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7px" | <tablebgcolor=#738FA5><tablebordercolor=#738FA5>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Politecnico di Milano 밀라노 폴리테크니코 Polytechnic University of Milan | |||||
| |||||
대학 정보 | |||||
<colbgcolor=#738fa5><colcolor=white> 역사 | <colbgcolor=#738fa5><colcolor=white> 개교 | 1863년 11월 29일 ([age(1863-11-29)]주년) | |||
설립 | 1863년: 고등기술원 1927년: 왕립 폴리테크니코 1946년: 밀라노 폴리테크니코 | ||||
설립자 | 프란체스코 브리오스키 (Francesco Brioschi) | ||||
분류 | 공립대학 | ||||
국가 |
| ||||
소재지 |
밀라노Piazza Leonardo da Vinci, 32, 20133 Milano, IT | ||||
이사[1] | 그라치아노 드라골리 (Graziano Dragoli) | ||||
총장[2] | 도나텔로 슈토 (Donatella Sciuto) | ||||
재학생 | 학부 | 26,557명 (2021/22) | |||
대학원 | 20,365명 (2021/22) | ||||
교직원 | 교원 | 1,627명 (2021/22) | |||
직원 | 1,292명 (2021/22) | ||||
교색 | Grigio-Blu Chiaro (#738FA5) Bianco (#FFFFFF) | ||||
언어별 명칭 | |||||
{{{#000,#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738fa5><colcolor=white> 영어 | <colbgcolor=white,#1f2023> Polytechnic University of Milano | |||
프랑스어 | École polytechnique de Milan | ||||
스페인어 | Politécnico de Milán | ||||
독일어 | Polytechnikum Mailand | ||||
러시아어 | Милански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 ||||
히브리어 | האוניברסיטה הפוליטכנית במילאנו | ||||
일본어 | ミラノ工科大学 | ||||
중국어 | 米蘭理工大學 |
링크 | ||||
{{{#0e3034,#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738fa5><colcolor=white> 웹사이트 | |||
소셜 미디어 | <colbgcolor=white,#1f2023> | |||
위치 | ||
<nopad> |
1. 개요
<nopad> | ||
밀라노 폴리테크니코 소개 영상 | ||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밀라노 폴리테크니코(Politecnico di Milano, 약칭 PoliMi)는 이탈리아 왕립고등기술원을 전신으로 하는 이탈리아 밀라노에 위치한 명문 공과대학이다.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공과대학과 동시에 최대 규모의 공과대학이자 밀라노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이다.
스위스의 ETH 취리히연방공대, 네덜란드의 TU Delft와 함께 유럽을 대표하는 최고 수준의 이공계 특화 대학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유럽 내 주요 공학 명문 대학들의 연합체인 IDEA League의 일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그 교육 및 연구 역량은 유럽 고등기술교육의 중심축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863년 설립 이후, 이탈리아의 산업·기술 발전과 함께 성장해온 이 대학은 오늘날 이탈리아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규모가 큰 공과대학으로, 전통과 혁신을 동시에 갖춘 세계적 수준의 공학 교육기관으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건축학 및 산업 디자인 분야는 학문적 깊이와 실무 역량이 결합된 커리큘럼으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아왔으며, 관련 교육은 유럽 내에서도 손꼽히는 권위 있는 과정으로 평가된다.
실제로 2025년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건축 분야에서는 미국 하버드 대학교 (Harvard University) 에 이어 7위를, 디자인 분야에서 역시 세계 7위를 기록하며, 이 분야에서 밀라노 공과대학만의 독보적인 입지를 보여주고 있다.
건축계의 최고 권위인 프리츠커(Pritzker Prize) 수상자 중에서도 알도 로시(Aldo Rossi)와 렌조 피아노(Renzo Piano) 등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이곳 출신으로, 그 교육적 전통과 국제적 영향력을 잘 보여준다.
또한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자동차 디자이너, 산업 디자이너, 가구 디자이너 등 다수의 창의적 인재들이 이 대학에서 수학했으며, 이들 졸업생은 유럽 및 글로벌 산업 전반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졸업생 네트워크는 유럽 디자인·건축계의 주요 축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입학은 경쟁률이 높은 편으로, 평균 입학률 약 28% 수준의 선별적 절차를 통해 우수한 학생을 선발한다. 다만, 특정 분야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는 과에서는 더욱 낮은 입학률을 보이기도 한다.
입학 이후에는 고강도의 수업, 다분야 협업 프로젝트, 정기적인 중간평가 등 높은 수준의 아카데믹 환경이 이어지며, 졸업 또한 매우 어렵다. 이는 엄격하게 선발된 인재들이 학문과 실무의 정점에 도달하기 위해 도전하는 유럽 최고 수준의 교육기관임을 보여준다.
2. 역사
밀라노 폴리테크니코는 1863년 11월 29일에 이탈리아 교육부 장관이자 파비오 대학교의 총장이었던 프란체스코 브리오스키(Francesco Brioschi)의 주도로 설립되었다. 초창기의 교명은 고등기술원(Istituto Tecnico Superiore)이었고 첫 입학생 수는 30명이었다. 당시 개설 전공은 도시공학과 산업공학 전공뿐이었으나 2년 뒤인 1865년에 건축학 전공이 추가되었다.1913년 대학 최초의 여성 졸업생이 배출되었고, 1927년 현재의 대학 위치인 레오나르도 다빈치 광장으로 캠퍼스를 이전했고, 왕립 폴리테크니코(Regio Politecnico)라는 새로운 교명으로 변경했다. 1942년에는 현재까지 쓰이고 있는 대학 공식 로고가 제작되었다. 로고는 이탈리아의 화가 라파엘로 산치오의 작품 아테네 학당의 우측 하단의 피사체들의 스케치를 따온 것이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이듬해 1946년 왕정이 폐지됨으로써 이탈리아 왕국이 공화국으로 전환되자 기존 교명의 '왕립(Regio)'이라는 단어는 제거되었다. 대신 대학이 소재한 지명을 넣어 밀라노 폴리테크니코(Politecnico di Milano)라는 현재의 교명으로 바뀌었다.
1980년 대학은 롬바르디아와 에밀리아로마냐에 분교 캠퍼스를 건립했다. 1993년 산업디자인 전공이 개설되었고, 7년 뒤인 2000년 학부 및 대학원에 그래픽 디자인, 패션 디자인, 실내 디자인 전공 등이 차례대로 개설됨으로써 디자인학부가 설치되었다.
3. 출신 인물
- 렌초 피아노: 프리츠커상 수상자(1998).
- 마르첼로 바렌기
- 알도 로시: 프리츠커상 수상자(1990).
- 알레산드로 멘디니
- 잔파올로 달라라[3]
- 잔프랑코 페레[4]
- 줄리오 나타
- 카를로 에밀리오 가다[5]
- 프란코 알비니[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