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03:23:26

베니 매카시

베니 맥카시에서 넘어옴
Manchester United Football Club
파일:베니 매카시 맨유.jpg
<colbgcolor=#da020e> 이름 베니 매카시
Benni McCarthy
본명 베네딕트 사울 매카시
Benedict Saul McCarthy
출생 1977년 11월 12일 ([age(1977-11-12)]세)
케이프타운
국적
[[남아프리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83cm
직업 축구 선수 (스트라이커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da020e> 선수 세븐 스타즈 FC (1995~1997)
케이프타운 스퍼스 FC (1996~1997 / 임대)
AFC 아약스 (1997~1999)
셀타 비고 (1999~2003)
FC 포르투 (2002 / 임대)
FC 포르투 (2003~2006)
블랙번 로버스 FC (2006~2010)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2010~2011)
올랜도 파이러츠 FC (2011~2013)
감독 케이프타운 시티 FC (2017~2019)
아마줄루 FC (2020~2022)
코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022~ / 1군 스트라이커 코치 )
국가대표 80경기 31골 (남아프리카 공화국 / 1997~2012)[1]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2.1.1. 세븐 스타즈2.1.2. AFC 아약스2.1.3. 셀타 비고2.1.4. FC 포르투 (임대)2.1.5. 셀타 비고 복귀2.1.6. FC 포르투2.1.7. 블랙번 로버스2.1.8. 웨스트햄 유나이티드2.1.9. 올랜도 파이러츠
2.2. 국가대표 경력
3. 지도자 경력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남아프리카 공화국축구 선수 출신 감독.

아약스포르투, 블랙번에서 맹활약한 스트라이커로 포르투의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 당시 핵심 멤버였고 루카스 라데베와 더불어 남아공 역사상 최고의 축구 선수로 꼽힌다.

현재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의 코치직을 맡고 있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1977년 케이프타운에서 태어난 베니 매카시는 삼촌이 감독으로 있던 "영 파이리츠"라는 로컬 축구 클럽에 유소년 선수로 들어가면서 축구선수로서의 꿈을 가지기 시작했고, 크루세이더스 유소년 팀에서 뛰다가 17세에 남아공 1부 리그의 클럽인 세븐 스타즈에 입단했다.

2.1.1. 세븐 스타즈

1995년 18세의 나이로 세븐 스타즈의 1군 멤버가 되어 첫 29경기에서는 단 1골밖에 넣지 못했지만 다음 20경기에서는 무려 12골이나 터뜨리는 발군의 기량을 선보였고, 아약스 케이프타운 등 리그내 강호들의 관심을 받았다.

2.1.2. AFC 아약스

1997년 아프리카 유스 챔피언십과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피파 월드 유스 챔피언십에서 강렬한 경기력을 보여준 베니 매카시에 많은 유럽 명문 클럽들이 관심을 보였고, AFC 아약스로 이적하게 됐다. 1997-98 시즌 23경기에 출전해 10골을 넣었고, 1998-99 시즌에도 25경기에 출전해 11골을 기록하는 등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2.1.3. 셀타 비고

아약스에서의 활약상에 6m 유로의 이적료로 셀타 데 비고로 이적했다. 이는 당시의 남아프리카공화국 축구선수 역사상 최대 이적료였다. 이적 첫 시즌인 1999-2000 시즌에는 41경기에 출전, 14골을 기록하는 등 괜찮은 모습을 보였으나 2000-01 시즌에는 2년차 징크스의 마수에 걸려 단 한 골도 기록하지 못했다. 결국 당시 셀타의 감독이었던 비토르 페르난데스의 플랜에서 제외되었고 2002년 FC 포르투로 임대되기에 이른다.

2.1.4. FC 포르투 (임대)

FC 포르투에서 12경기에 출전해 무려 13골을 득점하는 엄청난 득점력을 발휘하며 부활에 성공하였다. 당초 포르투로 완전 이적이 점쳐졌으나 포르투의 당시 재정이 좋지 못해 이적하지 못하고 셀타 비고로 복귀했다.

2.1.5. 셀타 비고 복귀

그러나 셀타 비고로 돌아와서는 포르투로 임대갔을 때만큼 좋은 모습을 보이지 못했고 2002-03 시즌 19경기에 출전해 단 5골만을 기록했다.

2.1.6. FC 포르투

조세 무리뉴 체제 하에서 리그 우승과 UEFA 유로파 리그 우승을 일궈내며 재정난을 어느정도 해소한 FC 포르투는 셀타에서 쩌리신세(...)로 전락한 매카시에게 다시 러브콜을 보냈고, 이에 포르투로 이적하였다. 그리고 2003-04 시즌 베니 매카시는 포르투와 함께 날아오른다. 리그에서는 20골을 득점하며 포르투갈 프리메이라 리가 득점왕을 차지하여 포르투의 리그 2연패에 공헌하였고, UEFA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와의 경기에서 2골을 기록하며 맨유를 16강에서 격침시켜 팀이 UEFA 챔피언스 리그 우승컵을 차지하는데 수훈 갑의 역할을 했다. 2004-05 시즌에도 35경기에 출전해 14골을 넣는 등 좋은 퍼포먼스를 보였으나, 2005-06 시즌에는 31경기에 출전해 7골만 기록하는 등 다소 부진했다.

2.1.7. 블랙번 로버스

2006년 7월 마크 휴즈가 이끄는 블랙번 로버스 FC에 입단해 프리미어 리거가 되었다. 그리고 2006-07 시즌 18골을 기록하며 디디에 드록바에 이어 프리미어리그 득점순위 2위를 차지했다. 2007-08 시즌에는 38경기 11골, 2008-09 시즌에도 33경기 13골을 기록하는 등 3시즌 연속으로 두자리수 골을 기록하며 블랙번이 프리미어리그에서 중상위권을 차지하는데 거듭 기여했다. 하지만 자신을 신임했던 마크 휴즈가 맨시티로 떠나고 폴 인스[2]가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선발 명단에서 자주 제외되었고, 잉스가 경질된 뒤로도 장신 스트라이커를 선호하는 샘 앨러다이스가 감독이 되자[3] 2009-10 시즌에는 단 19경기에 출전했을 뿐이었고, 결국 2010년 1월 겨울 이적시장에서 블랙번을 떠나 웨스트햄으로 이적했다.

2.1.8.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당초 웨스트햄은 큰 기대를 가지고 베니 매카시를 영입했지만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입단 직후 부상까지 당하며 적응에 완전히 실패했다. 결국 웨스트 햄에서 머물렀던 1년 반동안 14경기에 출전해 단 한 골도 넣지 못하고 웨스트 햄을 떠나야 했다.

2.1.9. 올랜도 파이러츠

2011년 웨스트 햄 유나이티드를 떠나 고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올랜도 파이러츠로 이적했고, 거기서 2시즌을 활약하다가 2013년 은퇴했다.

2.2. 국가대표 경력

1997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첫 A매치에 출전한 이래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경기를 포함해 80경기에 출전, 31골을 넣었다.[4] 안타깝게도 2010년에는 기량저하로 인해 남아프리카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지 못해서 고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린 월드컵에 출전하지 못했다.

3. 지도자 경력

2017년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리미어 디비전 소속 케이프타운 시티 FC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첫 시즌 5위, 두 번째 시즌을 4위로 마무리하며 나쁘지 않은 지도력을 보여주었으나 2019-20 시즌 초반에는 18경기에서 2승에 그치는 등 부진을 면치 못하자 경질되었다. #

2020-21 시즌에는 아마줄루 FC 사령탑으로 부임하여 팀의 리그 준우승을 이끌었지만 2021-22 시즌에는 리그 7위라는 다소 아쉬운 성적을 거두었다.

한국 시간으로 2022년 7월 31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이끌고 있는 에릭 텐하흐 사단 코칭스태프의 일원이 되었다. 직책은 1군 스트라이커 코치. #

베니 매카시가 맨유 코치로 합류한 이후 래시포드의 득점력이 물올랐다는 평이 많다. 소위 말하는 '뇌없는 플레이'로 많은 맨유 팬들의 뒷목을 잡게 했던 래시포드가 선수 시절 라인 브레이킹에 일가견이 있던 매카시 코치의 코칭 이후로 본인 커리어에서 한 번도 없었던 7경기 연속 골을 넣으면서 맨유의 최근 상승세의 원동력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래시포드가 2023/24 시즌에 다시 부진하자 2022/23 시즌 래시포드의 물올랐던 실력은 단순히 매카시 코치의 덕이 아닌 래시포드가 2022/23 시즌 동안 잠시 플루크가 터졌던것으로 추측되며 애초부터 래시포드는 시즌별로 기복이 심했던 선수기도 하다.

4. 둘러보기

<nopad>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스태프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보드진
<rowcolor=#d00027> 직책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구단주 파일:미국 국기.svg & 파일:영국 국기.svg 글레이저 가문 & 이네오스[1] Glazer Family & INEOS
회장 파일:미국 국기.svg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엘 글레이저 & 에이브럼 글레이저[2] & 제임스 래트클리프 Joel & Avram Glazer & Jim Ratcliffe
명예 회장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마틴 에드워즈 Martin Edwards
CEO 파일:프랑스 국기.svg 오마르 베라다 Omar Berrada
CFO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로저 벨 Roger Bell
COO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콜레트 로체 Collette Roche
CCO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비 크레이그 Toby Craig
이사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클로드 블랑 Jean-Claude Blanc
이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데이브 브레일스포드 Sir Dave Brailsford
이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존 리스 John Reece
이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롭 네빈 Rob Nevin
이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데이비드 길 David Gill
이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마이클 에델슨 Michael Edelson
이사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알렉스 퍼거슨 Sir Alex Ferguson
사외이사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이언 글레이저 Bryan Glazer
사외이사 파일:미국 국기.svg 케빈 글레이저 Kevin Glazer
사외이사 파일:미국 국기.svg 에드워드 글레이저 Edward Glazer
사외이사 파일:미국 국기.svg 다시 글레이저 Darcie Glazer
사외이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로버트 레이탕 Robert Leitão
사외이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존 훅스 John Hooks
사외이사 파일:인도 국기.svg 마누 사누이 Manu Sawhney
실무진
<rowcolor=#d00027> 직책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풋볼 디렉터 - - - -
부 풋볼 디렉터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앤디 오보일 Andy O’Boyle
테크니컬 디렉터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제이슨 윌콕스 Jason Wilcox
축구 운영 책임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데이비드 해리슨 David Harrison
아카데미 책임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닉 콕스 Nick Cox
코칭 스태프
<rowcolor=#d00027> 직책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감독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에릭 텐하흐 Erik ten Hag
수석 코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미첼 판데르하흐 Mitchell van der Gaa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스티브 맥클라렌 Steve McClaren
1군 스트라이커 코치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베니 매카시 Benni Mccarthy
골키퍼 코치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차드 하티스 Richard Harti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크레이그 모슨 Craig Mawson
피트니스 코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울로 가우디노 Paulo Gaudino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찰리 오언 Charlie Owen
파워 코치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마이클 클레그 Michael Clegg
운동 코치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차드 호킨스 Richard Hawkins
U-21 감독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트래비스 비니온 Travis Binnion
U-21 골키퍼 코치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미 리 Tommy Lee
U-18 감독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담 로렌스 Adam Lawrence
U-18 수석 코치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콜린 리틀 Colin Little
U-18 골키퍼 코치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케빈 울프 Kevin Wolfe
테크니컬 코치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대런 플레처 Darren Fletcher
시니어 아카데미 코치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마크 뎀프시 Mark Dempsey
개발 코치 파일:웨일스 국기.svg 데이비드 휴즈 David Hughes
스카우트
<rowcolor=#d00027> 직책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스카우트 운영 책임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스티브 브라운 Steve Brown
스카우트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믹 코트 Mick Court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르코 데 시스티 Marco De Sisti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더글라스 조지 Douglas Georg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니 쿨터 Tony Coulter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사이먼 웰스 Simon Wells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존 소번 John Thorburn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마틴 파레데스 Martín Paredes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아르망 베네커 Armand Benneker
파일:독일 국기.svg 토마스 보르만 Thomas Bormann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로이 뷰켄캄프 Roy Beukenkamp
파일:헝가리 국기.svg 피터 쇼케 Péter Szőke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후안 마우리시오 에체베리아 Juan Mauricio Echeverri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주세페 안토나치오 Giuseppe Antonaccio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블로 부드나 Pablo Budna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벤 맥팔란 Ben McFarlan
파일:벨기에 국기.svg 롤랜드 얀센 Roland Janssen
파일:일본 국기.svg 케이 타무라 Kei Tamura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호세 마요르가 José Mayorga
파일:브라질 국기.svg 세르지우 데 소우자 Sergio De Souza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존 램버트 John Lambert
파일:독일 국기.svg 노베르트 뒤웰 Norbert Düwel
파일:폴란드 국기.svg 표트르 사도프스키 Piotr Sadowsk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크리스티안 에르콜라니 Cristian Ercolani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도넬리 Scott Donnelly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스티브 헤드 Steve Head
파일:프랑스 국기.svg 제롬 클라인 Jerome Klein
파일:브라질 국기.svg 가브리엘 코레아 Gabriel Correa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닐 휠턴 Neil Wheelton
파일:미국 국기.svg 아론 루잔 Arron Lujan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니콜라스 치날리 Nicolás Cinalli
유스 스카우트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데이비드 해리슨 David Harris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샘 윌리엄스 Sam Williams
파일:스페인 국기.svg 게라도 구즈만 Gerardo Guzmán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레네 무넨 Rene Moone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제임스 하커 James Harker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글린 케니 Glynn Kenny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하비 버셀 Harvey Bussell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벤 클락크 Ben Clark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핀 오리어리 Finn O’Leary
지원 스태프
<rowcolor=#d00027> 직책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협상 책임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맷 하그리브스 Matt Hargreaves
수석 분석관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폴 브랜드 Paul Brand
비디오 분석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스튜어트 헵인스톨 Stewart Heppinstall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앤서니 베이츠 Anthony Bate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알렉스 트레플턴 Alex Threapleton
경기 분석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톰 그린 Tom Gree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담 워버튼 Adam Warburt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루크 라젠비 Luke Lazenby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피터 모렐 Pieter Morel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케이타 하세가와 Kaita Hasegawa
U-21 퍼포먼스 분석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커티스 퀸 Curtis Quinn
1군 수석 요리사 파일:모로코 국기.svg 오마르 메지안 Omar Meziane
의료진
<rowcolor=#d00027> 직책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스포츠 의료 책임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게리 오드리스콜 Gary O’Driscoll
물리치료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존 데이빈 John Davi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게리 아르머 Garry Armer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치 메론 Richie Merr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데이비드 비닝슬리 David Binningsley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애쉬 플레이시 Ash Pracy
파일:웨일스 국기.svg 앤디 월링 Andy Wallin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홀리 핀니스 Holli Finnis
파일:호주 국기.svg 이브라힘 케렘 Ibrahim Kerem
스포츠 과학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에드 랭 Ed Len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알리스테어 맥버니 Alistair McBurni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알렉스 클라인 Alex Kley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마이클 에글론 Michael Eglon
U-21 물리치료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톰 휴즈 Tom Hughe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러스 헤이즈 Russ Hayes
U-18 물리치료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닐 허프 Neil Hough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다니엘 토피 Daniel Torpey
틀 정보
출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공식 홈페이지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6월 5일

[1] 2024년부터 공동 구단주[2] 2005년부터 공동 회장을 역임 중이다.
}}}}}}}}} ||



[1]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자[2] 맨유의 레전드이지만 감독으로서는 막장에 가까운 졸장으로 블랙번 팬들의 영원한 흑역사로 남은 인물이다.[3] 이 양반의 독특한 전술에 대해서는 샘 앨러다이스 문서를 참조하길 바란다.[4] 98년 월드컵에서는 덴마크전 동점골을 기록하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첫 승점을 기록했고, 2002년 월드컵에서는 스페인전 동점골을 기록하였으나 2-3으로 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