4
2011-12 1 프리메라 디비시온 18
2012-13 2 세군다 디비시온 2
2013-14 1 프리메라 디비시온 6
2014-15 1 프리메라 디비시온 6
2015-16 1 프리메라 디비시온 4
2016-17 1 프리메라 디비시온 5
2017-18 1 프리메라 디비시온 5
2018-19 1 프리메라 디비시온 14
2019-20 1 프리메라 디비시온 5
2020-21 1 프리메라 디비시온 7
2021-22 1 프리메라 디비시온 7
2022-23 1 프리메라 디비시온 5
}}}}}}}}} ||

4. 스태프 명단


파일:비야레알 CF 로고.svg
비야레알 CF 2024-25 시즌 스태프[주의]
{{{#ffe66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보드진
직책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회장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로치 알폰소 Fernando Roig Alfonso
최고경영자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르난도 로치 네게롤레스 Fernando Roig Negueroles
고문 파일:스페인 국기.svg 마누엘 요르카 마세트 Manuel Llorca Maset
고문 파일:스페인 국기.svg 마누엘 굼바우 벨문트 Manuel Gumbau Bellmunt
고문 파일:스페인 국기.svg 마누엘 사리온 카마냐스 Manuel Sarrión Camañas
고문 파일:스페인 국기.svg 미겔 페레스 페레르 Miguel Pérez Ferrer
고문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몬 마르코 보디 Ramón Marco Bodí
고문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드로 요프 가르시아 Pedro Llop García
고문 파일:스페인 국기.svg 엘레나 로치 네게롤레스 Elena Roig Negueroles
고문 파일:스페인 국기.svg 살바도르 텐 텐 Salvador Ten Ten
고문 파일:스페인 국기.svg 후안 메초 세가라 Juan Mechó Segarra
고문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아킨 바예스테르 아구트 Joaquín Ballester Agut
고문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세 시프레 네보트 José Cifre Nebot
고문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스쿠알 이바녜스 보디 Pascual Ibáñez Bodí
고문 파일:스페인 국기.svg 루이스 에스페호 그리마 Luis Espejo Grima
단장 파일:스페인 국기.svg 미겔 앙헬 테나 Miguel Ángel Tena
최고 재무 책임자 파일:스페인 국기.svg 알바로 에스테소 마소 Alvaro Esteso Massó
조직 및 관리 총괄 이사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데리코 페르난데스-마르토스 Federico Alcácer Fernández-Martos
시설 및 유지 관리 이사 파일:스페인 국기.svg 비센테 알푸엔테 메야도 Vicente Alpuente Mellado
코칭 스태프
직책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헤드 코치 파일:스페인 국기.svg 마르셀리노 Marcelino
수석 코치 파일:스페인 국기.svg 루벤 우리아 Rubén Uría
체력 코치 파일:스페인 국기.svg 이스마엘 페르난데스 Ismael Fernández
체력 코치 파일:스페인 국기.svg 마리오 세가라 Mario Segarra
분석가 파일:스페인 국기.svg 브루노 우리아 Bruno Uría
분석가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블로 만사네트 Pablo Manzanet
기술 지원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페 알카이데 Pepe Alcaide
기술 지원 파일:스페인 국기.svg 다비드 푸스테르 David Fuster
기술 지원 파일:스페인 국기.svg 세르히오 가르시아 Sergio García
골키퍼 코치 파일:스페인 국기.svg 마르크 라미레스 Marc Ramírez
대변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시스코 나달 Xisco Nadal
의료 책임자 파일:스페인 국기.svg 엑토르 우소 Héctor Usó
의사 파일:스페인 국기.svg 시몬 부에노 Simón Bueno
간호사 파일:스페인 국기.svg 세르히오 브로세뇨 Sergio Broceño
물리치료사 파일:스페인 국기.svg 주제프 로체라 Josep Rochera
물리치료사 파일:스페인 국기.svg 나초 포르나스 Nacho Fornás
물리치료사 파일:스페인 국기.svg 엑토르 가르시아 Héctor García
물리치료사 파일:스페인 국기.svg 페란 로메로 Ferran Romero
물리치료사 파일:스페인 국기.svg 악셀 티라도 Axel Tirado
물리치료사 파일:스페인 국기.svg 주제프 카바예로 Josep Caballero
물리치료사 파일:스페인 국기.svg 루이스 바뇨스 Luis Baños
재활 체력 코치 파일:스페인 국기.svg 앙헬 토레스 Ángel Torres
재활 체력 코치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드리안 벨트란 Adrián Beltrán
재활 체력 코치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세 루이스 비야로야 José Luis Villarroya
재활 체력 코치 파일:스페인 국기.svg 알베르토 토레스 Alberto Torres
안마 시술사 파일:스페인 국기.svg 후안 에르난데스 Juan Hernández
장비 관리자 파일:스페인 국기.svg 호르헤 가리도 Jorge Garrido
장비 관리자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드리안 오르텔스 Adrián Ortells
현장 대변인 파일:스페인 국기.svg 루이스 히메네스 Luis Jiménez
<colbgcolor=#ffe667> 구단 정보
회장: 페르난도 로치 알폰소 감독: 마르셀리노 / 홈 구장: 에스타디오 데 라 세라미카
출처: 공식 홈페이지,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6월 4일
}}}}}}}}} ||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5. 선수 명단

파일:비야레알 CF 로고.svg
비야레알 CF 2023-24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e66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비야레알 CF 2023-24 시즌 스쿼드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신체조건 비고
2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DF 제르손 모스케라 Yerson Mosquera 2001.05.02 ([age(2001-05-02)]세) 187cm, 82kg [1]
3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라울 알비올 Raúl Albiol 1985.09.04 ([age(1985-09-04)]세) 190cm, 82kg 주장
4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산티 코메사냐 Santi Comesaña 1996.10.05. ([age(1996-10-05)]세) 184cm, 75kg
5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호르헤 쿠엔카 Jorge Cuenca 1999.11.17 ([age(1999-11-17)]세) 190cm, 75kg
7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제라르 모레노 Gerard Moreno 1992.04.07 ([age(1992-04-07)]세) 180cm, 77kg 3주장
8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DF 후안 포이스 Juan Foyth 1998.01.12 ([age(1998-01-12)]세) 187cm, 75kg
9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W 곤살루 게드스 Gonçalo Guedes 1996.11.29 ([age(1996-11-29)]세) 179cm, 74kg [2]
10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다니 파레호 Dani Parejo 1989.04.16 ([age(1989-04-16)]세) 182cm, 74kg 4주장
11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FW 알렉산데르 쇠를로트 Alexander Sørloth 1995.12.05 ([age(1995-12-05)]세) 195cm, 94kg
12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DF 에릭 바이 Eric Bailly 1994.04.12 ([age(1994-04-12)]세) 187cm, 77kg
13 파일:덴마크 국기.svg GK 필립 요르겐센 Filip Jörgensen 2002.04.16 ([age(2002-04-16)]세) 190cm, 77kg
14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마누 트리게로스 Manu Trigueros 1991.10.17 ([age(1991-10-17)]세) 178cm, 75kg 부주장
16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알렉스 바에나 Álex Baena 2001.07.20 ([age(2001-07-20)]세) 174cm, 69kg
17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키코 페메니아 Kiko Femenía 1991.02.02 ([age(1991-02-02)]세) 171cm, 61kg
20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라몬 테라츠 Ramón Terrats 2000.10.18 ([age(2000-10-18)]세) 181cm, 70kg
21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예레미 피노 Yéremi Pino 2002.10.20 ([age(2002-10-20)]세) 172cm, 65kg
22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데니스 수아레스 Denis Suárez 1994.01.06 ([age(1994-01-06)]세) 176cm, 69kg
23 파일:알제리 국기.svg DF 아이사 만디 Aïssa Mandi 1991.10.22 ([age(1991-10-22)]세) 184cm, 78kg
24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알폰소 페드라사 Alfonso Pedraza 1996.04.09 ([age(1996-04-09)]세) 184cm, 73kg
25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FW 베르트랑 트라오레 Bertrand Traore 1995.09.06 ([age(1995-09-06)]세) 181cm, 71kg
26 파일:스페인 국기.svg DF 아드리아 알티미라 Adrià Altimira 2001.03.28 ([age(2001-03-28)]세) 170cm, 62kg
27 파일:모로코 국기.svg FW 일리아스 아호마시 Ilias Akhomach 2004.04.16 ([age(2004-04-16)]) 175cm, -kg
<colbgcolor=#ffe667> 구단 정보
감독: 마르셀리노 / 홈 구장: 에스타디오 데 라 세라미카
출처: 공식 홈페이지,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월 23일

}}}}}}}}}}}}

6. 기타

  • 2018년 오병이어 축구교실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2020년 비야레알 한국 아카데미를 설립하고 유망주 수급에 적극적으로 뛰어들 계획이다. #
  • 리저브 팀인 비야레알 CF B안준혁 선수가 소속되어 있었으나 2022년을 마지막으로 결별했다. #
  • 비야레알이 강호로 우뚝 서게 하는데 공헌한 일등 공신인 페르난도 로치 회장은 스페인 언론 매체 'Agencia EFA' 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이 비야레알에서 이뤄낸 성공 비결은 성적과 함께 팀의 현실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운영을 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가 여기서 말한 현실은 바로 재정 능력이다. 로치는 지난 몇 년간 비야레알은 분명 좋은 성적을 거둘 때가 있었고 자신도 무리를 해서라도 거액에 좋은 선수를 영입하면 이에 맞는 성적을 거둘 것이라는 생각도 했지만 그때마다 머리는 차가워야 한다고 다짐했다.

7.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0> 파일:UEFA 유로파 리그 로고 화이트.svgUEFA 유로파 리그
우승 클럽
}}}
{{{#!wiki style="color:#000;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순서 우승팀 국가 첫 우승연도 우승 횟수
1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토트넘 홋스퍼 FC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72년
2회
2 파일:리버풀 FC 로고.svg 리버풀 FC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73년
3회
3 파일:페예노르트 로테르담 로고.sv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974년
2회
4 파일: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로고.svg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파일:독일 국기.svg 1975년
2회
5 파일:유벤투스 FC 로고(2004~2017).svg 유벤투스 FC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77년
3회
6 파일:PSV 에인트호번 로고.svg PSV 에인트호번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978년
1회
7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파일:독일 국기.svg 1980년
2회
8 파일:입스위치 타운 FC 로고.svg 입스위치 타운 FC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81년
1회
9 파일:IFK 예테보리 로고.svg IFK 예테보리 파일:스웨덴 국기.svg 1982년
2회
10 파일:RSC 안데를레흐트 로고.svg RSC 안데를레흐트 파일:벨기에 국기.svg 1983년
1회
11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레알 마드리드 CF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5년
2회
12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바이어 04 레버쿠젠 파일:독일 국기.svg 1988년
1회
13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 SSC 나폴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89년
1회
14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1년
3회
15 파일:AFC 아약스 로고(3성).svg AFC 아약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992년
1회
16 파일:파르마 FC 로고.svg 파르마 FC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5년
2회
17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FC 바이에른 뮌헨 파일:독일 국기.svg 1996년
1회
18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FC 샬케 04 파일:독일 국기.svg 1997년
1회
19 파일:갈라타사라이 SK 로고.svg 갈라타사라이 S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00년
1회
20 파일:FC 포르투 로고.svg FC 포르투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03년
2회
21 파일:발렌시아 CF 로고.svg 발렌시아 CF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4년
1회
22 파일:CSKA 모스크바 엠블럼.svg PFC CSKA 모스크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2005년
1회
23 파일:세비야 FC 로고.svg 세비야 FC 파일:스페인 국기.svg 2006년
7회
24 파일: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로고.svg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2008년
1회
25 파일:FC 샤흐타르 도네츠크 로고.svg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009년
1회
26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2017~2024).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2010년
3회
27 파일:첼시 FC 로고.svg 첼시 FC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2013년
2회
28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2017년
1회
29 파일:비야레알 CF 로고.svg 비야레알 CF 파일:스페인 국기.svg 2021년
1회
30 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 아탈란타 BC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24년
1회
※ 우승 횟수에 굵은 글씨로 되어 있는 클럽은 UEFA 배지 오브 오너 부착 가능 클럽 }}}}}}}}}



[1] /ˈbiʎareˈal/. 스페인어에서 ll은 전통적으로는 경구개 설측 접근음(IPA:/ʎ/)이지만, 대부분 지역의 방언에서 ll은 y와 같은 유성 경구개 마찰음(IPA:/ʝ/)으로 발음된다. 이 때문에 에스파냐어 표기 규정에서는 ll을 y와 같이 '이'로 표기하며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서 1음절로 적도록 하고 있다.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표기 규정에서는 /ʎ/ 음소를 'ㄹ리'로 적도록 하고 있는데, 이 규칙을 적용하면 Villarreal의 표준 스페인어 발음을 '빌랴레알'로 표기할 수 있다.[2] 발렌시아어[3] 비야레알의 응원가인 비틀즈의 Yellow Submarine에서 유래했다.[4] #[5] 비야레알의 회장이자 구단 소유주로, 유니폼 전면에 들어가는 메인 스폰서인 PAMESA Cerámica의 사장이자 스페인의 대형 슈퍼마켓 체인인 메르카도나의 대주주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