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2016년 12월 29일까지 존속한 증권사}}}에 대한 내용은 [[미래에셋증권(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미래에셋증권(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미래에셋증권(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2016년 12월 29일까지 존속한 증권사: }}}[[미래에셋증권(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미래에셋증권(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미래에셋증권(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wiki style="color:#000,#fff; 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2c292a; 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fff> 계열사 | |
금융 | 미래에셋자산운용 | 미래에셋증권 | 미래에셋생명 (미래에셋금융서비스) | 미래에셋벤처투자 | 미래에셋캐피탈 | 미래에셋컨설팅 | 에너지인프라자산운용 | |
리츠 | 미래에셋글로벌리츠 | 미래에셋맵스리츠 | |
기타 | ||
<colbgcolor=#043b72> 공익 재단 |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 미래에셋박현주재단 | |
스포츠 | 미래에셋증권 탁구단 |
미래에셋증권 관련 틀 | |||||||||||||||||||||||||||||||||||||||||||||||||||||||||||||||||||||||||||||||||||||||||||||||||||||||||||||||||||||||||||||||||||||||||||||||||||||||||||||||||||||||||||||||||||||||||||||||||||
|
<colcolor=#ffffff> 미래에셋증권주식회사 未來에셋證券株式會社 Mirae Asset Securities Co., Ltd. | |
| |
<colbgcolor=#043b72> 국가 |
|
설립일 | 1970년 9월 23일 ([age(1970-09-23)]주년) (동양증권) |
업종명 | 금융투자업 |
대표자 | 김미섭, 허선호 |
기업 규모 | 대기업 |
상장 여부 | 상장 기업 |
자산 총액 | 1,371조 7,700억 원 (2024년) |
매출액 | 22조 2,680억 원 (2024년) |
영업이익 | 1조 1,880억 원 (2024년) |
당기순이익 | 9,254억 원 (2024년) |
임직원수 | 3,298명 (2024년) |
상장 시장 | 유가증권시장 (1975년~ ) |
편입 지수 | 코스피지수 KRX100지수 KOSPI200지수 |
시가총액 | 5조 3,610억원 (2025년) |
종목 코드 | 006800 (보통주) |
006805 (우선주) | |
00680K (우선주)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5길 26(수하동) |
링크 |
|
본사 전경[1] |
1. 개요
미래에셋금융그룹 계열 증권사.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종합 금융투자회사로, 국내 최대 규모의 투자은행(IB) 중 하나다.
2. 연혁
- 1970.10. 동양증권 설립
- 1973.09. 대우그룹 인수
- 1975.09. 증권거래소 상장
- 1983. 삼보증권과 동양증권 합병 후 대우증권으로 사명 변경
- 1984. 국내 증권사 최초로 도쿄 및 뉴욕에 해외사무소 개설
- 1992. 국내 최초로 중국에서 업무인가 취득
- 1999. 외환위기 이후 제일은행 등 8개사가 최대주주로 변경
- 1999.12. E미래에셋증권 설립
- 2000. 한국산업은행이 최대주주로 변경
- 2001.02. 미래에셋증권, 국내 최초 랩어카운트 상품 판매 / 국내 최초 개방형 뮤추얼펀드 '미래에셋 인디펜던스주식형' 출시
- 2003.12. 국내 최초 해외 운용법인 미래에셋자산운용(홍콩) 설립
- 2004.02. 미래에셋투자교육연구소 설립 / 미래에셋증권, 국내 최초 적립식 펀드 출시 (적립형 3억 만들기 펀드)
- 2004.06. 미래에셋증권, 국내 최초 부동산펀드 판매
- 2005.02. 국내 최초 해외 직접 운용 펀드 출시
- 2005.06. 미래에셋생명보험 출범
- 2006.02. 미래에셋증권 유가증권 상장
- 2006.05. 국내 최초 중국본토빌딩 (미래에셋상해타워) 투자
- 2006.11. 미래에셋자산운용(인도) 설립
- 2007.01. 미래에셋증권(홍콩) 설립
- 2007.03. 미래에셋자산운용(영국) 설립
- 2007.07. 미래에셋증권(북경사무소) 설립
- 2007.12. 미래에셋증권(베트남) 설립
- 2008.02. 미래에셋익재투자자문(중국) 설립
- 2008.04. 미래에셋자산운용(미국), (브라질) 설립
- 2008.08. 미래에셋증권(미국) 설립
- 2010.02. 미래에셋증권, 국내 최초 MTS 출시
- 2010.08. 미래에셋증권(브라질) 설립
- 2010.09. 미래에셋자산운용(미국), 국내 최초 뮤추얼펀드 미국 출시
- 2011.01. 미래에셋자산운용(홍콩), 국내 최초 홍콩증권거래소에 ETF 직접 상장
- 2012.07. 미래에셋화신자산운용 출범, 국내 최초 중국 합작 운용사
- 2013.01.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출범
- 2013.06. 호라이즌ETFs, 국내 계열 운용사 첫 미국시장 ETF상장
- 2014.04. 금융판매전문회사 미래에셋금융서비스 설립
- 2015.07. 미래에셋생명, 유가증권 상장
- 2016.01. 미래에셋자산운용(호주) 설립
- 2016.04. 멀티에셋자산운용 출범
- 2016.12. 미래에셋증권(구)과 합병하여 '미래에셋대우'로 출범
- 2017.01. 여수 경도해양관광단지 투자
- 2017.07. 미래에셋대우, 네이버와 전략적 업무제휴 (MOU)
- 2017.09. 미래에셋대우(인도) 설립 / 더 케이스 센터 등재
- 2017.12. 판교 알파돔시티 개발투자
- 2018.02. 미래에셋캐피탈베트남 설립
- 2018.03. 통합 미래에셋생명 출범 / 미래에셋자산운용(베트남) 설립
- 2018.05. 미래에셋프레보아생명(베트남) 출범
- 2018.07. 미국 ETF운용사 'Global X' 인수
- 2018.11. 아시아 최초 중국 사모펀드 자격 획득
- 2019.03. 미래에셋벤처투자, 코스닥 상장
- 2019.07. 비나디지털파이낸스플랫폼(베트남) 설립 / 미래에셋모바일 합병
- 2019.09. 일본 합작법인 Global X Japan 설립
- 2019.12. 기업혁신대상 대통령상 수상
- 2020.01. 네이버파이낸셜에 8,000억원 전략적 투자
- 2020.09. 국가브랜드 대상 기업부문 수상
- 2021.01. 기획재정부 연기금투자풀 주간운용사 선정
- 2021.03. 사명을 '미래에셋증권'으로 변경 / 미래에셋금융서비스 출범
- 2021.04. 국가브랜드 경쟁력지수 증권부문 1위
- 2021.06. 고객동맹 실천 선언
- 2021.08. 자기자본 10조원 돌파
- 2022.01. 금융윤리 인증서 수여식 개최
- 2022.06. ETF Securities(호주) 인수
- 2022.09. 인도법인 두바이 지점 설립 / Global X Australia 리브랜딩
- 2022.12. GHCO M&A SPA 체결 / BB Asset 파트너십 체결
- 2023.02. 재생에너지 장기전력 구매계약 체결
- 2023.03. SKT와 STO 컨소시엄 결성
- 2023.05. 유럽 ETF시장 진출 GHCO 인수 / 미래에셋생명, KSQI 콜센터 13년 연속 선정
- 2023.06. 글로벌 AMP 실시 / ISO45001 인증 획득
- 2023.07. Global ETF 순자산 1,000억 달러 돌파
- 2023.08. 고용노동부 주관 퇴직연금 사업자평가 2년 연속 우수사업자 선정 / Stockspot 인수
- 2023.10. ESG기준원 평가 2년 연속 A등급
- 2023.11. WealthSpot 설립 / VPPA전력구매계약 체결 / 서스틴베스트 평가 A등급
- 2023.12. Sharekhan 인수 SPA 체결 / CCM 우수기업 인증
- 2024.03. '개인투자용 국채' 단독 판매대행기관 선정
- 2024.04. Horizons ETFs, Global X Canada 리브랜딩 / 미래에셋생명 MVP 펀드 출시 10주년
- 2024.05. 국채 전용계좌 서비스 단독 출시
- 2024.06. 해외주식-연금자산 30조 달성
- 2024.07. 주택도시기금 전담운용기관 선정 10주년
- 2024.11. 인도 현지 증권사 미래에셋쉐어칸 출범
- 2024.12. 13년 연속 DJSI월드지수 편입
- 2025.02. CDP 리더십 A등급 획득 / 고객보호 선언 / ETF Rally 2025 개최
- 2025.03. 인도 비전 선포식 개최 / 'New Age' 세미나 개최
3. 역사
1970년 일성신약 창업주인 윤병강 회장이 동양증권[2]을 설립했다. 1973년 대우그룹에 편입되고 1983년 삼보증권을 합병하면서 대우증권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1984년 일본 도쿄와 미국 뉴욕에 사무소를 세우고 코리아펀드도 설립했으며, 1989년 헝가리 합작 은행 MHB-Daewoo를 비롯해 1991년 유럽 현지법인, 1992년 뉴욕 현지법인, 1993년 베트남 합작 은행을 설립하는 등 세계 시장 개척에도 적극 나섰다. 1996년 남자 농구단을 창단하고 1997년 대우선물을 설립했다. 대우증권 시절 별칭은 증권/여의도 사관학교.<bgcolor=#f58220><colcolor=#ffffff> |
1999년 대우그룹이 해체되면서 2000년 한국산업은행으로 경영권이 넘어갔다.[3] 대한민국 최초의 SPAC을 상장시키기도 했고 2000년 증권사 최초로 주식 방송을 시작하고 ERP 시스템을 도입하기도 했다. 2009년 산은금융지주 출범 후 KDB대우증권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1987년부터 2000년까지 KBS 2TV의 증권 시세를 담당했다. 합병 전 TV조선 뉴스에도 시황 브리핑을 제공했다. 과거 배움을 나누는 사람들을 후원했다.
2015년 매각 작업이 진행되어 KB금융지주, 미래에셋증권(구), 한국투자금융지주 등이 인수전에 뛰어들었는데 미래에셋증권이 인수자로 선정되었다. 2016년 한국산업은행에서 미래에셋증권으로 대주주가 변경되면서 미래에셋대우로 사명을 변경했다. 2017년 미래에셋증권을 흡수 합병(역합병)하면서 자산 총액 1위 증권사가 되었다.
2020년 10월부터 미래에셋페이[4]를 시험 서비스했으며 2021년 3월 25일 미래에셋증권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3.1. 역대 로고
파일:동양증권 1970년 로고.svg | 파일:대우증권 1983년 로고.svg | |
<rowcolor=#ffffff> 1970~1983[5] | 1983~2005 | 2005~2010 |
| | |
<rowcolor=#ffffff> 2010~2016 | 2016~2021 | 2021~현재 |
3.2. 역대 임원
- 대표이사 회장
- 윤병강 (1970~1973)
- 이석희 (1991~1993)
- 최현만 (2021~ 2023)
- 회장
- 이태호 (1983~1988)
- 허준 (1994~1997)
- 정철조 (2001~2003)
- 이사회 의장
- 이윤우 (2007~2009)
- 강정호 (2012~2015)
- 대표이사 수석 부회장
- 최현만 (2016~2021)
- 대표이사 부회장
- 조웅기 (2018~2021)
- 김미섭 (2023~)
- 허선호 (2023~)
- 대표이사 사장
- 김종수 (1970~1974)
- 조원기 (1974~1976)
- 정종만 (1976~1977)
- 홍인기 (1977~1978)
- 이덕규 (1978~1981)
- 김영규 (1981~1984)
- 김창희 (1984~1999)
- 박종수 (2001~2004)
- 손복조 (2004~2007)
- 김성태 (2007~2009)
- 임기영 (2009~2012)
- 김기범 (2012~2014)
- 홍성국 (2014~2016)
- 조웅기 (2016~2018)
- 이만열 (2022~2023)
- 대표이사 부사장
- 구동현 (2014, 직무 대행)
- 마득락 (2016~2017)
- 대표이사 전무
- 박종수 (1999~2001)
- 대표이사 상무
- 이중구 (1999~2000)
4. 지배 구조
2023년말 기준<rowcolor=#ffffff> 주주명 | 지분율 |
미래에셋캐피탈 | 30.20% |
자사주 | 22.48% |
네이버 | 7.83% |
국민연금 | 5.20% |
5. 스포츠
6. 광고
대우그룹 시절부터 2009년경까지 한동안 오리콤이 광고를 기획한 바 있다. 1999년 대우그룹에서 분리하면서 '길을 아는 사람들'을 슬로건으로 내세운 뒤, 2000년 3월까지 <육상>, <등대>, <눈길> 등 총 3편의 '길 시리즈'를 선보인 바 있다. 이 중 <눈길> 편은 광고기획사 '킬리만자로' 대표인 박준수 CF감독이 메가폰을 잡아 일본 삿포로에서 찍었으며 성우 김현직이 광고 속 시낭송을 맡았다. 또한 <등대> 편은 본사 직원 3,300여명 중 12명을 모델로 캐스팅한 뒤 회의 장면에 썼으며, 1,4m짜리 등대 미니어처를 광고 말미에 삽입 후 CG 처리까지 했다. 2012년, 증권업계 최초로 현역 아이돌 걸그룹 멤버였던 함은정을 광고 모델로 기용했다.2014년, 차범근을 광고 모델로 기용했으며 CJ E&M 프로그램들(SNL 코리아, 마스터셰프 코리아, 베이스볼 워너B)의 포맷을 이용한 유튜브 광고를 선보였다.
참 쉽죠?로 유명한 밥 로스의 생전 영상을 쓰기도 했다.
2014년 11월, 나몰라패밀리와 현철을 광고 모델로 기용해서 광고를 선보였는데 상당히 파격적이다. 중국어 사내 학습에 차두리까지 맞춤 상품을 제공한다는 광고인데 피트니스 클럽 분위기이다.
2015년 11월 광고
2020년 9월 광고
2021년, 슈퍼주니어 려욱을 광고 모델로 기용했다.
7. 참고 문헌
[1] 이 건물 터가 조선시대 주자소가 있던 자리이며, 기존 사옥은 여의도에 있었으나 (구)미래에셋증권과 합병되면서 구 미래에셋증권의 본사인 중구 수하동 미래에셋센터원이 본사가 됐다.[2] 現 유안타증권과는 다른 회사다.[3] 한국산업은행은 1991년부터 1999년까지 한국산업증권을 운영했다.[4] 2021년 10월 정식 서비스 시작, 2023년 6월 서비스 종료[5] 대우증권으로 바뀌기 직전 로고. 대우실업이 인수하기 전에는 이 사진에서 보듯 한자로 쓰였고, 대우가 인수하면 대우그룹 로고가 붙고 글꼴이 몇 번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