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 [ 멤버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1000><colbgcolor=#7f7377><color=#e7e8da> 종영 당시 멤버 ||
박명수 [[박명수/무한도전| /무한도전]] | 정준하 [[정준하/무한도전|/무한도전]] | 유재석 [[유재석/무한도전|/무한도전]] | 하하 [[하하(가수)/무한도전|/무한도전]] | 조세호 [[조세호/무한도전|/무한도전]] | 양세형 [[양세형/무한도전|/무한도전]]이전 멤버 전진 [[전진(신화)/무한도전| /무한도전]] | 길 [[길(가수)/무한도전|/무한도전]] | 노홍철 [[노홍철/무한도전|/무한도전]] | 정형돈 [[정형돈/무한도전|/무한도전]] | 황광희 [[황광희/무한도전|/무한도전]]기타 관련 인물
문서가 없는 정규편성 이전 멤버는 무한도전/멤버 문서 참조김태호 | 여운혁 | 제영재 | 김란주| 기타 출연진 | 제작진 | 표영호 [[표영호/무한도전| /무한도전]] | 김성수 [[김성수(쿨)/무한도전|/무한도전]] | 이윤석 [[이윤석/무한도전|/무한도전]]
- [ 프로그램 구성 ]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table color=#7f7377><colbgcolor=#7f7377><color=#e7e8da> 역대 시즌 ||
무모한 도전(1기) | 무리한 도전(2기) | 무한도전/퀴즈의 달인(2.5기) | 무한도전(3기) 방영 목록 독립 이전 | 2006년~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역대 코너와 특집 | 무산된 특집프로그램 구성 역대 변천사 | 프로그램 구성 (자막 | 마스코트) | 가요제 | 추격전 | 공포 특집 | 달력 특집 |
스포츠 특집 | 공연 특집 | 무한상사 | 무한뉴스 | 일찍 와주길 바라 | 10주년 대기획
- [ 캐릭터 · 밈 ]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7f7377><color=#e7e8da> 캐릭터 및 부캐 ||
캐릭터 및 소그룹 | 1인자와 2인자 | 거성 | 하와 수 / 토크 | 유돈노 | 신구데블스 |
번지점프 팀 | 무한재석교 | 미존개오 | 쩌리짱 | 뚱스 | 휴먼광희체 | 햇님달님 |
하이브리드 샘이솟아 리오레이비 | 하찮은 | 대북곤 | 방배동 노라 정준연 | 테리 정무한상사 무한상사 등장인물 | 유재석 부장 (유 본부장) | 박명수 차장 | 정준하 과장 | 정형돈 대리 |
노홍철 사원 | 하동훈 사원 | 길성준 인턴 → 사원 | 황광희 인턴 → 사원 | 권지용 사원유행어 및 밈 해골|무한이기주의 | 불장난 댄스 | 안녕하셨쎄요 | 쌩얼 | 보고 있나 | 홍철 없는 홍철팀 | 저질 댄스 | 족발당수 | 쩜오 | 행쇼 | 무리수 | 형이 왜 거기서 나와 | 히트다 히트 | 휴먼광희체 | 무야호 | 앵귀리지 한인회관 | 사랑아 보영해 | 박보검~나 웃겨 | 엄마 나 이번에 퇴비쌓기 올리기 1등 했어요 | 힘을 내요 슈퍼파월 | 북극곰은 사람을 찢어 | 하하 유니버스 | 자 이게 클릭이야 | 네가 하면 나도 한다 | 아유... 하기 싫어... | 느그 아부지 뭐하시노| 오빠, 나 몰라?| 출바알 | 이제는 더 이상 물러날 곳이 없다 | 쪼쪼 댄스 | 모든 미디어가 나예요 | 3대 킬러 | 3대 미스터리 | 잘생겨서 안 좋은 점
- [ 관련 문서 ]
| |||
역대 시즌 | |||
무모한 도전 (1기) | 무리한 도전 (2기) | 무한도전/퀴즈의 달인 (2.5기) | 무한도전 (3기) |
1. 개요
MBC의 간판 프로그램인 무한도전의 2기로 분류되는 시기로 강력추천 토요일의 코너였다.2005년 10월 29일 토요일이 종영되며 코너였던 무모한 도전이 사라지고, 곧바로 강력추천 토요일로 개편되며 탄생한 프로그램. 이름도 아라비아 숫자 2의 의미를 넣어 "무리한 도전"으로 바뀌었다. 무모한 도전이 실상 무모한 도전이었던 것처럼, 이쪽도 무리한 도전이라 마찬가지로 그냥 무한도전이라고 읽었다.
PD는 권석[1]에서 김태호로 변경됐으며, 시청률이 워낙 안 좋아 그냥 종영시키려던 것을 유재석과 같은 프로그램을 하고 싶었던 당시 상상원정대의 조연출이였던 김태호 PD가 자청해서 맡았다고 한다.[2] 무모한 도전 때와 달리 메인 프로그램으로 자리잡고 제대로 된 예산을 지급받았으나, 하는 건 여전히 3D 슬랩스틱 코미디였다. 하지만 여전히 시청률은 저조했고 촬영할 때보다 결과물의 재미가 덜해 시스템 문제일까 캐릭터 문제일까 고민하던 김태호는 원점부터 시작하자 싶어 캐릭터를 명확하게 잡을 수 있는 스튜디오로 들어가게 되며, 무리한 도전은 6회만에 개편에 들어가게 된다.
참고로 무리한 도전을 기점으로 나레이션 성우도 시영준에서 이철용으로 교체됐다.[3]
2. 내용
이전의 무모한 도전처럼 황당한 도전이 주를 이뤘다.조혜련이 입은 황금옷은 에이스의 복장.
무모한 도전은 멤버 5명+게스트 1명으로 진행된 반면, 이 무리한 도전은 멤버만 8명이었다. 게스트까지 추가되면[4] 9명이나 되지만, 실제 도전할 수 있는 멤버는 5명 뿐이었기에 나머지 3~4명은 응원을 했다. 몸을 쓰는 미션이 많아 체력이 부실한 박명수, 이윤석은 고정으로 탈락.[5] 그래서 이윤석은 하차 이후 '무리한 도전에 나와 무리(훈련)만 하고 도전은 못해 봤다'고 회고했다.
3. 출연자
박명수는 예전 무모한 도전에 게스트로 등장한 뒤, 고정 멤버가 된 바가 있다. 박명수는 이전 시즌인 무모한 도전에서 하차한 후, 본 프로그램인 무리한 도전 시기에 복귀했다.
4. 무모한 도전과의 차이점
멤버가 보강된 데 이어 이전에 말 뿐이던 에이스에게 도전할 수 있는 멤버를 선택하게 하는 등의 권한을 부여한다고 했지만, 실상은 별반 차이가 없었다. 이 때도 항상 유재석, 노홍철은 고정 도전멤버였기에 기껏해야 에이스를 제외하고 나머지 1~2명을 고르는 정도였다. 더불어 에이스의 황금복장이 추가됐다.무리한 도전의 회차별 도전 멤버 일람 | |||||||||
도전명 | 유재석 | 정형돈 | 노홍철 | 김성수 | 박명수 | 이윤석 | 조혜련 | 윤정수 | 봉태규 |
그네 야구 | 도전 | 도전 | ACE | 벤치 | 벤치 | 벤치[6] | 도전 | 도전 | |
조랑말과 달리기 | 도전 | 도전 | 도전 | ACE | 벤치 | 벤치 | 도전 | 벤치 | |
소방차와 불끄기 | 도전 | 벤치 | 도전 | ACE | 벤치 | 조퇴[7] | 벤치 | 도전 | 도전 |
청소차와 낙엽쓸기 | 벤치 | 벤치 | 도전 | 벤치 | 도전 | 도전 | ACE | 도전 | |
총 도전 횟수 | 3 | 2 | 4 | 2 | 1 | 1 | 3 | 3 | 1 |
5. 비운의 프로그램
무한도전 퀴즈의 달인 20회 특집 당시 유재석이 밝힌 바에 따르면, 시청률이 너무 안 좋아 후속 방송할 다른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었다고 한다.[8] 그래서 단 6회만에 막을 내리게 됐다.[9] 그 뒤 무리한 도전에서 이후 무한도전/퀴즈의 달인으로 이어졌다.[10]비록 몇회만에 끝났지만 이 프로그램의 로고는 생각보다 오래 살아남았는데 바로 하늘색 말풍선 테두리에 흰색 바탕의 자막바에 무리한 도전의 로고가 남아있었다.[11] 이는 2009년 서바이벌 동거동락 2부부터 무도리로 변경되면서 사라졌다.
[1] 이후에 무한도전에서 권석은 등장하거나 이름이 나올 때마다 반농담조로 프로그램 버리고 튄 형이라고 비난 받곤 했었다.[2] 김태호는 후에 인터뷰에서도 무한도전의 컨셉에 큰 애착이 있었다기 보단 유재석이 좋아서 유재석이랑 친해지고 다음 프로그램 때 같이 하고 싶어서 무한도전을 맡았다고 말하기도 했다. # 금방 끝날 것 같았고 금방 끝나기를 바랬던 프로그램을 13년을 맡게 된 것.[3] 3기 무한도전에선 이 두 성우가 번갈아 나레이션을 맡기도 한다. 이철용은 주로 단발성 에피소드를, 시영준은 추격전 에피소드를 자주 맡는 편.[4] 불끄기 편에서 봉태규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초대됐다.[5] 무리한 도전 최종회(낙엽쓸기)에서 둘 다 도전 멤버로 뽑힌 적이 있다.[6] 도전 멤버로 선발되지 않았지만, 1회 공격을 마치고 조퇴한 조혜련의 대수비로 참여.[7] 도전자 지명 때 출연하지 않음.[8] 정확히는 5주만에 접을 예정이었다고. 무리한 도전으로 바뀌고 나서 5주가 지난 다음 창사 특집으로 한 주 쉬고 다음 주 방송에서 곧바로 컨셉의 변화가 예고된 데엔 이런 사정이 있었다.[9] 그나마 불끄기편은 상/하편으로 나눠 2주간 방송했기에 에피소드로 치면 5회만에 종료됐다.[10] 2005년 12월 10일 오프닝에 무모한도전 시절부터 연이은 실패가 체력의 문제가 아니라 머리의 문제였다며 지적능력향상프로젝트로 바뀌었다.[11]
원본은 무한도전 39화 영어마을 특집.
이 문서는 리그베다 위키에서의 수정 로그 삭제로 인해 과거 로그의 일부가 누락된 문서이며, 문서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나무위키:로그 누락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다실 때는, 문서 최상단에
[[분류:로그 누락 문서]]
를 달아 주세요.로그가 누락된 본 문서의 기여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