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norma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DCA600,#DCA600><nopad>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우네비야마노우시토라능 うねびやまのうしとらのすみのみささぎ 畝傍山東北陵 | 쓰키다노오카노에능 つきだのおかのえのみささぎ 桃花鳥田丘上陵 | 우네비야마노히쓰지사루노미호도노이노에능 うねびやまのひつじさるのみほどのいのえのみささぎ 畝傍山西南御陰井上陵 | 우네비야마노미나미노마나고노타니노에능 うねびやまのみなみのまなごのたにのえのみささぎ 畝傍山南纖沙溪上陵 | |
미산자이 | 쓰카야마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와키노카미노하카타노야마노에능 わきのかみのはかたのやまのえのみささぎ 掖上博多山上陵 | 다마테노오카노에능 たまてのおかのえのみささぎ 玉手丘上陵 | 가타오카노우마사카능 かたおかのうまさかのみささぎ 片丘馬坂陵 | 쓰루기노이케노시마노에능 つるぎのいけのしまのえのみささぎ 劔池嶋上陵 | |
나카야마즈카 1-3호분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가스가노이자카와노사카노에능 かすがのいざかわのさかのえのみささぎ 春日率川坂上陵 | 야마노베노미치노마가리노오카노에능 やまのべのみちのまがりのおかのえのみささぎ 山邊道勾岡上陵 | 스가와라노후시미 동릉 すがわらのふしみのひがしのみささぎ 菅原伏見東陵 | 야마노베노미치노에능 やまのべのみちのえのみささぎ 山邊道上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사키노타타나미노이케지리능 さきのたたなみのいけじりのみささぎ 狹城盾列池後陵 | 에가노나가노 서릉 えがのながののにしのみささぎ 惠我長野西陵 | 에가노모후시노오카능 えがのもふしのおかのみささぎ 惠我藻伏崗陵 | 모즈노미미하라 중릉 もずのみみはらのなかのみささぎ 百舌鳥耳原中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모즈노미미하라 남릉 もずのみみはらのみなみのみささぎ 百舌鳥耳原南陵 | 모즈노미미하라 북릉 もずのみみはらのきたのみささぎ 百舌鳥耳原北陵 | 에가노나가노 북릉 えがのながののきたのみささぎ 惠我長野北陵 | 스가와라노후시미 서릉 すがわらのふしみのにしのみささぎ 菅原伏見西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다지히노타카와시노하라능 たじひのたかわしのはらのみささぎ 丹比高鷲原陵 | 고우치노사카도노하라능 こうちのさかどのはらのみささぎ 河內坂門原陵 | 가타오카노이와쓰키노오카 남릉 かたおかのいわつきのおかのみなみのみささぎ 傍丘磐坏丘南陵 | 하뉴노사카모토능 はにゅうのさかもとのみささぎ 埴生坂本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가타오카노이와쓰키노오카 북릉 かたおかのいわつきのおかのきたのささぎ 傍丘磐坏丘北陵 | 미시마노아이노능 みしまのあいののみささぎ 三嶋藍野陵 | 후루이치노타카야노오카능 ふるちのたかやのおかのみささぎ 古市高屋丘陵 | 무사노쓰키사카노에능 むさのつきさかのえのみささぎ 身狹桃花鳥坂上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
히노쿠마노사카아이능 ひのくまのさかあいのみささぎ 檜隈坂合陵 | 고우치노시나가노나카노오능 こうちのしながのなかのおのみささぎ 河內磯長中尾陵 | 고우치노시나가노하라능 こうちのしながのはらのみささぎ 河內磯長原陵 | 구라하시노오카능 くらはしのおかのみささぎ 倉梯岡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제36대 | |
시나가노야마다능 しながのやまだのみささぎ 磯長山田陵 | 오사카노우치능 おさかのうちのみささぎ 押坂內陵 | 제37대 사이메이 천황 | 오사카노시나가능 おおさかのしながのみささぎ 大阪磯長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
오치노오카노에능 おちのおかのえのみささぎ 越智崗上陵 | 야마시나능 やましなのみささぎ 山科陵 | 나가라노야마사키능 ながらのやまさきのみささぎ 長等山前陵 | 히노쿠마노오우치능 ひのくまのおおうちのみささぎ 檜隈大內陵 | |
구루마기 겐노 고분 | 엔조지 가메오카 고분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41대 | 제42대 | 제43대 | 제44대 | |
히노쿠마노오우치능 ひのくまのおおうちのみささぎ 檜隈大內陵 | 히노쿠마노아코노오카노에능 ひのくまのあこのおかのえのみささぎ 檜隈安古岡上陵 | 나호야마 동릉 なほやまのひがしのみささぎ 奈保山東陵 | 나호야마 서릉 なほやまのにしのみささぎ 奈保山西陵 | |
구리하라 쓰카아나 고분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45대 | 제46대 | 제47대 | 제48대 | |
사호야마 남릉 さほやまのみなみのみささぎ 佐保山南陵 | 제48대 쇼토쿠 천황 | 아와지능 あわじのみささぎ 淡路陵 | 다카노능 たかののみささぎ 高野陵 | |
호렌 기타바타케 고분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49대 | 제50대 | 제51대 | 제52대 | |
다하라 동릉 たはらのひがしのみささぎ 田原東陵 | 가시와바라능 かしわばらのみささぎ 柏原陵 | 야마모모능 やまもものみささぎ 楊梅陵 | 사가노야마노에능 さがのやまのえのみささぎ 嵯峨山上陵 | |
다하라 쓰카노모토 고분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53대 | 제54대 | 제55대 | 제56대 | |
[[오하라노노니시노미네노에능|오하라노노니시노미네노에능 おおはらののにしのみねのえのみささぎ 大原野西嶺上陵]] | 후카쿠사능 ふかくさのみささぎ 深草陵 | 다무라능 たむらのみささぎ 田邑陵 | 미즈노오야마능 みずのおやまのみささぎ 水尾山陵 | |
우즈마사 산비 고분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57대 | 제58대 | 제59대 | 제60대 | |
가구라가오카 동릉 かぐらがおかのひがしのみささぎ 神樂岡東陵 | 노치노타무라능 のちのたむらのみささぎ 後田邑陵 | 오우치야마능 おおうちやまのみささぎ 大內山陵 | 노치노야마시나능 のちのやましなのみささぎ 後山科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61대 | 제62대 | 제63대 | 제64대 | |
다이고능 だいごのみささぎ 醍醐陵 | 무라카미능 むらかみのみささぎ 村上陵 | 사쿠라모토능 さくらもとのみささぎ 櫻本陵 | 노치노무라카미능 のちのむらかみのみささぎ 後村上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65대 | 제66대 | 제67대 | 제68대 | |
가미야가와노호토리능 かみやがわのほとりのみささぎ 紙屋川上陵 | 엔유지 북릉 えんゆうじのきたのみささぎ 圓融寺北陵 | 기타야마능 きたやまのみささぎ 北山陵 | 보다이주인능 ぼだいじゅいんのみささぎ 菩提樹院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69대 | 제70대 | 제71대 | 제72대 | |
엔조지능 えんじょうじのみささぎ 圓乘寺陵 | 엔쿄지능 えんきょうじのみささぎ 圓敎寺陵 | 엔소지능 えんそうじのみささぎ 圓宗寺陵 | 조보다이인능 じょうぼだいいんのみささぎ 成菩提院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73대 | 제74대 | 제75대 | 제76대 | |
노치노엔쿄지능 のちのえんきょうじのみささぎ 後圓敎寺陵 | 안라쿠주인능 あんらくじゅいんのみささぎ 安樂壽院陵 | 시라미네능 しらみねのみささぎ 白峯陵 | 안라쿠주인 남릉 あんらくじゅいんのみなみのみささぎ 安樂壽院南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77대 | 제78대 | 제79대 | 제80대 | |
호주지능 ほうじゅうじのみささぎ 法住寺陵 | 고류지능 こうりゅうじのみささぎ 香隆寺陵 | 세이칸지능 せいかんじのみささぎ 清閑寺陵 | 노치노세이칸지능 のちのせいかんじのみささぎ 後清閑寺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81대 | 제82대 | 제83대 | 제84대 | |
아미다지능 あみだじのみささぎ 阿彌陀寺陵 | 오하라능 おおはらのみささぎ 大原陵 | 가네가하라능 かねがはらのみささぎ 金原陵 | 오하라능 おおはらのみささぎ 大原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85대 | 제86대 | 제87대 | 제88대 | |
구조능 くじょうのみささぎ 九條陵 | [[쓰키노와능|간온지능 かんおんじのみささぎ 觀音寺陵]] | [[쓰키노와능|쓰키노와능 つきのわのみささぎ 月輪陵]] | 사가 남릉 さがのみなみのみささぎ 嵯峨南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89대 | 제90대 | 제91대 | 제92대 | |
[[후카쿠사 북릉|후카쿠사 북릉 ふかくさのきたのみささぎ 深草北陵]] | 가메야마능 かめやまのみささぎ 龜山陵 | 렌게부지능 れんげぶじのみささぎ 蓮華峯寺陵 | [[후카쿠사 북릉|후카쿠사 북릉 ふかくさのきたのみささぎ 深草北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93대 | 제94대 | 제95대 | 제96대 | |
[[후카쿠사 북릉|후카쿠사 북릉 ふかくさのきたのみささぎ 深草北陵]] | 기타시라카와능 きたしらかわのみささぎ 北白河陵 | 주라쿠인노우에능 じゅうらくいんのうえのみささぎ 十樂院上陵 | 도노오능 とうのおのみささぎ 塔尾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97대 | 제98대 | 제99대 | 제100대 | |
히노오능 ひのおのみささぎ 檜尾陵 | 사가 동릉 さがのひがしのみささぎ 嵯峨東陵 | 사가노오구라능 さがのおぐらのみささぎ 嵯峨小倉陵 | [[후카쿠사 북릉|후카쿠사 북릉 ふかくさのきたのみささぎ 深草北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101대 | 제102대 | 제103대 | 제104대 | |
[[후카쿠사 북릉|후카쿠사 북릉 ふかくさのきたのみささぎ 深草北陵]] | 노치노야마쿠니능 のちのやまくにのみささぎ 後山國陵 | [[후카쿠사 북릉|후카쿠사 북릉 ふかくさのきたのみささぎ 深草北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105대 | 제106대 | 제107대 | 제108대 | |
[[후카쿠사 북릉|후카쿠사 북릉 ふかくさのきたのみささぎ 深草北陵]] | [[쓰키노와능|쓰키노와능 つきのわのみささぎ 月輪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109대 | 제110대 | 제111대 | 제112대 | |
[[쓰키노와능|쓰키노와능 つきのわのみささぎ 月輪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113대 | 제114대 | 제115대 | 제116대 | |
[[쓰키노와능|쓰키노와능 つきのわのみささぎ 月輪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117대 | 제118대 | 제119대 | 제120대 | |
[[쓰키노와능|쓰키노와능 つきのわのみささぎ 月輪陵]] | [[쓰키노와능|노치노쓰키노와능 のちのつきのわのみささぎ 後月輪陵]] | |||
<rowcolor=#DCA600,#DCA600><nopad> 제121대 | 제122대 | 제123대 | 제124대 | |
[[쓰키노와능|노치노쓰키노와 동산릉 のちのつきのわのひがしのみささぎ 後月輪東山陵]] | [[후시미모모야마능|후시미모모야마능 ふしみのももやまのみささぎ 伏見桃山陵]] | 다마능 たまのみささぎ 多摩陵 | 무사시노능 むさしののみささぎ 武藏野陵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radial-gradient(circle at 50% 50%, #fe0000 49.9%, transparent 50.1%)"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e0000,#fe0000>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문화유산 | ||
1993년 호류지 지역의 불교 기념물 法隆寺地域の仏教建造物 | 1993년 히메지 성 姫路城 | 1994년 고대 교토의 역사 기념물 古都京都の文化財(京都市、宇治市、大津市) | |
1995년 시라카와고와 고카야마 역사 마을 白川郷・五箇山の合掌造り集落 | 1996년 히로시마 평화 기념관 (원폭 돔) 原爆ドーム | 1996년 이츠쿠시마 신사 厳島神社 | |
1998년 고대 나라의 역사 기념물 古都奈良の文化財 | 1999년 닛코의 신사와 사찰 日光の社寺 | 2000년 류큐 왕국의 구스쿠 유적지와 관련 유산 琉球王国のグスク及び関連遺産群 | |
2004년 기이 산지의 영지와 참배길 紀伊山地の霊場と参詣道 | 2007년 이와미 은광과 문화 경관 石見銀山遺跡とその文化的景観 | 2011년 히라이즈미 : 불교 정토 사상을 대표하는 사찰, 정원, 고고 유적군 平泉 - 仏国土(浄土)を表す 建築 ・ 庭園及び考古学的遺跡群 | |
2013년 후지 산 : 성스러운 장소 그리고 예술적 영감의 원천 富士山 - 信仰の対象と芸術の源泉 | 2014년 토미오카 제사 공장과 관련 유적지 富岡製糸場と絹産業遺産群 | 2015년 일본의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 철강, 조선 및 탄광 明治日本の産業革命遺産: 製鉄・製鋼、造船、石炭産業 | |
2016년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 작품 : 모더니즘 운동에 관한 탁월한 기여 ル・コルビュジエの建築作品 - 近代建築運動への顕著な貢献 | 2017년 신이 사는 섬 무나카타 오키노섬과 관련 유산군 「神宿る島」宗像・沖ノ島と関連遺産群 | 2018년 나가사키 지역의 은둔 기독교 유산 長崎と天草地方の潜伏キリシタン関連遺産 | |
2019년 모즈·후루이치 고분군 : 고대 일본의 무덤 百舌鳥・古市古墳群 - 古代日本の墳墓群 | 2021년 홋카이도 · 북도호쿠의 조몬 유적군 北海道・北東北の縄文遺跡群 | 2024년 사도 광산 佐渡金山 | |
자연유산 | |||
1993년 야쿠섬 屋久島 | 1993년 시라카미 산지 白神山地 | 2005년 시레토코 知床 | |
2011년 오가사와라 제도 小笠原諸島 | 2021년 아마미 오시마, 도쿠노시마, 오키나와섬 북부와 이리오모테 奄美大島、徳之島、沖縄島北部及び西表島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 | 유네스코 세계유산 UNESCO World Heritage | |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름 | 한국어 | 모즈·후루이치 고분군 : 고대 일본의 무덤 | |
일본어 | 百舌鳥・古市古墳群 - 古代日本の墳墓群 | ||
영어 | Mozu-Furuichi Kofun Group: Mounded Tombs of Ancient Japan | ||
프랑스어 | Ensemble de kofun de Mozu-Furuichi : tertres funéraires de l’ancien Japon | ||
국가·위치 |
오사카부사카이시 하비키노시 후지이데라시 | ||
등재유형 | 문화유산 | ||
지정번호 | 1593 | ||
등재연도 | 2019년 | ||
등재기준 | (ⅲ)[1], (ⅳ)[2] | }}} |
|
닌토쿠 덴노의 무덤으로 알려진 다이센능 고분(大仙陵古墳) |
1. 개요
모즈·후루이치 고분군(百舌鳥・古市古墳群)은 일본 오사카부 사카이시, 하비키노시, 후지이데라시에 있는 고분군이다.원래 고분(古墳)은 광의의 개념으로는 '오래된 무덤'이나 '고대의 무덤', 더 가까이는 분구묘를 뜻하지만 여기서는 협의의 개념으로 일본의 특정 시대(고훈 시대)에 나타는 특정한 형태의 분구묘를 가리킨다. 보통명사(일반명사)로 사용되는 단어이지만 일본의 고유명사의 개념이 섞였다고 보면 된다.
모즈·후루이치 고분군은 사카이시의 모즈 고분군(百舌鳥古墳群)과 하비키노시, 후지이데라시의 후루이치 고분군(古市古墳群)으로 구성되는데 두 고분군은 약 10 km 정도 떨어졌다. 모즈 고분군의 고분 21기(닌토쿠 덴노의 고분에 고분 2기가 딸려 있어서 실제로는 23기)와 후루이치 고분군의 고분 24기(오진 덴노의 고분에 고분 2기가 딸려 있어서 실제로는 26기)를 합쳐 모두 45기가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지정되었다.
2. 역사
야요이 시대에 일본 각지에 지방 세력, 소규모 국가들이 생겨나면서 이러한 집단의 수장들을 위한 무덤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는데 이 무덤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지역마다 특색을 갖추게 됐다. 특히 흙을 높이 쌓아 분구를 만들어 매장하는 형태가 많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무덤을 고분(古墳)이라고 부른다.일본의 고분들은 3세기 중반 정도 되면 대부분의 고분이 지역과 상관없이 유사한 형태와 모습으로 통일되며 비슷해지기 시작한다. 이러한 고분 문화는 야마토 왕권이 나타나기까지 약 300년 정도 지속되는데 이 시대를 고훈 시대라 부른다. 지금도 일본 전역에 약 16만기에 달하는 고분이 산재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구조
모즈·후루이치 고분군에서 볼 수 있는 고분들은 전방후원분(열쇠구멍형), 가리비형 고분, 원분(둥근꼴 무덤), 방분(네모꼴 무덤) 등 크게 4가지 형식을 하였다. 각 고분들의 크기는 작은 것은 20 m에서 큰 것은 486 m에 달하는 등 다양하다.일본의 고분은 일반적인 무덤처럼 매장을 한 후 그 위에 흙을 쌓아 분구(봉분)를 만든 것이 아니라, 먼저 흙을 높이 쌓아 분구를 만든 후 중심부를 일부 파내 매장 시설을 만들어 그 안에 매장하는 분구묘 형식으로 만들었다. 분구의 사면에는 붕괴를 막기 위해 자갈(즙석)을 깔았고 마지막으로 하니와라는 일본식 토용을 제작해 분구 주변 곳곳을 장식했는데, 닌토쿠 덴노의 다이센 고분처럼 크기가 큰 곳에선 하니와를 2만 개 이상 사용했으리라 추정한다.
|
고베시에 있는 고시키즈카 고분(五色塚古墳). 일본에서 처음으로 복원된 고분으로 대부분의 고분군이 이러한 형태였다고 추정한다. |
4. 공개 여부
고분 45기 중 29기는 천황릉(6기), 황후릉(1기) 등 황족의 무덤으로 궁내청이 관리한다. 현 천황가의 황릉으로 신성시되다보니 학술조사는 시도조차 못하고 있다.[3] 그래서 고분의 실제 피장자가 누구인지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가장 큰 다이센 고분의 피장자가 닌토쿠 덴노라는 것도 추정에 불과하다. 이런 이유로 궁내청이 지정한 '닌토쿠천황릉고분'이란 이름으로 세계유산에 등재를 했지만, 피장자의 신분을 학술적으로 확인하지 못하였으므로 현지에서 부르는 '다이센 고분'이란 명칭으로 신청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었다.5. 고분군
5.1. 모즈 고분군(사카이시)
원래 이 지역에는 고분들이 100기가 넘게 있었으나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개발되는 와중에 하나둘씩 사라져 현재는 44기가 남았는데, 이중 21기가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모즈 고분군에는 천황릉(16대 닌토쿠 덴노[2번], 17대 리추 덴노[15번], 18대 한제이 덴노[1번]) 3기가 있는데 이 중에 닌토쿠 덴노의 무덤으로 알려진 다이센 고분(大仙陵古墳)은 길이 486 m(해자까지 포함하면 840 m), 높이 34.8 m에 달하는 대형 고분으로 일본에서 가장 크며 일본에서는 기자의 대피라미드, 진시황릉과 함께 세계 3대 고분이라 부른다. 리추 덴노의 카미이시즈미산자이 고분(上石津ミサンザイ古墳)도 길이 365 m 높이 27.6 m로 일본에서 3번째로 큰 고분이다.
5.2. 후루이치 고분군(하비키노시·후지이데라시)
이 지역에도 100기가 넘는 고분들이 있었지만 현재는 87기가 남았고 이중 24기가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후루이치 고분군에는 천황릉(14대 주아이 덴노[23번], 15대 오진 덴노[33번], 19대 인교 덴노[25번]) 3기, 황후릉(오진 덴노의 황후 나카쓰히메노미코토(仲姫命)[26번]) 1기, 야마토타케루의 고분으로 추정되는 백조릉(白鳥陵, 45번)이 있다. 여기서는 오진 덴노의 콘다고묘야마 고분(誉田御廟山古墳)이 가장 큰데 길이 425 m, 높이 36 m로 일본에서 2번째로 큰 고분이다.
이 밖에 세계유산에는 포함되지 않은 천황릉 5기(21대 유랴쿠 덴노(2기), 22대 세이네이 덴노, 24대 닌켄 덴노, 27대 안칸 덴노의 무덤)과 황후릉 1기(안칸 덴노의 황후 카스가노야마다 황녀[春日山田 皇女])가 있는데, 물론 진짜 피장자의 신분은 모르므로 어디까지나 추정이다.
6. 찾아가는 길
모즈 고분군은 다이센 고분 기준으로 간사이 국제공항(간사이 공항역)이나 신오사카역에서 40분쯤 이동해 한와선 모즈역까지 가면 된다. 모즈역에서 약 500 m 정도 떨어져 있다.[4]후루이치 고분군은 콘다고묘야마 고분 기준으로 간사이 국제공항(간사이 공항역)에서는 한와선을 이용해 40분 정도, 신오사카역에서는 20분 정도 이동하여 텐노지역까지 간 후 건너편에 있는 킨테츠 미나미오사카선 오사카아베노바시역으로 가서 15분 정도 이동해 하지노사토역까지 가면 된다. 하지노사토역에서 약 1 km 남짓 거리에 있다.
모즈역이나 후루이치역에서 서로간에 이동할 경우 신오사카역, 텐노지역, 오사카아베노바시역을 거쳐 약 30분이 소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