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30 19:08:29

부산오페라하우스

부산 오페라하우스에서 넘어옴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규모 공연장
<colbgcolor=#ebebeb,#000> 50,000석 이상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서울월드컵경기장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대구스타디움
30,000석 이상 잠실 돔구장(예정) · 인천문학경기장 · 고양종합운동장 · 용인미르스타디움
10,000석 이상 고척 스카이돔 · 목동종합운동장 · 잠실보조경기장 ·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 청라 돔 야구장(예정) · 성남종합운동장 · 파주스타디움 · 의정부종합운동장 · 원주종합운동장 · 순천팔마종합운동장 · 포항종합운동장 · 구미시민운동장 · 창원종합운동장 · 양산종합운동장 · 진주종합경기장 · 제주종합경기장 · 올림픽공원 88잔디마당 · 송도달빛축제공원 · 인스파이어 디스커버리 파크 · 잠실실내체육관 · 사직실내체육관 · 강릉아레나 · KSPO DOME · 서울아레나(예정) · 인스파이어 아레나
5,000석 이상 올림픽핸드볼경기장 · 목동아이스링크 · 올팍축구장 · 잠실학생체육관 · 기장체육관 · 남동체육관 · 광주여대시립유니버시아드체육관 · 성남실내체육관 · 포항체육관 · 박정희체육관 · 경산실내체육관 · 경주실내체육관 · 마산실내체육관 · 진주실내체육관
3,000석 이상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 ·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 장충체육관 · 부산금정체육관 · 청주대학교 석우문화체육관 · 전주실내체육관 · 군산월명체육관 · 진남체육관 · 세종문화회관 · 올림픽홀
1,000석 이상 KBS아레나 · 광운대학교 동해문화예술관 · 상명대학교 상명아트센터 · KBS부산홀 · 계명대학교 계명아트센터 · 우송대학교 우송예술회관 · 충남대학교 정심화국제문화회관 · KBS울산홀 · 강원대학교 백령아트센터 ·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 · KBS창원홀 · 창원MBC홀 · GS아트센터 · LG아트센터 서울 · 국립극장 · 디큐브 링크아트센터 · 롯데콘서트홀 · 명화 라이브홀 · 블루스퀘어★☆ · 샤롯데씨어터 · 예술의전당 · 예스24 라이브홀 · 우리금융아트홀 · 유니버설아트센터 · 충무아트센터 · 드림씨어터 · 부산문화회관 · 부산콘서트홀 · 대구문화예술회관 · 대구오페라하우스 · 대구콘서트하우스 · 대구학생문화센터 · 수성아트피아 · 아트센터 인천 · 광주예술의전당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울산문화예술회관 · 용인포은아트홀 · 고양아람누리 · 고양어울림누리 · 부천아트센터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통영국제음악당
1,000석 미만 KT&G 상상마당 대치 · KT&G 상상마당 홍대 라이브홀 · 국립국악원 · 국립정동극장 · 광림아트센터 · 노들섬 라이브하우스 · 무신사 개러지 · 꿈의숲아트센터 · 대학로TOM · 두산아트센터 · 롤링홀 · 링크아트센터 · 링크아트센터드림 · 스페이스브릭 · 신한카드 SOL 페이 스퀘어 · 예스24 스테이지 · 예스24 아트원 · 예스24 원더로크홀 · 오방가르드 · 웨스트브릿지 라이브홀 · 인터파크 유니플렉스 ·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 F1963 · KT&G 상상마당 부산 · 국립부산국악원 · 영화의전당 · 제임스레코드 · HD아트센터 · KT&G 상상마당 춘천 · 춘천문화예술회관
★ : 전문공연장 · ☆ : 대중음악 전문 공연장 · 세부 분류는 해당 문서 참조
}}}}}}}}} ||
<colbgcolor=#E5007F><colcolor=#fff> 부산오페라하우스
BUSAN OPERA HOUSE
<nopad> 파일:부산오페라하우스 CI.svg
개관 2027년 예정
운영 클래식부산
좌석수 대극장(1,800석)
블랙박스극장(300석)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주소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4가 15-40
<colbgcolor=#E5007F><colcolor=#fff><nopad> 파일:부산 오페라하우스.jpg
조감도


1. 개요2. 사업 현황3. 논란 및 사건 사고
3.1. 막대한 유지비 논란3.2. 부산 오페라하우스 노동자 사망사고3.3. 야구장 논란3.4. 자기복제 논란3.5. 행정구역 분쟁3.6. 공법 논란
4. 관련 문서

1. 개요

부산시가 추진하는 북항재개발 매립지 해양문화지구에 들어설 오페라하우스이다. 건축가는 노르웨이에 본사를 두고 있는 건축사사무소 스노헤타이며, 대표작은 오슬로 오페라하우스이다. 대지면적은 29,542㎡, 연면적은 51,617.39㎡로 지하 2층, 지상 5층 규모로 건축될 예정이다. 설계사는 Snøhetta(디자인),(주)일신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실시설계), 시공사는 HJ중공업이다. 총 사업비는 3050억원으로 이 중 1000억원을 롯데그룹에서 기부하였다.

2. 사업 현황

부산시는 롯데그룹 측 간의 건립비 기부약정으로 1000억원을 따냈다. 그에 따라 2008년 롯데그룹 측에서 사업비로 20억원을 기부, 2012년에는 80억원을, 2013년에 260억원을, 2014년에는 40억원을, 2016년에는 300억원을 기부했으며, 2021년 6월, 총 사업비가 기존의 2,500억 원에서 550억 원이 증액된 3,050억 원으로 조정되었다. 각종 토사 처리비, 물가 상승, 현장 여건의 변화가 주된 요인으로 보인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시비를 들여서라도 완공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2023년 2월 03일 기준, 공정률 약 40.19%를 기록했다.

위에서 언급한 공법 논란으로 1년 가까이 공사가 중단 되었다가 2024년 5월부터 다시 공사를 시작했다. 다만 공사기간이 2026년 12월까지로 밀리면서 개관도 2027년으로 밀리게 되었다.#

3. 논란 및 사건 사고

3.1. 막대한 유지비 논란

건립 전부터 오페라하우스를 유지하기 위한 막대한 운영비를 부산시가 감당할 수 있는지 논란이 있어왔다. 부산발전연구원의 운영비 예측 보고서를 보면 오페라하우스의 연간 운영비는 총 137억 원이며, 이 중 102억 원을 자체 수입으로 잡아 시는 매년 35억 원을 투입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부산에서 가장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문화회관조차 재정자립도는 12%에 불과하다.(2018년 기준) 따라서 부산시는 예상보다 훨씬 많은 돈을 운영비로 사용하게 될 것이다. 막대한 유지비 논란 2019년 연합뉴스에 따르면, 연간 운영비는 늘어나 총 151억 원으로 책정됐고, 자체 사업 수익은 40.6%(61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돼서, 부산시가 연간 90억의 적자를 세금으로 메워야 하는게 불가피해졌다. 부산오페라하우스 연 90억 재정지원 불가피

3.2. 부산 오페라하우스 노동자 사망사고

2019년 9월 28일 오전 10시 15분쯤 부산 동구 북항 재개발지 내 부산 오페라하우스 공사현장에서 크레인이 넘어져 조종실 방향으로 덮쳤다. 이 사고로 조정실 운전석에 있던 크레인 기사 A(32) 씨가 크게 다쳐 인근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지만 결국 숨졌다. 경찰은 공사 작업 중 연약한 지반이 꺼지면서 크레인이 함께 넘어진 것으로 보고 현장 관계자 등을 상대로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

3.3. 야구장 논란

부산 시내에 야구장이 들어설 만한 적당한 부지가 없는 관계로, 오페라하우스가 들어서는 부지가 과거 낡은 사직 야구장을 대체할 새 야구장 부지로도 언급이 되었다. 하지만 서병수 전 시장의 강력한 의지로 오페라 하우스가 건립되게 되었다. 이에 일부에서는 해당 소식을 접한 뒤에 "수요층이 상대적으로 적은 오페라하우스보다 야구장을 짓는게 더 낫다."라는 식의 태도로 반응했다. 수요가 충분한 야구장에 비해 오페라하우스에 대한 수요가 얼마나 되겠느냔 문제도 제기된다.
게다가 부산시는 북항 야구장 건립 요구에 대해서 비용 등 현실성이 없다며 선을 그었다.#

3.4. 자기복제 논란

이번 부산 오페라하우스를 건축하게 될 스노헤타의 대표작인 오슬로 오페라하우스의 대략적인 형태나 동선 디자인이 비슷하다는 점에서 논란이 생긴 것이다. 같은 건축사무소의 작품이기 때문에 표절로서 그렇게 큰 문제는 아니라지만 자기복제하며 우려먹는게 아니냐는 반응이 있다.
파일:부산과 오슬로 오페라하우스 비교.jpg
(상): 부산오페라하우스  (하): 오슬로오페라하우스

3.5. 행정구역 분쟁

오페라하우스의 행정구역을 두고 중구와 동구간의 대립 끝에 오페라하우스는 중구 관할로 최종 결정되었다.

3.6. 공법 논란

오페라하우스 파사드 공법 시 “스마트노드 우선 추진”(2023년 1월)

기사 3천억짜리 부산 오페라하우스 부실 시공으로 건설 중단(2023년 7월)에 따르면, 3천억원이 들어가는 부산 북항 오페라하우스가 부실시공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 시공사와 감리단을 지도·감독하는 부산시 건설본부는 이런 사실을 모르고 시공사에 공사비를 계속 부당 지급한 데다 기술자문위원회 위원을 엉터리로 구성한 것으로 밝혀졌다.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