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02:19:49

부산근현대역사관 별관

부산근대역사관에서 넘어옴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 화이트.svg 세계유산 잠정목록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무대

임시 중앙청

아미동 비석마을

국립중앙관상대

미국대사관 겸 미국공보원

부산항 제1부두

캠프 하야리아

유엔군 묘지

우암동 소막마을

워커하우스
둘러보기 틀: 대한민국의 세계유산 잠정목록 }}}}}}}}}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E5007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연산동 고분군[1]}}}
  1. 만덕사지
  2. 배산성지
  3. 동래읍성지
  4. 구포왜성
  5. 부산진성
  6. 경상좌수영성지
  7. 윤공단
  8. 정공단
  9. 송공단
  10. 25의용단
  11. 임진동래의총
  12. 온정개건비
  13. 금정산성 부설비
  14. 내주축성비
  15. 약조제찰비
  16. 척화비
  17. 부산진성 서문 성곽우주석
  18. 정운공 순의비
  19. 동래 남문비
  2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오륙도[2]}}}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유엔묘지}}}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에덴공원}}}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용두산공원}}}
1.#2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몰운대[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태종대[4]}}}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신선대[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송도해수욕장}}}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해운대해수욕장}}}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어린이대공원}}}
  1. 이섭교비
  2. 천성진성
  3. 가덕도 척화비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가덕도 동백군락[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장안사대웅전[7]}}}
  1. 기장 아이봉수대
  2. 기장향교
  3. 기장읍성
  4. 기장 척화비
  5. 노포동 고분군
  6. 생곡동 가달고분군
  7. 범방동 패총
  8. 해운대 석각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해운대 동백섬[A]}}}
  1. 김해 죽도왜성
  2. 기장 죽성리왜성
  3.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기장 죽성리 해송[A]}}}

[1] 사적 제539호로 승격[2] 명승 제24호로 승격[A] 2024년 9월 11일에 부산광역시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을 부산광역시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함에 따라 지정해제[4] 명승 제17호로 승격[A] [A] [7] 보물 제1771호로 승격[A] [A]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64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부산지방기상청
  1. 사처석교비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임시수도 대통령관저[10]}}}
  1. 정과정 유적지
  2. 부산진일신여학교
  3. 영도대교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망산도·유주암[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기장동부리회화나무[A]}}}
  1. 기장산성
  2. 동래부 동헌
  3. 동래향교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금정산 금샘[A]}}}
  1. 금곡동 율리 바위그늘유적
  2. 충장공 정발 전망비

[10] 사적 제546호로 승격[A] 2024년 9월 11일에 부산광역시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을 부산광역시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함에 따라 지정해제[A] [A]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파일:부산근대역사관.jpg

1. 개요2. 역사3. 관람안내
3.1. 상설전시실
4. 건축물 이력5. 관련 문서

1. 개요

공식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로 104(대청동2가) 소재

파일:부산근대역사관 로고.svg
부산근대역사관 시절의 로고

근대건축물1929년에 지어진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東洋拓殖株式会社釜山支社)으로 사용되었고 광복 이후 1949년부터는 미국 해외공보처 부산문화원(Busan American Cultural Service building)이 되었다. 하지만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에 휘말려 수난을 당했다. 그리고 부산 시민들의 끊임없는 반환 요구로 미국문화원이 철수하였고 부산근대역사관으로 개관하였다.

2. 역사

1920년대에 세워진 이 건물은 철근콘크리트조 건물로 서구양식이 도입될 당시의 건축 경향을 살필 수 있는 몇 남지 않은 자료이다. 또한 처음 지어졌을 당시부터 1999년 반환될 때까지 외세지배의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한국 근대사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 건축물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역사적 가치를 인정 받아 부산근대역사관 건물은 2001년 5월 16일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舊 東洋拓植株式會社 釜山支店)'이라는 명칭으로 부산광역시의 기념물 제49호로 지정됐다.

2021년 6월 29일부터 2023년 2월 28일까지 장기간 휴관했고, 리모델링 작업을 거쳐 2023년 3월 1일부로 부산근현대역사관 별관[1]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

2022년 12월 15일,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으로 등재된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에 포함되었다.

3. 관람안내

입장료는 무료다. 관람시간은 매주 화~일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입장가능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다. 월요일과 1월 1일에는 휴관한다.

2022년 12월까지 휴관하였고, 2023년 1월 27일 ~ 2월 28일 한 달간 시범운영 후 2023년 3월 1일, 별관[2][3] 먼저 개관한다.

별관은 도서관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부산과 관련된 서적과 자료들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최근 리모델링을 하여 시설이 매우 깨끗하고 쾌적하다.
내부에서는 1층 엘리베이터 앞, 정수기 사용 이외에는 음료섭취가 불가능하고 직원에 따르면, 텀블러에 물을 담아서 먹는 것도 불가능하다고 하니 액체류 반입을 삼가자.
화장실은 응접실로 사용하던 곳이며 내부에는 과거 응접실에서 사용하던 조명을 그대로 보존하여 사용하고 있다,
매달 다양한 문화 행사를 진행하고 있으니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방문하면 좋다.

3.1. 상설전시실

상설전시는 부산의 근대 개항, 일제강점기 동안 당한 여러 수탈들, 그리고 한미관계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는 전시시설이다.

4. 건축물 이력

  • 1929년~1945년: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으로 개소 및 활용
  • 1945년~1949년: 미군정에서 미국 해외공보처 부산문화원, 미군 숙소 등으로 활용
  • 1999년: 대한민국(부산시) 자산으로 이관
  • 1999년~2006년: 건물 복원
  • 2001년 5월 16일: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9호로 지정
  • 2006년~2021년 6월 28일: 부산근대역사관으로 활용
  • 2021년 6월 29일: 부산근대역사관 휴관
  • 2023년 3월 1일: 부산근현대역사관 별관으로 재개관.

5. 관련 문서


[1] 부산근현대역사관 본관은 옛 한국은행 부산본부 건물인데, 기둥 일부에서 균열이 발견되어 보강공사를 실시하느라 완공이 늦춰지면서 별관이 먼저 개관하게 됐다.[2] 기존 역사관 건물[3] 본관은 구)한국은행 부산본부 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