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15:44:59

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

롤 아레나에서 넘어옴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가로형 로고_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d3e4f><colcolor=#fff>기본 모드소환사의 협곡 · 무작위 총력전 · 전략적 팀 전투 · 격전 · 랭크 게임 · AI 상대 대전
이벤트 모드U.R.F 모드 · 돌격! 넥서스 · 궁극기 주문서 · 아레나 · 기타
챔피언 관련역할군 · 능력치 · 스킬 · 특수 능력 · 군중제어기(CC) · 소환사 주문 · 스킨
유닛챔피언 · 구조물 · 포탑 · 미니언
정글몬스터 · 협곡 바위 게 · 협곡의 전령 · 내셔 남작(바론) · 식물
드래곤바람 · 대지 · 화염 · 바다 · 마법공학 · 화학공학 · 장로 · 시즌 6 이전
정밀 · 지배 · 마법 · 결의 · 영감 · 시즌 8 이전
아이템시작 · 기본 · 서사 · 전설 · 소모품 · 장화 · 특수 · 삭제된 아이템
전략 · 정글 · 미드 · 바텀 · 서포터
세계관챔피언 관계 · 룬테라 · 종족 · 스토리 · 멀티버스 · 유니버스 이전 · 영상 · 음악 · 타임라인 · 지역 · 등장인물 · 세력
월드 챔피언십 · MSI · 시즌 킥오프 · 올스타전 · 전설의 전당 · LCK · LCS · LEC · LPL · 세체 · 역체 · 골든 로드 · Silver Scrapes · 우리는 틀리지 않았다
문제점비매너 게임 · 밸런스 · 대리 게임/어뷰징 · 버그 · 스토리 · 팬 문화 · 서포터 혐오
사건 사고2011~2015 · 2016~2020 · 2021~2025 · 틀:개별 문서가 있는 논란 및 사건 사고
업데이트
패치 내역 · 시즌 · 프리시즌
1557 · 가붕이 · 야 꿀벌 · 전국 우르곳 협회 · 정글차이 · 럼자오자레
기타시스템 · 서버 · 클라이언트 UI · 인게임 · 도전과제 · 용어 · PBE · 개발자 · 흥행 · 패러디 · 미디어 믹스 · 감시단의 비상 · 이스터 에그}}}}}}}}}

1. 개요2. 매칭 및 플레이 방식3. 특징4. 맵5. 아이템6. 증강7. 밸런스 조정8. 챔피언 유불리
8.1. 유리한 챔피언8.2. 불리한 챔피언
9. 팁10. 특이한 전략11. 역사
11.1. 열린 기간 (KR)11.2. 패치 내역
12. 기타

1. 개요

파일:Arena Promo.png
다중 팀 게임 모드에서 홀로 싸우거나 친구와 함께 팀을 이루세요. 다양한 아레나에서 적을 상대로 치열한 전투를 벌이세요.

리그 오브 레전드의 투기장 형식 게임 모드. 소울 파이터 업데이트로 2023년 7월 21일에 출시되었다. 게임 목표는 플레이어 16명이 2인 1조로 팀을 이뤄 매 라운드마다 2vs2 교전으로 승패를 가리고 진 팀의 체력을 깎는 방식으로 끝까지 살아남는 것이다.

2. 매칭 및 플레이 방식

  • 밴, 픽, 라운드로 진행된다. 우선 큐가 잡히면 로비에 총 16명의 플레이어가 2인 1조로 참가한다.[1] 팀별로 1픽이 챔피언을 금지할 수 있고 다중 팀으로 구성된다는 특성상 밴이 중복될 가능성이 높아 이를 막기 위해 밴한 챔피언은 즉시 공개된다. 밴이 모두 끝나면, 1픽이 자신이 사용할 챔피언을 고르고, 모든 1픽이 챔피언을 확정하면 공개되며 공개된 챔피언이 나왔을 때는 2픽이 그 챔피언을 픽할 수 없다. 그 뒤 2픽도 같은 방식으로 챔피언을 고르면 게임이 시작된다.[2]
  • 룬을 선택할 수 없고[3] 소환사 주문은 점멸과 모드 한정 주문인 도주[4]로 고정된다.[5]
  • 매 라운드는 준비 시간(최대 30초)과 결전 시간의 반복으로 진행된다. 플레이어는 준비 시간에만 아이템을 구입할 수 있으며, 준비 시간 동안 아군 2명 모두 아이템을 구매했으면 허수아비가 소환 된다.
  • 라운드마다 골드를 받거나 증강을 선택할 수 있다. 순서는 아래와 같다.
    • {{{#!folding 라운드별 추가 보상 [ 펼치기 / 접기 ]
||<tablecolor=#FFFFFF><tablealign=left><tablebgcolor=#0f1a18><colbgcolor=#5c4a2d>라운드||추가 보상||챔피언 레벨||
1500골드 및 신규 증강3
2500골드 및 추가 능력치 모루5
3프리즘 아이템 모루7
42,500골드9
52,250골드11
6신규 증강12
7추가 능력치 모루13
82,250골드14
9신규 증강15
10추가 능력치 모루16
112,250골드17
12신규 증강18
13~152,250골드
이 중 5, 9, 13라운드는 판돈이 상승하여, 해당 라운드 승리 시 체력이 15 증가하고, 새로고침을 1회 부여하는 행운의 주사위를 얻을 수 있다.
}}}

* 모든 플레이어는 MMR 500으로 시작하며, 티어는 MMR에 따라 5개로 나뉜다. 한번 승급하고 나면 강등되지는 않는 것이 특징.
* {{{#!folding [ 티어 펼치기 / 접기 ]
||<tablecolor=#FFFFFF><tablealign=left><tablebgcolor=#0f1a18><colbgcolor=#5c4a2d>티어||MMR||
우드0 ~ 1399
브론즈1400 ~ 2599
실버2600 ~ 3299
골드3300 ~ 3999
글래디에이터4000 이상
}}}
  • 각 팀은 100의 팀 체력을 갖고 시작하며 라운드에서 패배하면 일정한 양만큼 체력이 깎인다. 감소량은 라운드가 진행될수록 커진다.
    • {{{#!folding 라운드별 체력 감소치 [ 펼치기 / 접기 ]
||<tablecolor=#FFFFFF><tablealign=left><tablebgcolor=#0f1a18><colbgcolor=#5c4a2d>라운드||패배 시 피해량||
1~515
6~925
10~1345
14~1555
}}}
  • 항복은 6분 이후 전투가 끝난 상태에서 투표할 수 있다.

3. 특징

  • 2인 1조 플레이, 증강, 팀 체력 감소 등 전략적 팀 전투의 시스템이 대거 도입되었다.
  • 시작 시 칼바람 나락과 동일하게 3레벨로 시작하며, 이후 라운드가 끝날 때마다 2레벨씩 오른다. 또한 상대를 처치하면 승패 유무와 무관하게 각각 1라운드당 1회 한정으로 250골드를 받으며 상대팀을 2인을 먼저 전멸 시킨 쪽이 라운드에서 승리한다. 때문에 이 게임 모드에서는 성장 차이나 스노우볼링 개념이 크게 없다.
  • 나서스, 베이가, 사이온, 세나 등 스택 누적형 패시브를 보유한 챔피언은 라운드마다 임의의 값만큼 스택이 증가한다.
  • 라운드마다 각팀의 챔피언이 처음으로 쓰러지면 12초~8초(라운드 수에 따라)가 지나고 1회 한정으로 아군이 부활시켜 줄 수 있다. 아래와 같은 규칙이 있다.
    • 아군이 사망한 아군 근처에 3초 동안 있으면 해당 아군이 부활하고 150+레벨당 75만큼 체력을 회복한다.[6]
    • 부활 시간은 누적된다. 쓰러진 아군 곁에서 1초 동안 있고, 떨어진 후 다시 돌아오면 부활에 필요한 시간은 단 2초다.
    • 부활시키는 챔피언의 체력 회복량/보호막 흡수량에 따라 줄어들고 부활시키는 챔피언의 팀 체력이 적 팀보다 얼마나 낮은 지에 따라서도 줄어든다.
    • 부활하면 무적 및 지정 불가 상태가 되며 0.75초 동안 공격하거나 스킬을 사용할 수 없다. 또한 3초(또는 무적 시간이 끝난 후 2.25초) 동안 서서히 사라지는 30%의 피해 감소, 75%의 이동 속도, 50%의 강인함을 얻는다.
    • 질리언의 R - 시간 역행, 자크의 패시브 - 세포 분열 또는 수호 천사 등의 다른 부활 효과를 받고 있는 경우에는 제외된다.
  • 모든 챔피언은 '아레나 능력치 조정'이라는 버프를 얻는다. 버프는 근거리, 원거리 챔피언에게 서로 다르게 적용되며 자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롤 오오라.png
 
아레나 능력치 조정
 

챔피언이 추가 능력치 획득:
- 파일:롤아이콘-체력_신규.png 체력: 파일:롤아이콘-근거리.png 150 ~ 1250파일:롤아이콘-레벨.png | 파일:롤아이콘-원거리.png 267.65 − 1561.76파일:롤아이콘-레벨.png
- 파일:롤아이콘-물리방어력_신규.png 방어력: 파일:롤아이콘-근거리.png 4.47 ~ 9.41파일:롤아이콘-레벨.png | 파일:롤아이콘-원거리.png 2.24 ~ 4.71파일:롤아이콘-레벨.png
- 파일:롤아이콘-마법저항력_신규.png 마법 저항력: 파일:롤아이콘-근거리.png 4.47 ~ 9.41파일:롤아이콘-레벨.png | 파일:롤아이콘-원거리.png 2.24 ~ 4.71파일:롤아이콘-레벨.png
- 파일:롤아이콘-마나.png 마나: 250 파일:롤아이콘-기력_기본스탯.png 기력: +50%
- 대상 체력의 1.5%에 해당하는 파일:롤아이콘-적중 시 효과.png 적중 시 피해량, 동료 사망 시 두 배로 증가

자신과 동료의 잃은 체력 합계에 비례한 추가 능력치 적용. 최대:
- 이동 속도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 45
- 강인함 및 둔화 저항 파일:롤아이콘-강인함_신규.png 15%
- 마나 재생 파일:롤아이콘-마나재생.png: 12.5 파일:롤아이콘-기력재생_기본스탯.png 기력 재생: +100%

원거리 챔피언의 경우 추가 획득:
- 파일:롤아이콘-이동속도_신규.png 이동 속도: 파일:롤아이콘-원거리.png 20
- 파일:롤아이콘-스킬가속.png 스킬 가속: 파일:롤아이콘-원거리.png 20

또한 공격 속도 제한이 없고, 100%를 초과하는 치명타 확률 파일:롤아이콘-치명타확률.png은 적응형 공격력 또는 주문력으로 획득합니다. 주문 취소 : 지난 7초 중 5초 동안 이동 불가 또는 행동 불가 상태였으면 해방되며 3초간 저지 불가 상태가 됩니다.

추가로 명시되진 않았지만 치명타 피해는 협곡보다 15%p 높은 190%의 피해를 입힌다. 또한 고통스러운 상처가 대상이 최대 체력의 80% 이상을 회복하면 회복 감소량이 60%로 증가한다.}}}
  • 기타 세부적인 특징은 후술한 것을 참고.

4.

파일:동상 덤불.jpg
파일:선조의 숲.jpg
동상 덤불(Frostbite Thicket) 선조의 숲(Ancestral Woods)
파일:사막의 오아시스.png
사막의 오아시스(Desert Oasis) 마그마 방(Magma Chamber[7])
파일:비단잉어 연못.png
비단잉어 연못(Koi Pond)
  • 5개의 전장 중 무작위로 한 곳에서 결투를 치르게 된다.
    • {{{#!folding [ 전장 특징 펼치기 · 접기 ]
  • 동상 덤불 : 프렐요드를 모티브로 한 것같은 전장. 힘의 꽃은 전장 상단 좌측, 우측 부쉬 옆, 하단 가장자리 중앙 이렇게 총 3개가 있다. 부쉬는 전장 중앙과 우측 힘의 꽃 근처에만 있으며, 솔방울탄을 통해 벽을 넘어다니기 용이한 전장이다. 좌측에서 생성되는 진영의 경우 우측보다 힘의 꽃을 먼저 차지하기 좋은 위치이므로 상대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
  • 선조의 숲 : 아이오니아를 모티브로 한 듯 보이는 전장. 힘의 꽃이 전장 정중앙에 단 하나만 존재하기 때문에 일라오이, 샤코, 하이머딩거, 티모같이 지역 장악력이 뛰어난 챔피언이 고평가를 받는 전장이다.[8] 부쉬는 전장 중앙 기준 좌상단-우하단에 하나씩 존재한다.
  • 사막의 오아시스 : 슈리마의 사막을 모티브로 한 듯한 전장. 동상 덤불과 비슷하게 힘의 꽃이 좌상단-우상단-하단 중앙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고, 솔방울탄으로 벽을 넘어다니기 좋은 전장이다. 다만 사막의 오아시스는 진영 생성 위치가 좌상단/우상단이므로, 생성되는 위치에 따라 힘의 꽃 차지에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는 동상 덤불과는 달리 각자 위치에서 가까운 힘의 꽃을 먼저 챙긴 뒤 하단 중앙에 있는 힘의 꽃을 두고 경쟁하는 구도가 만들어질 가능성이 크다.
  • 마그마 방 : 프렐요드 화산 아래 용암지대를 모티브로 한 듯한 전장. 힘의 꽃이 중앙 기준 우측에 하나, 상단 용암 지형에 둘러싸인 채로 하나 있다. 아레나 전장 중 가장 넓은 규모의 부쉬가 존재하며, 같은 부쉬 안에 있어도 적과의 거리가 멀면 보이지 않는다. 힘의 꽃이 2개 존재하기에 자연스레 근처 지역을 점거하면서 농성하는 구도가 자주 나오는 편이나, 상단 지역의 경우 불의 고리가 상대적으로 먼저 접근하기 때문에 우측 지역이 좀 더 안정적인 위치로 보이는 전장이다. 여담으로 용암 지형은 잘 활용하면 상대방의 시야에서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 비단잉어 연못: 14.9 패치에서 추가되었다. 중앙에 연못 다리가 배치되는데 챔피언이 건너가기 시작하면 5.5초후에 봉우리가 되며 그 직전에 챔피언이 있을 경우 가장 가까운 땅으로 밀려난다. 이후 6.5초 후에 연못 다리가 펼쳐진다. 다리가 없을 때에 건너갈 방법이 제한적인 관계로 상대와 대치를 하거나 아니면 솔방울을 타고 들어갈 것인 지 둘 중 하나를 강제한다.
}}}
  • 전장 곳곳에 솔방울탄과 힘의 꽃이 배치되는데, 힘의 꽃은 3번 공격하면 사라지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피어난다. 한 대 때릴 때마다 최대 체력의 6%만큼 체력을 회복시키고, 최대 체력의 7.8%만큼 보호막을 부여하며, 궁극기를 포함한 스킬의 재사용 대기시간을 20%씩 줄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전장 가장자리에 마법공학 정거장이 배치되는데, 0.75초의 캐스팅 시간 후 반대편의 또 다른 정거장으로 이동한다. (파일:롤아이콘-재사용대기시간.png12초) 판정이 상당히 좋아 클릭하자마자 거의 바로 이동하므로, 외곽에서 교전 중일 때 잘못 클릭해 갑작스레 아군을 홀로 남겨놓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
  • 30초가 지나면 불의 고리가 등장하여 5초를 주기로 맵의 중앙으로 접근하는데, 이는 배틀그라운드의 자기장처럼 싸움을 강제해 게임 시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고리 밖으로 나가면 매초 최대 체력의 6%~∞% (매초 3%p씩 증가)에 해당하는 고정 피해와 초당 20%씩 증가하는 고통스러운 상처 효과[9]를 받는다. 불의 고리가 맵을 완전히 덮으면 연장전이 진행된다.
  • 3라운드가 지나면 이후 라운드에 일정 확률로 카메오 챔피언이 등장하며 라운드가 지날수록 카메오 챔피언이 항상 등장하게 된다. 챔피언 판정이기에 어시도 올리고, 상호작용 대사도 친다. 종류 및 출현 효과는 다음과 같다.
    • {{{#!folding [ 카메오 챔피언 목록 ]
  • 럭스 - 빛의 사도(Arclight): 맵의 중앙에서 움직이지 않으며, 그대로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10] 조준선을 그리며 조준선에 닿을 경우 최후의 섬광을 발동해 최대 체력/현재 체력 비례 마법 피해를 가한다. 기존 럭스의 궁과 같이 선딜이 나름 있는 편이고 선을 건들면 발동한다는 특성상 발동 타이밍을 알아채기도 쉬워서, CC기에 걸리거나 진성 뚜벅이가 아닌 이상 파훼 난이도가 낮은 편. 다만 최후의 섬광 범위가 생각보다 넓어서 안전지대가 줄어들기 시작하는 시점부터는 회피 난이도가 상승해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 세트 - 그게 다야?(All you got?): 유일하게 피격이 가능한 카메오로, 체력을 0으로 만들 시 마지막 피해를 가한 챔피언의 상대팀 방향으로 강펀치를 날린다. 기존 세트의 강펀치와 똑같이 중앙 범위는 고정 피해로 들어가며, 덩치가 커진 만큼 범위도 두 배 이상 넓어졌고 체력도 많아 탱커 챔피언이라도 중앙에 적중하면 상당한 피해가 들어간다. 챔피언 취급이라 챔피언만 적중하는 스킬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11]
  • 쓰레쉬 - 야간 급행(Midnight Express)[12]: 전장을 배회하며 가장 멀리있는 챔피언에게 어둠의 통로를 사용한다.
  • - 박수갈채(Round of Applause): 챔피언을 향해 커튼 콜을 8초마다 한 발씩 발사한다. 탄환은 최대 체력 및 현재 체력의 비례한 물리 피해를 입히고, 4번째 탄환은 잃은 체력에 비례한 물리 피해를 입힌다.
  • 파이크 - 죽음의 파도(Death Tides): 자신에게서 가장 멀리 떨어진 챔피언에게 망자의 물살을 사용하여 범위 안에 들어온 적을 기절시키고 약한 피해를 입힌다.
}}}
  • {{{#!folding [ 비활성화된 카메오 ]
  • 그웬 - 신성한 치료사(Hallowed Healer): 12초마다 가장 체력을 많이 잃은 챔피언에게 이동해 체력을 회복시키고 신성한 안개를 씌운다.
  • 나피리 - 무리 순찰대(Pack Patrol) : 나피리와 무리들이 맵을 원형 패턴으로 정찰한다. 나피리와 무리들의 전방에는 부채꼴 모양의 감지 영역이 붙어있는데 챔피언이 이 감지 영역에 들어온 경우 나피리와 무리들이 감지된 챔피언을 추적해 강력한 피해를 입힌다. 단, 감지된 챔피언에게 돌진하던중 그 경로에 다른 챔피언이 있을 경우 그 챔피언이 대신 피해를 받는다.
  • 비에고 - 파멸의 중재(Ruinous Intervention): 처음 죽은 챔피언이 비에고로 부활한다. 부활한 챔피언은 일정 시간 동안 패시브를 포함한 비에고의 스킬들을 사용할 수 있지만, 초당 최대 체력이 15% 감소한다.
  • 사미라 - 연계 콤보(C-C-Combo): 이동 불가 CC기에 맞은 챔피언에게 순간 이동하여 짧은 에어본과 추가 피해를 가한다. 5회 연계 시 지옥불 난사를 사용해 이동하면서 범위 안에 있는 모든 챔피언에게 강력한 피해를 입히며, 지옥불 난사를 시전 하는 동안은 범위 내 챔피언 중 가장 체력이 낮은 챔피언을 추적한다.[13]
  • 사일러스 - 마법사의 위대한 반란(Great Mage Rebellion): 각 챔피언의 점멸이 아닌 다른 소환사 주문을 무작위 챔피언 궁극기로 변환시킨다. 사용 후에는 다시 원래의 소환사 주문으로 바뀐다. 의도한 것인지 우연인진 모르지만 원래 챔피언과 같은 궁극기를 받거나, 한 팀이 같은 궁극기를 받거나 하는 일이 많은 편이다.
  • 샤코 - 숨바꼭질(Hide and Seek): 전장을 배회하기 시작하는데 7초마다 깜작 상자를 배치한다. 상자는 실루엣으로 표시되지만 탐지되기 전까지는 대상 지정 불가 상태가 되고 파괴되거나 발동될 때까지 계속 유지된다.
  • 이블린 - 이블린의 손길(Evelynn's Touch): 모든 챔피언에게 1.5초 비전투 시 위장 효과를 제공한다. 공격하거나 스킬 사용 시에는 즉시 위장 효과가 풀린다.
}}}

5. 아이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증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증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밸런스 조정

===# 챔피언 #===
챔피언 변경점
가렌 W - 매 라운드마다 18.75의 스택 획득
갈리오 성장 체력: 136으로 증가
W - 보호막 재생성 대기시간: 5초로 감소
R - 공중에 뜸 지속 시간: 1.5초로 증가
갱플랭크 Q - 챔피언에게 입힌 피해량의 70%만큼 바다뱀 은화와 골드 획득
라운드 마다 187.5의 바다뱀 은화 획득
그라가스 패시브 - 재사용 대기시간: 4초로 감소
W - 최대 체력 비례 피해량: 12%로 증가
E - 적중 시 돌려받는 재사용 대기시간: 25%로 감소
기본 피해량: 80~220으로 감소
나르 0~357(레벨에 따라) 추가 체력 증가
패시브 - 분노 재생량 50% 증가
피곤해 지속 시간: 5초로 감소
Q - 재사용 대기시간: 14~8초로 감소
둔화율: 25~45%(부메랑 던지기)/40~60%(돌덩이 던지기)로 증가
부메랑 던지기 기본 피해량: 20~200으로 증가
W - 슝슝 점차 감소하는 이동 속도 지속시간: 4초로 증가
E - 재사용 대기시간: 16~8초로 감소
나미 Q - 주문력 계수: 0.7로 증가
W - 피해량: 75~255 (+0.65 주문력)로 증가
회복량: 70~230 (+0.3 주문력)으로 증가
나서스 Q - 매 라운드 마다 50만큼의 스택 획득
나피리 성장 체력: 140으로 증가
패시브 - 추가 공격력 계수: 0.06로 증가
Q - 첫 사용 시 피해량: 45~95 (+0.25 추가 공격력)로 증가
2차 사용 시 최소 피해량: 40~100 (+0.45 추가 공격력)으로 증가
출혈 피해량: 40~200 (+1.0 추가 공격력)으로 증가
회복량: 60~150 (+0.5 추가 공격력)으로 증가
R - 보호막량: 250~750 (+0.7 추가 공격력)으로 증가
노틸러스 성장 체력: 120으로 증가
패시브 - 대상별 재사용 대기시간: 5초로 감소
W - 보호막량: 80~160 (+최대 체력의 9~13%)으로 증가
지속 피해량: 40~100 (+0.5 주문력)로 증가
누누와 윌럼프 Q - 피해량: 120~360 (+0.7 주문력) (+추가 체력의 7%)으로 증가
기본 회복량: 85~285로 증가
재사용 대기시간: 9~5초로 검소
챔피언 상대로 회복량 감소 효과 삭제
W - 폭발 기본 피해량: 215~395로 증가
최대 폭발 피해 주문력 계수: 2.5로 증가
R - 최대 기본 피해량: 655~1305으로 증가
기본 보호막량: 85~105으로 증가
추가 체력 계수: 40~60%로 증가
니달리 패시브 - 추가 이동 속도: 20%로 증가
Q - (창 투척) 총 공격력 계수: 1.2로 증가
(숨통 끊기) 최소 기본 피해 주문력 계수 0.8로 증가
W - (매복 덫) 최대 설치 개수: 100개로 증가
E - (태고의 생명력) 기본 회복량: 60~150으로 증가
(할퀴기) 추가 공격력 계수: 0.8로 증가
니코 0~200(레벨에 따라) 추가 체력 증가
Q - 기본 피해량: 90~290으로 증가
다이애나 패시브 - 주문력 계수: 0.75로 증가
W - 기본 보호막량: 60~160으로 증가
R - 기본 피해량: 300~600으로 증가
드레이븐 패시브 - 챔피언 처치 및 회전 도끼를 잡을 때 얻는 스택: 5로 증가
라운드 마다 50의 스택을 획득
Q - 추가 피해 공격력 계수: 0.7~1.1로 소
람머스 성장 체력: 109로 증가
Q - 이동 속도 증가: 50~78%로 증가
피해량 주문력 계수: 1.5로 증가
재사용 대기시간: 11~5초로 감소
W - 방어력 증가 계수: 60~100%로 증가
마법 저항력 증가 계수: 40-60%로 증가
E - 도발 지속시간: 1.6~2.4초로 증가
R - 피해량 주문력 계수: 1.0로 증가
재사용 대기시간: 40초
럭스 성장 체력: 114로 증가
패시브 - 주문력 계수: 0.5로 증가
Q - 피해량: 110~270 (+0.65 주문력)으로 증가
재사용 대기시간: 10~8초로 감소
W - 보호막량: 60~180 (+0.45 주문력)로 증가
E - 둔화율: 40~60% 증가
R - 재사용 대기시간: 30초로 감소
레넥톤 W - 재사용 대기시간: 18~10초로 감소
레오나 Q - 재사용 대기시간: 6초로 증가
W - 재사용 대기시간: 14~12초로 증가
렝가 Q - 피해량: 40~200 (+0.5~0.25총 공격력)로 증가
강화 계수: 0.55로 증가
W - 회색 체력으로 저장되는 피해: 60%로 증가
피해량: 60~220 (+0.95 주문력)으로 증가
강화 주문력 계수: 1.05로 증가
R - 재사용 대기시간: 80~60초로 감소
추가 이동 속도: 50~90%로 증가
렉사이 성장 체력: 119로 증가
성장 공격력: 4로 증가
Q - (먹잇감 추적) 피해량: 70~270 (+0.7 추가 공격력) (+1.3 주문력)로 증가
르블랑 성장 체력: 121
Q - 기본 피해량: 75~175
W - 주문력 계수: 0.7
재사용 대기시간: 16~8초
R - (모방 Q) 피해량: 90~230(+0.5 주문력)
(모방 E) 적중 피해량: 90~230(+0.5 주문력)
리 신 기본 체력: 725(+120)로 증가
Q - 재사용 대기시간: 8.5~4.5초로 감소
W - (방호) 기본 보호막 흡수량 70~350로 증가
(강철의 의지) 생명력 흡수 및 주문 흡혈 15~35%로 증가
E - (폭풍) 기본 피해량 55~195로 증가
(무력화) 둔화율 40~80%로 증가
릴리아 패시브 - 최대 체력 비례 기본 피해량: 4%로 감소
Q - 주문력 계수: 0.3으로 감소
마스터 이 성장 공격력 1.7로 감소
Q - 피해량: 20~120 (+0.4 총 공격력)로 감소
마오카이 패시브 -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량: 3초로 감소
Q - 기본 피해량: 40~160으로 감소
주문력 계수: 0.6으로 증가
W - 재사용 대기시간: 15~11초로 증가
미스 포츈 성장 공격력: 3.6으로 증가
성장 체력:113으로 증가
Q - 주문력 계수: 0.55로 증가
E - 주문력 계수: 1.8로 증가
R - 발당 주문력 계수: 0.35로 증가
바드 패시브 - 고대의 종 생성 확률 증가
업그레이드당 필요 종 개수: 4개로 감소
주문력 계수: 0.5로 증가
W - 최대 회복 대기 시간: 8초로 감소
성소 최대 보유 가능 수: 33개로 증가
회복량 2배 증가
베이가 패시브 - 라운드마다 12.5의 중첩 획득
벡스 0~612 (레벨에 따라)의 추가 체력 증가
W - 피해량: 90~270 (+0.8 주문력)으로 증가
재사용 대기시간: 13~11초로 감소
E - 재사용 대기시간: 10초로 감소
둔화율: 40~60%로 증가
베인 성장 체력: 93으로 감소
성장 공격 속도: 3%로 감소
성장 공격력: 1.95로 감소
Q - 공격력 계수: 0.5~0.9로 감소
W - 최대 체력 비례 피해량: 4~6%로 감소
R - 추가 공격력: 10~30으로 감소
벨베스 패시브 - 라운드 마다 7.5만큼의 스택 획득
볼리베어 성장 방어력: 4.2으로 감소
패시브 - 주문력 계수: 0.4로 감소
Q - 재사용 대기시간: 16~12초로 증가
추가 공격력 계수: 0.6로 감소
W - 체력 회복량: 10~70 (+잃은 체력의 6~18%)로 감소
E - 보호막량: 최대 체력의 11% (+0.65 주문력)로 감소
피해량: 60~160 (+0.7 주문력) (+최대 체력의 9~13%)로 감소
브라움 성장 체력: 132
성장 공격 속도: 4.5%
W - 추가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 20~60 (+추가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의 45%)
아군 추가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 20~60 (+추가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의 16%)
브라이어 성장 체력: 90
성장 방어력: 3.2
Q - 기본 피해량: 50~190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 감소: 10~20%
W - (핏빛 광분) 추가 공격 속도: 60~100%
W - (식욕 폭발) 체력 회복 계수: 36~48%
R - 피해량: 150~400 (+0.9 추가 공격력)
추가 방어력/마법 저항력: 총 공격력의 0.1
브랜드 패시브 - 최대 체력 비례 피해량: 1.5%
E - 주문력 계수: 0.45
R - 기본 피해량: 75~175
블리츠크랭크 성장 체력: 139
패시브 - 재사용 대기시간: 20초
Q - 주문력 계수: 1.5
재사용 대기시간: 13~9초
W - 자가 둔화 지속시간: 1초
W - 추가 공격 속도: 50~90%
R - 주문력 계수: 1.3
빅토르 패시브 - 라운드마다 25의 마공학 파편 획득
사미라 성장 공격력: 2.8
성장 공격 속도: 2.8%
R - 발당 기본 피해량: 5~15
뽀삐 W - 재사용 대기시간: 26~16초
E - 재사용 대기시간: 21~15초
사이온 Q - 최소 피해: 65~145 (+0.6~1.0 총 공격력)
최대 피해: 130~390 (+1.8~3.0 총 공격력)
기절 시간: 1.75초
W - 매 라운드마다 150의 추가 체력 획득
챔피언 처치 관여 시 얻는 추가 체력: 45
E - 피해량: 80~300(+0.8 주문력)
방어력 감소: 40%
둔화율: 55~75%
R - 기본 최소 피해: 250~750
기본 최대 피해: 700~2100
사일러스 R - 라운드가 끝나면 대상별 강탈 재사용 대기시간이 초기화
샤코 패시브 - 기본 공격 추가 공격력 계수: 0.35
Q - 재사용 대기시간: 14~12초
W - 재사용 대기시간: 17초
공포 지속시간: 0.5~1초
세나 패시브 - 라운드마다 7.5의 스택 획득
세주아니 성장 체력: 144
패시브 - 기절한 적 대상 기본 공격 추가 피해: 최대 체력의 12%
Q - 재사용 대기시간: 17~11초
피해량: 110~350 (+1.1 주문력)
E - 대상별 기절 면역: 5초
R - 재사용 대기시간: 80~60초
소나 패시브 - 라운드마다 12.5만큼의 스택 획득
0~187 (레벨에 따라) 추가 체력 증가
R - 재사용 대기시간: 60초
쉬바나 성장 체력: 94
패시브 - 라운드마다 5의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 획득
Q - 재사용 대기시간: 9~7초
W - 틱당 피해량: 15~45 (+0.15 추가 공격력)
E - 적중 시 최대 체력 비례 피해량: 2.5%
스웨인 패시브 - 라운드마다 5만큼의 스택 획득
R - 초당 기본 피해량: 20~40
초당 기본 회복량: 12~32
시비르 Q - 공격력 계수: 0.9~1.3
쓰레쉬 성장 체력: 130
패시브 - 라운드마다 11.25의 중첩 획득
Q - 주문력 계수: 1.2
E - 기본 지속 효과 공격력 계수: 1.0~3.0
R - 주문력 계수: 1.3
신드라 패시브 - 매 라운드 마다 스택을 10만큼 획득
아리 W - 점차 감소하는 추가 이동 속도: 50%
기본 마법 피해량: 70~170
E - 재사용 대기시간: 10초
R - 처치 시 재사용 횟수: 2
아우렐리온 솔 패시브 - 라운드마다 40의 스택 획득
W - 재사용 대기시간: 15~11초
아이번 Q - 재사용 대기시간: 16~12초
E - 보호막량: 80~220 (+0.45 주문력)
E - 피해량: 60~120 (+0.7 주문력)
둔화율: 40~60%
아지르 0~187(레벨에 따라) 추가 체력 증가
Q - 재사용 대기시간: 12~6초
W - 기본 피해량: 55~123
적중 시 효과: 100%
E - 재사용 대기시간: 18~14초
아칼리 성장 체력: 121
패시브 - 공격력 계수: 0.7
주문력 계수: 0.65
Q - 피해량: 60~180 (+0.7 주문력)(+0.75 총 공격력)
W - 재사용 대기시간: 15초
기력 회복량: 150
아크샨 성장 체력: 115
성장 공격력: 3.7
Q - 피해량: 15~135(+1.0 총 공격력)
W - 악당 처단 시 얻는 골드: 200
아군도 골드를 받음
아군 부활 시 최대 체력의 60%로 부활
E - 추가 공격 속도 계수 100%당 0.45
추가 공격력 계수: 0.225
R - 공격력 계수: 0.2
아트록스 E - 모든 피해 흡혈: 20~32%(강화: 24~44%)
R - 체력 회복 효과 증가량: 30~60%
추가 공격력: 30~55%
아펠리오스 패시브 - 모든 무기 탄약 수: 30
알리스타 W - 재사용 대기시간: 26~16초
R - 재사용 대기시간: 180~120초
애니 성장 체력: 92
패시브 - 기절 지속시간: 1~1.5초
Q - 피해량: 60~200 (+0.65 주문력)
W - 피해량: 60~220 (+0.75 주문력)
R - 소환 시 기본 피해량: 125~325
티버 공격력: 25~75(+0.1 주문력)
티버 범위 피해: 15~25
애쉬 W - 피해량: 25~105 (+1.2 총 공격력)
R - 기절 지속시간: 1.5~4.5초
주문력 계수: 2.0
야스오 패시브 - 보호막 30% 증가
E - 대상 당 쿨타임 50% 감소
기본 피해량: 75~135
에코 패시브 - 기본 피해량: 33~154
Q - 던질 때 기본 피해량: 70 ~130
돌아올 때 기본 피해량: 50~150
W - 잃은 체력 비례 기본 피해량: 4%
오공 Q - 피해량: 10~90 (+0.35 추가 공격력)
W - 재사용 대기시간: 26~18초
R - 틱당 공격력 계수: 1.1
틱당 최대 체력 비례 피해: 0.75~1.5%
요릭 패시브 - 8초마다 600 사거리 이내에 무덤 하나를 생성
안개 망령의 체력 30% 감소
망령 공격력 계수: 0.2
R - 안개 마녀 체력 30% 감소
우디르 Q - 최대 체력 비례 피해 공격력 계수: 0.0003(각성: 0.0006)
W - 보호막 주문력 계수: 0.6
적중 시 체력 회복 주문력 계수: 0.12
R - 폭풍 기본 피해량: 25~125
주문력 계수: 0.0005
우르곳 성장 공격력: 3
성장 체력: 92
성장 방어력: 4.75
워윅 Q - 체력 비례 피해량: 5~9%
공격력 계수: 1.0
E - 재사용 대기시간: 18~14초
R - 기본 피해량: 100~300
유미 Q - 주문력 계수: 0.25(강화: 0.375)
W - 체력 회복 및 보호막: 10~25%
E - 보호막량: 100~200 (+0.4 주문력)
이렐리아 성장 체력: 136
W - 재사용 대기시간: 16~12
R - Q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량 1.5~3.5
재사용 대기시간: 40초
이블린 성장 체력: 128
Q - 피해량: 35~75(+0.35 주문력)로 증가
추가 마법 피해량: 30~70 (+0.4 주문력)으로 증가
W - 재사용 대기시간: 13~9초로 감소
E - 채찍유린 피해량: 대상 최대 체력의 5%(강화: 대상 최대 체력의 7%)로 조정
R - 재사용 대기시간: 90~60초로 감소
이즈리얼 패시브 - 중첩당 공격 속도: 0.15
Q - 피해량: 30~130 (+1.4 총 공격력) (+0.2 주문력)
W - 기본 피해량: 110~350
E - 기본 피해량: 90~290
주문력 계수: 0.9
재사용 대기시간: 18~10초
R - 기본 피해량: 390~690
주문력 계수: 1.1
일라오이 성장 체력: 99
성장 공격력: 4
패시브 - 잃은 체력 비례 회복량: 2.5%
Q - 촉수 추가 피해: 4~20%
W - 재사용 대기시간: 6초
E - 피해량 전이 기본 수치: 25~35%
자야 성장 공격력: 2.6
성장 공격 속도: 3.7%
성장 체력: 97
Q - 재사용 대기시간: 10~5초
W - 추가 피해량: 15%
E - 피해량: 40~80 (+0.5 추가 공격력)
잭스 성장 체력: 90
성장 공격력: 4
W - 기본 피해량: 30~130
E - 재사용 대기시간: 20~14초
R - 3타 추가 기본 마법 피해: 50~130
사용 시 피해량: 100~250
제드 Q - 기본 피해량: 80~240(+1.3 추가 공격력)
W - 재사용 대기시간: 16~13초
제라스 0~493(레벨에 따라) 추가 체력 증가
성장 체력: 121
패시브 - 식물에 두 배의 피해를 입힘
Q - 기본 피해량: 100~260
W - 기본 피해량: 90~230
기본 둔화율: 20%
재사용 대기시간: 10초
E - 최소 기절 지속시간: 1.25초
최대 기절 지속 시간: 2.5초
재사용 대기시간: 11~9초
R - 기본 피해량: 250~350
기본 추가 피해: 30~40
재사용 대기시간: 50초
조이 성장 체력: 121
패시브 - 주문력 계수: 0.35
직스 0~493(레벨에 따라) 추가 체력 증가
성장 체력: 121
패시브 - 주문력 계수: 0.65
Q - 피해량:125~325 (+0.75 주문력)
재사용 대기시간: 4초
W - 재사용 대기시간: 12~8초
E - 주문력 계수: 0.4
둔화율: 30~70%
R - 외곽 피해량: 300~600 (+0.85 주문력)
중앙 피해량: 375~825 (+1.275 주문력)
패시브 - 공격 속도 계수: 60%
Q - 기본 피해량: 65~245
공격력 계수: 0.7~1.1
W - 기본 피해량: 70~250
속박 지속 시간: 1.75~3.25초
E - 둔화율: 50%
R - 기본 피해량: 144~444(+0.44 총 공격력)
재사용 대기시간: 45~15초
질리언 0~200(레벨에 따라) 추가 체력 증가
Q - 기본 피해량: 100~360
징크스 성장 체력: 115
성장 공격력: 3.75
W - 피해량: 10~250 (+2.0 총 공격력)
R - 재사용 대기시간: 50~30초
초가스 Q - 재사용 대기시간: 5초
기본 피해량: 100~340
둔화율: 70%
E - 기본 피해량: 32~80
둔화율: 40~60%
R - 재사용 대기시간: 60~40초
챔피언 대상 피해량: 400~750
중첩당 체력: 100~200
매 라운드마다 스택 하나 획득
카사딘 Q - 기본 피해량: 100~210
W - 기본 피해량: 75~220
R - 기본 피해량: 100~140
중첩 당 기본 추가 피해: 45~65
카시오페아 성장 체력: 94
패시브 - 추가 이동 속도 30% 감소
수호자 계열 아이템을 2개 소지 가능
W - 재사용 대기시간: 28~20초
E - 중독 추가 피해 주문력 계수: 0.45
회복량 주문력 계수: 0.1~0.12
R - 피해량: 100~250 (+0.4 주문력)
카서스 0~314(레벨에 따라) 추가 체력 증가
Q - 피해량: 60~140 (+0.45 주문력)
W - 재사용 대기시간: 12초
R - 피해량: 350~750 (+1.0 주문력)
재사용 대기시간: 60초
카이사 성장 체력: 95
성장 공격력: 2.2
패시브 - 추가 마법 피해 50% 감소
4중첩 시 잃은 체력 비례 기본 피해량 10%
Q - 개별 투사체 피해량 계수: (+0.4 추가 공격력) (+0.15 주문력)
카직스 패시브 - 추가 공격력 계수: 0.55
둔화율: 35%
Q - 진화 시 고립된 대상 추가 재사용 대기시간 반환: 60%
기본 상태 추가 공격력 계수: 1.4
W - 회복량: 100~300 (+1.0 주문력)
E - 재사용 대기시간: 12~8초
R- 재사용 가능 시간: 18초
은신 지속 시간: 3초
진화 시 사용 횟수: 4
카타리나 패시브 - 피해량 추가 공격력 계수: 0.8
처치 시 스킬 재사용 대기시간 감소: 20초
Q - 주문력 계수: 0.5
E - 피해량: 50~110 (+0.5 총 공격력) (+0.35 주문력)
R - 단검 하나 당 피해: 50~75 (+0.22 주문력) (+0.16 추가 공격력)
칼리스타 Q - 총 공격력 계수: 1.35
케넨 W - 피해량: 70~150 (+0.6 주문력)
R -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 20~40
타격당 피해량: 30~80 (+0.18 주문력)
케인 패시브 - 매 라운드마다 변신 게이지를 30만큼 얻음
그암 패시브 - 초기화 대기시간: 4초
추가 마법 피해량: 30~60%
다르킨 Q - 4%(추가 공격력 100당 최대 체력의 3%)
그암 E - 재사용 대기시간: 7초
추가 이동 속도: 100%
그암 R - 사용 및 빠져나올 시 추가 사거리: 400
다르킨 R - 체력 비례 피해량: 10%(+0.07 추가 공격력)
케일 Q - 둔화율: 15~35%
W - 이동 속도 증가량: 15~35%
E - 적중 시 피해량: 10~30(+0.14 주문력)(+0.07 추가 공격력)
사용 시 잃은 체력 비례 피해량: 6.5~8.5%
R - 재사용 대기시간: 320~160초
기본 피해량: 150~300
코그모 성장 공격력: 2.3
성장 공격 속도: 2.25%
Q -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 감소: 15~25%
주문력 계수: 1.0
W - 대상 최대 체력 비례 피해량: 2~5%
E - 둔화율: 20~60%
주문력 계수: 0.9
R - 주문력 계수: 0.45
성장 체력: 122
성장 공격력: 3.7
패시브 - 피해량: 11.5~109.25(+1.184~1.575 총 공격력)
Q - 계수: (+0.9~1.3 총 공격력) (+0.75 주문력)
W - 공격 속도 증가: 30~70%
재사용 대기시간: 20~10초
R - 피해량: 총 공격력의 1.0
크산테 성장 체력: 130
Q - 기본 피해량: 40~200
재사용 대기시간: 2.75초
E - 재사용 대기시간: 9~7초
R - 재사용 대기시간: 90~60초
최대 넉백 거리: 2000
키아나 패시브 - 추가 공격력 계수: 0.5
주문력 계수: 0.5
Q - 야생의 힘 추가 이동 속도: 40%
얼음의 힘 속박 지속 시간: 1초
E - 기본 피해량: 70~270
R - 재사용 대기시간: 80초
킨드레드 성장 공격력: 2.75
성장 공격 속도: 3%
패시브 - 라운드마다 1의 스택 획득
W - 늑대 기본 피해량: 10~30
추가 공격력 계수: 10%
대상 현재 체력 비례 피해량: 1%
E - 대상 잃은 체력 비례 기본 피해량: 2%
타릭 패시브 - 피해량: 22.5~46.5 (+방어력의 10%)
Q - 기본 회복량: 15
주문력 계수: 0.07
체력 계수: 0.05
W - 추가 방어력: 5~7%
E - 재사용 대기시간: 22~16초
R - 지속 시간: 1.7초
탈론 패시브 - 추가 공격력 계수: 3.0
Q - 추가 공격력 계수: 1.3
W - 둔화율: 50~70%
초기 기본 피해량: 60~120
회수 시 기본 피해량: 75~225
E - 벽 넘기 재사용 대기시간: 22~6초
R - 이동 속도: 60~100%
재사용 대기시간: 80~60초
트런들 Q - 추가 공격력: 10~30
대상 공격력 감소: 5~15
R -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 강탈량: 30%
트린다미어 패시브 - 분노 획득량 50% 증가
Q - 기본 체력 회복량: 60~140 (+0.5 주문력)
분노당 체력 회복량: 1~4 (+0.02 주문력)
W - 둔화율: 50~80%
공격력 감소: 30~120
트위스티드 페이트 패시브 - 적 챔피언에게 피해를 입히면 입힌 피해량의 2%에서 5%까지 만큼의 골드 획득
Q - 피해량: 70~270 (+1.0 주문력)
E - 피해량: 65~265 (+0.4 주문력)로 조정
트위치 성장 체력: 80
성장 공격력: 2.1
성장 공격 속도: 2.88%
패시브 - 주문력 계수: 0.04
E - 중첩당 추가 공격력 계수: 0.3
중첩당 주문력 계수: 0.35
R - 추가 공격력: 30~50
티모 Q - 피해량: 70~230 (+0.7 주문력)
실명 지속 시간: 1.5~2.5초
R - 총 피해량: 150~350 (+0.45 주문력)
둔화율: 20~40%
파이크 기본 체력: 740(+125)
패시브 - 회색 체력 비축량: 60%
Q - 기본 피해량: 140~420
E - 재사용 대기시간: 13~9초
R - 비 처형 시 처형 수치의 80%의 피해를 입힘
수당 골드: 350
판테온 성장 체력: 120
Q - 재사용 대기시간: 10~7초
R - 재사용 대기시간: 60~40초
피오라 성장 체력: 89
성장 공격력: 2.8
패시브 - 급소 피해량: 최대 체력의 2% (+추가 공격력 100당 3%)
Q - 피해량: 55~95 (+0.7~0.9 추가 공격력)
W - 재사용 대기시간: 28~20초
하이머딩거 성장 체력: 86
Q - 포탑 피해량: 6~18(+0.25 주문력)
포탑 체력 30% 감소
포탑 광선 피해량: 30~90(+0.45 주문력)
강화 포탑 기본 피해량: 70~100
강화 포탑 최대 충전 기본 피해량: 90~160
E - 재사용 대기시간: 15초
헤카림 Q - 기본 피해량: 80~180로 증가
W - 기본 회복량: 35%로 증가
E - 최소 피해량: 50~95 (+0.6 추가 공격력)로 증가
최대 피해량: 100~220 (+1.2 추가 공격력)으로 증가

===# 아이템 #===
협곡에만 있는 아이템들의 변경점만 서술. 전용 아이템은 아레나(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 문서 참조.
아이템 이름 변경점
심연의 가면 체력 300 ⇒ 350
증오의 사슬 피의 복수: 예열 필요 없이 최대 효과를 볼 수 있음.
대천사의 지팡이 주문력 70 ⇒ 60
체력 200 ⇒ 350
마나 충전: 2라운드를 치른 후 대천사의 포옹으로 업그레이드 됨.
대천사의 포옹 생명선: 보호막 250 + 현재 마나의 20% ⇒ 350 + 현재 마나의 25%
재사용 대기시간 90초 ⇒ 45초
불타는 향로 회복 및 보호막 8% ⇒ 12%
축성: 공격 속도 증가 20% ⇒ 40%
추가 마법 피해 20~40 ⇒ 25
원칙의 원형낫 공격력 55 ⇒ 60
물리 관통력 18 ⇒ 22
흐름 ⇒ 잠언: 궁극기의 피해량이 20% 증가
밴시의 장막 주문력 80 ⇒ 90
마법 저항력 45 ⇒ 55
광전사의 군화 공격 속도 35% ⇒ 45%
이동 속도 45 ⇒ 30
몰락한 왕의 검 공격력 40 ⇒ 35
안개의 검: 현재 체력 비례 피해 (12% | 9%) ⇒ (9% | 6%)
피바라기 공격력 55 ⇒ 50
신속의 장화 이동 속도 60 ⇒ 70
둔화 저항 25% ⇒ 40%
화공 펑크 사슬검 체력 250 ⇒ 400
우주의 추진력 스킬 가속 30 ⇒ 35
망자의 갑옷 체력 300 ⇒ 350
방어력 45 ⇒ 50
이동 속도 5% ⇒ 7%
죽음의 무도 반항: 주문력의 30% 계수 추가
헬리아의 메아리 스킬 가속 15 ⇒ 40
체력 200 ⇒ 400
영혼 흡수: 파편당 회복량 20~80 ⇒ 60~210
파편당 피해량 30~180 ⇒ 60~310
월식 공격력 60 ⇒ 50
늘 떠오르는 달: 보호막량 (160+추가 공격력의 35% | 80+추가 공격력의 17.5%) ⇒ (240+추가 공격력의 52.5%+주문력의 30% | 80+추가 공격력의 17.5%+주문력의 10%)
근접 챔피언 최대 체력 비례 피해 6% ⇒ 4%
밤의 끝자락 공격력 50 ⇒ 55
체력 325 ⇒ 375
물리 관통력 10 ⇒ 16
정수 약탈자 공격력 55 ⇒ 60
스킬 가속 20 ⇒ 25
주문 검: 추가 공격력 계수 20% ⇒ 60%
마나 회복량 추가 공격력 계수 16% ⇒ 24%
대자연의 힘 체력 350 ⇒ 450
분산: 추가 마법 저항력 30 ⇒ 50
추가 이동 속도 10% ⇒ 14%
얼어붙은 심장 방어력 90 ⇒ 100
혹한의 포옹: 공격 속도 감소 20% ⇒ 25%
수호 천사 구원의 은총: 재사용 대기시간 300초 ⇒ 한 라운드
구인수의 격노검 주문력 30 ⇒ 25
공격력 30 ⇒ 25
공격 속도 25% ⇒ 30%
강철심장 거인의 흡수: 피해량 계수 6% ⇒ 7%
피해량의 10% ⇒ 12%만큼 추가 체력 획득
대상별 재사용 대기시간 30초 ⇒ 20초
마법공학 로켓 벨트 체력 250 ⇒ 400
마법 관통력 6 ⇒ 12
재사용 대기시간 40초 ⇒ 25초
선체파괴자 체력 400 ⇒ 500
단독 압박 ⇒ 단독 전투: 900거리 내에 아군이 없을 때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 (15~100 | 10~75) 증가
얼어붙은 건틀릿 스킬 가속 20 ⇒ 10
불멸의 철갑궁 생명선: 보호막량 290 ~ 500 ⇒ 400~680
재사용 대기시간 90초 ⇒ 45초
제국의 명령 주문력 55 ⇒ 80
스킬 가속 20 ⇒ 30
합동 공격: 초기 피해 40~60 ⇒ 70~130
아군의 추가 피해 80~120 ⇒ 120~200
명석함의 아이오니아 장화 스킬 가속 20 ⇒ 40
해신 작쇼 체력 400 ⇒ 300
스킬 가속 20 ⇒ 10
기사의 맹세 체력 350 ⇒ 500
희생: 회복량 아군이 입히는 피해의 10% ⇒ 15%
대신 입는 피해 계수: 10%/강화 시 20% ⇒ 원거리 8/16%, 근접 12/24%
크라켄 학살자 공격력 40 ⇒ 45
벼락: 공격력 계수 65% ⇒ 55%
주문력 계수 60% ⇒ 50%
리치베인 스킬 가속 15 ⇒ 20
이동 속도 8% ⇒ 10%
주문 검: 주문력 계수 50% ⇒ 66%
강철의 솔라리 펜던트 체력 200 ⇒ 400
스킬 가속 20 ⇒ 30
헌신: 보호막 200~360 ⇒ 600~1200
지속 시간 2.5초 ⇒ 5초
마나무네 공격력 35 ⇒ 45
마나 충천: 2라운드를 치른 후 무라마나로 업그레이드 됨.
무라마나 충격: 기본 공격 추가 피해 최대 마나의 1.5% ⇒ 2%
스킬 추가 피해 최대 마나의 3.5|2.7% ⇒ 4.5|3.5%
맬모셔스의 아귀 생명선: 주문력의 135% | 101.25% 계수 추가
재사용 대기시간 90초 ⇒ 45초
메자이의 영혼약탈자 구매 불가
헤르메스의 시미터 수은: 재사용 대기시간 90초 ⇒ 45초
헤르메스의 발걸음 마법 저항력 25 ⇒ 35
이동 속도 45 ⇒ 30
강인함 30% ⇒ 35%
미카엘의 축복 체력 250 ⇒ 400
체력 회복 및 보호막 15% ⇒ 20%
정화: 회복량 100~250 ⇒ 150~240
재사용 대기시간 120초 ⇒ 45초
기동력의 장화 구매 불가
월석 재생기 주문력 35 ⇒ 45
스킬 가속 20 ⇒ 30
별빛 은총: 회복 및 보호막 연쇄 효과 35/40% ⇒ 30/35%
본인에게도 적용 가능
모렐로노미콘 주문력 90 ⇒ 100
체력 200 ⇒ 250
필멸자의 운명 공격력 40 ⇒ 45
내셔의 이빨 공격 속도 50% ⇒ 45%
이케시아의 이빨: 추가 공격력의 33% 계수 추가
나보리 신속검 공격력 65 ⇒ 55
유령 무희 공격 속도 35% ⇒ 30%
망령의 왈츠: 추가 이동 속도 7% ⇒ 9%
추가 공격 속도 30% ⇒ 50%
판금 장화 방어력 20 ⇒ 25
이동 속도 45 ⇒ 30
기본 공격 피해 감소 12% ⇒ 14%
라바돈의 죽음모자 주문력 140 ⇒ 80
고속 연사포 저격수: 피해량 60 ⇒ 200
굶주린 히드라 생명력 흡수 10% ⇒ 15%
쪼개기: 주문력의 (24% | 12%) 계수 추가
구원 체력 250 ⇒ 400
회복 및 보호막 15% ⇒ 20%
중재: 회복량 200~400 ⇒ 250~500
균열 생성기 체력 300 ⇒ 450
영겁의 지팡이 주문력 60 ⇒ 70
2라운드를 치르면 최대로 중첩
추가 체력 및 마나 200 ⇒ 300
루난의 허리케인 공격 속도 40% ⇒ 55%
바람의 분노: 총 공격력의 50% ⇒ 70%
주문력의 42% 계수 추가
라일라이의 수정홀 주문력 75 ⇒ 70
독사의 송곳니 공격력 55 ⇒ 65
물리 관통력 15 ⇒ 19
보호막 파괴자: 원거리 챔피언 보호막 감소 35% ⇒ 50%
세릴다의 원한 스킬 가속 20 ⇒ 15
방어구 관통력 30% ⇒ 35%
그림자불꽃 잿덩이꽃: 마법 관통력 10~20 ⇒ 15~25
슈렐리아의 군가 주문력 35 ⇒ 45
체력 200 ⇒ 500
스킬 가속 20 ⇒ 40
고무: 추가 이동 속도 20% ⇒ 50%
재사용 대기시간 75초 ⇒ 30초
마법사의 신발 마법 관통력 18 ⇒ 20
이동 속도 45 ⇒ 55
쇼진의 창 공격력 55 ⇒ 60
체력 500 ⇒ 200
드래곤의 힘: 주문력의 (4.8% | 3.6%) 계수 추가
정령의 형상 체력 450 ⇒ 400
마법 저항력 60 ⇒ 40
무한한 활력: 자신이 받는 보호막 및 회복량 증가 25% ⇒ 30%
흐르는 물의 지팡이 회복 및 보호막 8% ⇒ 12%
이동 속도 5% ⇒ 15%
급류: 추가 주문력 30~45 ⇒ 60~90
추가 스킬 가속 20 ⇒ 35
스태틱의 단검 기본 피해량 100~200 ⇒ 100~280
스테락의 도전 체력 450 ⇒ 350
생명선: 재사용 대기시간 60초 ⇒ 45초
폭풍갈퀴 공격 속도 15% ⇒ 25%
발걸음 분쇄기 제압의 가르기: 주문력의 105% 계수 추가
태양불꽃 방패 불사르기: 추가 체력 계수 1.75% ⇒ 2.5%
최대 중첩 수 6 ⇒ 10
거대한 히드라 체력: 500 ⇒ 400
파괴전차: 추가 체력 계수 2% ⇒ 1.5%
삼위일체 공격력 40 ⇒ 33
체력 300 ⇒ 333
징수의 총 죽음과 세금: 얻는 골드 25 ⇒ 0
그림자 검 구매 불가
공허의 지팡이 주문력 65 ⇒ 75
워모그의 갑옷 구매 불가
혹한의 손길 체력: 400 ⇒ 500
스킬 가속: 15 ⇒ 20
마나 충천: 2라운드를 치른 후 대천사의 포옹으로 업그레이드 됨.
종말의 겨울 불변: 현재 마나의 4.5% ⇒ 10%
요우무의 유령검 공격력 60 ⇒ 65
스킬 가속 15 ⇒ 20
물리 관통력 18 ⇒ 22
망령의 발걸음: 추가 이동 속도 25% ⇒ (50% | 25%)
출몰: 추가 물리 관통력 7~18 ⇒ 10~20
지크의 융합 체력 200 ⇒ 400
방어력 45 ⇒ 40
융합: 추가 피해 주문력 계수 7.5% ⇒ 10%
존야의 모래시계 경직: 재사용 대기시간 120초 ⇒ 30초

===# 룬 #===
증강을 통해서만 획득할 수 있는 룬들의 변경점을 서술하였다.
  • 정복자
    • 회복 효과 삭제
  • 감전
    • 피해량: 30~220(+0.1 추가 공격력)(+0.05 주문력) ⇒ 60~300(+0.55 추가 공격력)(+0.4 주문력)
  • 어둠의 수확
    • 피해량: 20~80(+0.1 추가 공격력)(+0.05 주문력) ⇒ 50~100(+0.35 추가 공격력)(+0.25 주문력)
    • 영혼 당 피해: 5 ⇒ 10
  • 콩콩이 소환
    • 기본 피해량: 10~50 ⇒ 30~100
  • 난입
    • 추가 이동 속도: (근거리: 30~60%| 원거리 15~40%) ⇒ (근거리: 40~80%| 원거리 30~80%)
  • 선제공격
    • 추가 고정 피해량: 7% ⇒ 15%
    • 기본 골드 획득량: 5 ⇒ 6
    • 입힌 피해의 (근거리: 120% | 원거리: 90%)만큼의 골드 획득
    • 재사용 대기시간: 25~15초 ⇒ 10초

8. 챔피언 유불리

기본적으로 맵이 좁고 이후 점점 안전 구역이 좁아져 인파이팅을 강요한다. 또한 아레나 특유의 보정치 때문에 전투 유지력이 뛰어난 브루저형 챔피언, 최대 체력 비례 대미지/버프가 있는 챔피언, 일방적으로 딜교를 넣을 수 있는 챔피언이 주로 추천된다.

다만, 강세를 보이는 챔피언이라 해도 상대 조합에 따라 금방 녹거나 상성을 찔려서 아무것도 못 하고 팀 체력이 우수수 깎여나갈 수도 있다. 어디까지나 지형과 게임 특성상 비교적 우열이 존재하는 것이며 평균적으로 승률이 좋다라는 의미지 유리한 챔피언이라고 불리한 챔피언에게 반드시 이긴다라는 의미는 아니다. 맵과 조합, 증강체, 아이템 등에 따라 얼마든지 변수가 생길 수 있으며, 유리한 챔피언들은 이런 변수의 영향이 적거나 자신에게 더 유리하게 끌고올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다.[14]

여타 게임 모드들이 그렇듯 챔피언 유불리가 분명하게 갈리다 보니 밸런싱이 잦은 편이며, 이를 통해 강자가 되거나 약체로 전락하기도 해서 메타에 따라 챔피언별 성능이 달라지기도 하니 유의하자.

챔피언별 아레나에서의 성능은 각 챔피언 문서의 아레나 문단을 참조할 것.

8.1. 유리한 챔피언

  • 대인 전투력이 강한 챔피언: 아레나의 전개는 크게 두 종류로 안전 구역 제한이 없어 아웃복서형 챔피언에게 비교적 유리한 초반부와 안전 구역이 점차적으로 좁아져 인파이터형 챔피언에게 유리한 후반부로 나뉘는데,[15] 이들은 스킬셋의 이점을 이용해 초반과 후반을 모두 설계할 수 있다.
  • 하드 CC를 기반으로 포커싱을 유도할 수 있는 챔피언: 하드 CC기를 통해 상대팀을 무방비 상태로 만들어 아군의 선공권을 쥐어주게 하는 챔피언.
  • 지역 장악력이 좋거나 좁은 공간에서 강력한 챔피언 : 아레나 전장 곳곳에는 챔피언의 능력치를 회복시키는 힘의 꽃이 배치되어 있는데, 힘의 꽃 근처에 적을 방해하는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소환수를 활용해 힘의 꽃을 능동적으로 독점할 수 있고 불의 고리가 전장을 거의 뒤덮은 상태에선 설치물이나 범위 공격에 맞을 수 밖에 없어 상대에게 손해를 강요하게 된다. 또한 이들 중 몇몇은 강제로 진입하는 챔피언들을 방어하면서 받아치는 데 일가견이 있기 때문에, 포지션만 알맞다면 어렵지 않게 승리를 챙길 수 있다.

8.2. 불리한 챔피언

  • 단독 전투력이 떨어지는 챔피언: 대인전 능력이 부실하고 팀에 극히 의존하는 챔피언들을 일컫는다. 기존의 5:5 게임에선 한 명이 못해도 다른 팀원을 보조하면 커버라도 칠 수 있지만, 아레나는 2:2 구도이므로 아군이나 자신이 못하면 그 중 나머지의 부담이 배가돼서 게임 진행이 버거워진다. 그나마 다른 상위 티어 챔피언들과의 궁합이 잘 맞는다면 시너지 효과를 노리며 중후반을 도모할 수라도 있지,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나머지 한 명의 역량에 과도하게 의존하게 된다.
  • 난전에 약한 뚜벅이 원거리 챔피언: 생존기는 고사하고 이동기조차 존재하지 않는 경우, 집중 포커싱에 제일 먼저 폭사당하기 쉽다. 사거리라는 이점도 불의 고리 때문에 퇴색되는 건 둘째치고 거기다가 챔피언 카메오 중에 뚜벅이를 카운터치는 것들이 많아 필드 트러블로 폭사할 가능성도 계속 체크해야 하는 피곤함도 가지고 있다. 아군의 보호가 없으면 물려죽는 챔피언은 오브젝트 차지가 중요한 아레나에서 쉽게 고립되어 죽어버리는 짐짝같은 존재다.
  • (번외)전용 너프를 심하게 받고 약체가 된 챔피언: 이전에는 아레나에서 강력한 챔프였지만 전용 너프를 감당하지 못하고 이전 만큼의 성능을 보여주지 못하는 경우.

9.

  • 아군과의 조합을 맞출 것
    챔피언 유불리 문단에도 언급했듯 핵심은 챔피언간의 시너지를 맞추는 것이다. 아무리 강세 챔피언끼리 뭉쳤다해도 정작 서로 시너지를 내지 못하면[19] 시너지를 내기 쉬운 조합에게 밀릴 가능성이 높다. 특히 1티어 챔피언 중에는 아군과의 조합을 덜 타는 안정성이 주요 강점인 경우도 많다.
  • 지형지물을 잘 활용할 것
    맵마다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다수의 솔방울과 1~3개의 힘의 꽃이 존재하고 맵 끝자락에 정거장이 있다. 라운드 시작 이후 30초 뒤 불의 고리가 점차 좁아진다. 이를 제대로 쓸 수 있냐 없냐에 따라서 승패가 갈릴 수 있는 만큼 협곡 이상으로 지형지물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힘의 꽃은 잘만 먹으면 라운드당 1번밖에 못쓸 정도로 긴 쿨타임을 가진 궁극기를 여러 번 사용 가능하게 할 정도로 상당한 쿨감을 제공하며, 체력과 마나, 보호막도 주기 때문에 유지력을 엄청나게 끌어올릴 수 있다. 또한 뽀삐/마오카이/알리스타 같은 넉백 스킬이 있는 챔피언은 이를 이용해 상대를 불의 고리 밖으로 밀어내 역전승을 노릴 수도 있다.
  • 아군과 가능한 오래 떨어지지 않기
    비록 2:2 구도라도 한명이 고립되면 적팀에게서 포커싱 당하기 쉽다는 건 아레나에서도 비슷하다. 때문에 아군과 떨어지게 되었다면 다시 합류하여 살려주는 것이 자신이 고립돼서 죽는 것보다 낫다. 또한 선진입을 하기 전에 아군이 호응할 수 있게끔 핑으로 언질을 주는 것도 중요하다.
  • 상황에 맞는 아이템/증강 선택
    아레나 모드에서 제공하는 아이템은 협곡에서와 다른 밸런스 기준으로 조율되어 있고, 특히 증강 시너지를 노리고 재조정된 부분이 많다. 아이템은 상대할 팀을 고려해서 구매해야 하고[20], 일부 증강 효과의 경우 특정 조합에서는 절대 선택하지 말아야 할 효과도 있다.[21]

10. 특이한 전략

  • 불의 고리를 이용한 처형 승리를 노리는 전략이 가능하다. 알리스타+뽀삐같이 밀쳐내는 스킬을 가진 조합으로 적을 끊임없이 불의 고리로 밀어내어 피해를 받도록 하고, 본인들은 퓨어 탱커 아이템만 올려 살아남거나, 불의 고리가 맵 전역을 뒤덮은 후에 자크 또는 트린다미어처럼 자가적으로 부활, 불사 또는 무적기를 활용하거나 수호천사 또는 존야의 모래시계를 활용해 혼자만 살아남는 방법이 있다.

11. 역사

11.1. 열린 기간 (KR)

  • 2023년 7월 21일 ~ 2023년 8월 29일
  • 2023년 12월 8일 ~ 2024년 1월 9일 16:59
  • 2024년 5월 2일 ~ 2024 시즌 스플릿 2 종료일

11.2. 패치 내역

  • 13.15 패치에서 챔피언 카메오가 5명[22] 추가되었고, 일부 챔피언에 대한 밸런스 패치와 함께 각종 버그가 수정되었다. 이 때 바드가 과도한 버프를 받아 잠시 OP 티어 취급을 받았으나, 대부분 롤백되면서 다시 3~4티어를 전전하게 되었다.
  • 13.24 패치에서 다시 재개함과 동시에 많은 변경점이 생겼다.
    • 역할군 및 개별 챔피언의 밸런스 대규모 변경
    • 전장에 마법공학 정거장 배치
    • 아군의 몸 위에 올라가 죽은 아군을 부활시킬 수 있는 시스템 추가
    • 챔피언 카메오들 중 나피리, 사미라, 샤코, 비에고, 럭스, 이블린, 진이 삭제되고 사일러스와 쓰레쉬 추가
    • 신규 전용 아이템 4개 및 신규 증강 60개 추가
    • 불의 고리의 원의 중심 위치 무작위성 추가
  • 2023년 12월 15일 추가 패치로 상대적으로 강력하다고 평가 받았던 5개의 증강이 삭제되었다. 공통점이 있다면 모두 저주 중첩을 통해 무한히 능력치를 얻을 수 있었다는 것. 심지어 이 저주 스택은 5개의 증강 내에서 모든 능력치를 공유했다.
  • 2024년 14.9 패치 이후로 다시 한번 재개되었다. 개발진이 직접 아레나 상시화를 위한 "앞서 해보기"라고 한다. 전과 변경점은 아래와 같다.
    • 인원 수가 8명에서 16명으로 두 배 증폭, 팀 체력: 20 ⇒ 100, 그에 따른 팀 체력 감소치 조정
    • 판돈 라운드 추가
    • 시작 아이템 및 장화 아이템 가격: 1000 ⇒ 500골드, 주스 가격: 700 ⇒ 500골드, 전설급 아이템: 3000 ⇒ 2500골드, 라운드별 보상 조정, 챔피언 처치 골드: 350 ⇒ 250골드
    • 모루 계열 아이템 추가
    • 신규 맵 및 증강 추가
    • 카메오 챔피언 중에서 사일러스와 그웬이 제외되고 럭스와 진이 재등장
    • 항복 시스템 도입
  • 14.10 패치에 랭크 시스템이 다시 활성화 되었고 각종 시스템과 챔피언, 증강, 아이템 등이 조정되었다.

==# 아나운서 #==
입장
"전 세계가 지켜보고 있습니다, 파이터 여러분!"
"분노의 링에서 라이브로 보내드립니다!"
"분노의 링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증강 선택
"오호라, 이 증강으로 무대를 뒤집어 놓겠군요!"
"멋진 선택입니다! 저 증강의 위력을 알아보고 싶군요."
"파이터들의 능력이 강해졌다구요? 훈련으로 갈고 닦은 실력이 빛을 발휘하는군요!"
"새로운 시도인가요? 아님 기세를 어어 가나요? 대형 스크린에 띄워주세요!"
"이런 게 바로 능력이죠, 잘 사용해 보세요."
"이야~ 이 파이터가 더욱 화끈한 능력을 보여주겠는데요?"
아이템 구매
"좋은 물건을 사려면 돈을 내야 마땅하죠."
"어떻게 쓰는 건지는 알고 사는 거겠죠? 오작동 시 저희에게 책임은 없습니다."
"아이템만으로 파이터가 되는 건 아니지만, 있으면 분명 도움이 될 것 입니다."
"분노의 링에서는 여러분의 편의를 위해 물품 구매 과정을 최적화했습니다."
"엄청난 보상이 기다리는 토너먼트의 우승자가 되기 위해선 역시 아이템 구매가 우선이죠. 돈이 최고라니까요!"
"오늘의 아이템은 준수한 외모에, 관대한 마음씨, 그리고 대책 없는 낭만까지 겸비한 우리의 후원자님이 제공합니다."
"파이터 후원자가 여러분의 아이템을 제공합니다. 제 월급도요."
"대부분 토너먼트에선, 모두 이기고 나서 참가자에게 상금을 주죠. 하지만 여긴 살짝 다릅니다."
"우리의 자비로운 후원자님이 이 토너먼트에 금전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그러니 그 값을 해야겠죠?"
라운드 시작 임박
"시간이 없어요, 서두르세요!"
"시간이 없어요, 모두 서두르세요!"
"시간이 끝나갑니다, 파이터 여러분!"
"이제 쉬는 시간은 끝! 전투 시작입니다!"
"정신 차리세요, 파이터 여러분! 다음 라운드가 곧 시작됩니다!"
라운드 시작
"준비하시고, 시작!"
"시작!"
"전투 시작!"
"가시죠!"
"싸우세요!"
"시작하세요!"
"라운드 시작!"
30초 경과
"불길이 다가옵니다, 조심하세요!"
"링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고리가 줄어듭니다! 안전한 곳으로 피하세요!"
"링이 줄어듭니다, 중앙으로 이동하세요!"
"고리가 줄어듭니다, 서둘러 움직이세요!"
"연장전! 돈은 두 배로 받아야겠는데요?"
"불길이 가까워집니다."
"오호! 저만 더운 건가요? 점점 더 후끈해지는데요!?"
"연장전이네요! 팽팽한 승부가 펼쳐집니다!"
"죽거나 이기거나, 연장전입니다."
"우후! 연장전입니다!"
라운드 승리
"(팀 이름) 승리!"
"대결이 끝났네요, 승리!"
"승자는, (팀 이름) 입니다!"
"라운드 우승자에게 환호를!"
"전투가 끝났군요, 정말 장관이었습니다!"
"대결이 끝났네요, 승리!"
"완벽하군요."
"라운드 완승!"
"라운드 종료, 승리!"
"완벽한 싸움이었습니다."
"축하합니다! 승리를 쟁취하셨네요."
"멋진 승리입니다!"
"승리했습니다!"
"공이 울리네요, 브라보!"
라운드 패배
"라운드 종료, 패배했습니다!"
"라운드 패배!"
"이런! 정말 속상하겠어요!"
"K.O 당했네요!"
"이렇게, 승리는 물 건너갑니다!"
카메오 챔피언 등장
"누군가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이거 기대되는군요?"
"아레나에 새 파이터가 등장했네요. 아주 좋습니다!"
"뒤늦게 참가한 누군가가 경쟁에 불을 붙이네요!"
"전장에 새로운 파이터가 참가했습니다!"
"세트가, 전장에 출현했습니다!" (세트)
"파이크가 링 위로 떠오릅니다!" (파이크)
최후의 라운드[23]
"최후의 결전입니다! 잊을 수 없는 전투가 되겠군요!"
"최후의~ 결전을 펼칠 시간입니다!"
"승부를 가리게 될, 마지막 전투입니다!"
1등
"우승자는 (팀 이름) 입니다!"
"빰빠라밤! 우승자가 나왔습니다!"
2등
"2등입니다!"
"아쉬운 2등이군요!"
"아쉬운 2등입니다!"
탈락
"(팀 이름) 전멸!"
"(팀 이름)이 탈락했습니다!"
"(팀 이름), 탈락하고 마는군요!"
"(팀 이름)의 운명은 여기까지인가요?"
"이젠 심술 부리지 못하겠군요, 심술두꺼비 팀!" [24]
"파수꾼 팀의 불이 꺼졌습니다!" [25]
"(팀 이름)이 탈락했네요~!"
"(팀 이름)이 쓰러졌습니다!"
"(팀 이름), 수고하셨습니다!"

12. 기타

  • 아레나 내레이션 성우는 공식 홈페이지에 문의 결과 협곡 내레이션을 담당한 김상현 성우라고 한다.
  • 상점 주인은 TFT에 등장하는 배불뚝이다.
  • 정식 서비스 기준, 모데카이저로 프리즘 증강체인 '운전 기사'를 간 후, 아무에게나 궁을 쓰면 2대1을 할 수 있고, 모데카이저가 라운드 종료 시까지 대상 지정 불가 상태가 되는 버그가 있다.
  • 라이엇 측에선 아레나 모드의 인기가 많으면 이후 칼바람 나락처럼 상시 오픈할 것이라 한다.
  • 잠수를 타도 제재를 당하지 않는다. 그래서 나간 팀원으로 강심 농사를 짓는 적들을 자주 목격할 수 있다.
  • 시작 후 모여있는 방에서 8명이 전부 ctrl+3로 춤을 추면 맵 가운데 배불뚝이가 나오는 이스터 에그가 있다.
  • 즐겜을 상정하고 만든 모드이며, 체력 비례 치명타 확률, 치명타가 붙은 주문력 등등 특이한 아이템들도 추가되었는지라 신박한 템트리를 자주 목격할 수 있다. 특히나 무한히 체력을 쌓을 수 있는 강철심장의 채택률이 높은 편.

[1] 각각 미니언, 바위 게, 돌거북, 포로, 파수꾼, 심술두꺼비, 늑대, 칼날부리 팀으로 명명된다.[2] 첫 출시 당시에는 평범하게 모두 동시에 픽한 뒤 공개되는 방식이였는데, 지나치게 큰 시너지를 내는 조합을 카운터칠 수 있도록 이렇게 변경한 것으로 보인다.[3] 룬이 고정되는 게 아니라 룬 없이 시작하게 된다. 이후 증강에 따라 일부 핵심 룬을 얻는 게 가능하다.[4] 2초간 기본 이속 40% + 등 뒤의 적마다 추가로 20%씩 제공한다.[5] 점멸의 경우 기존 쿨타임 대신 턴제 쿨타임이 생겨 발동 시 해당 라운드와 다음 라운드까지는 발동 시킬 수 없고, 도주의 경우 1분의 쿨타임이 존재하며 턴제 쿨타임은 없다. 또한 소환사 주문을 교체하는 증강의 경우 무조건 도주가 교체된다.[6] 참고로 이는 아군의 회복 판정을 받는다. 때문에 아레나 한정 도전과제인 "내가 구해줄게!"를 아군 회복 및 보호막 스킬이 없어도 달성할 수 있다.[7] 시즌 3 당시 1대1 모드 전용으로 등장한 맵과 영문명이 동일하다.[8] 돌진기가 있는 챔피언의 경우를 제외하고 좁은 길이나 솔방울탄에 의해서만 진입할 수 있기 때문.[9] 13.24b 패치에서 추가된 사항으로, 체력 회복량 뿐만 아니라 보호막 흡수량도 함께 감소시킨다.[10] 처음 회전 방향은 랜덤이며, 최후의 섬광 발동 이후 직전의 회전 방향과는 정반대로 회전한다. 처음 회전이 시계방향이라면 '시계-반시계-시계'순으로 회전한다.[11] 챔피언 취급이라는 점 때문에 강철심장의 효과가 정상적으로 적용되어 최대 체력이 오른다.[12] 삭제된 증강 '야간 급행'을 그대로 가져왔다.[13] 올라프가 라그나로크를 사용해 CC기 면역 상태가 되어도 일단 CC기에 피격 당하면 면역 상태를 무시하고 띄워버린다.[14] 실제로 OP.GG 기준 통계를 보면 티어는 높으나 승률은 오히려 떨어지는 경우가 다소 있는데, 이는 아레나의 승률 산정 기준이 최종 4등 이내가 아니라 각 스테이지별 승패를 총합 집계하는 방식이라 그렇다. 그러므로 티어가 낮은데 승률이 그럭저럭 되는 경우는, 판별 승패 확률은 어느 정도 있으나 최종적으로 4등 이내에 들기 어렵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야 한다.[15] 물론 이것도 기본적으로 그렇단 의미지, 무조건적으로 시간에 따라 유불리가 바뀌는 건 아니다. 예를 들어 초반이라 해도 진입력이 좋은 암살챔이 적 원딜을 딸 수도 있다.[16] 시간이나 스노우볼링에 구애받지 않고 성장이 보장된다거나, 증강으로 다양한 가짓수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등이 있다.[17] 가장 극단적인 예제가 13.15 패치에 보정을 심하게 상향받고 원탑 OP 챔피언으로 군림하다 다시 핫픽스 너프를 받은 바드.[18] 심판 특유의 4중 계수와 아레나 모드의 스탯 인플레가 잘 맞아 떨어져 극딜 트리를 타면 심판의 데미지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한다.[19] 예를 들어 2탱, 2원거리 조합처럼 서로 딜탱 밸런스를 맞추지 못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20] 특히 딜에 치중하겠다고 방템도 없이 템창을 딜템으로 도배하면 몸이 약해져 점사당해 먼저 죽는 건 당연지사고, 상대 회복력이 감당이 안되는데 어느 한 명도 치감템을 안 가서 쩔쩔매는 경우도 템 선택에 실패한 대표적 사례다.[21] 예를 들어 원거리 챔피언으로 늘어나는 팔, 레이드 보스 등이 있다. 또한 '계약'이나 '불사의 날'같이 상황에 따라 극과 극이 되는 경우도 있으며, 덧붙여 체력 1250을 제공하는 대신 입히는 피해량 10% 감소 페널티가 붙는 '천상의 신체' 같은 경우, 물공/마공 관련 효과를 많이 보는 다른 증강 효과와 궁합이 나쁘다.[22] 샤코, 이블린, 그웬, 비에고, 진.[23] 두 팀이 남은 상황에서 두 팀 모두 패배시 탈락하는 상황이 되면 출력된다.[24] 심술두꺼비 팀이 탈락한 경우 출력되는 대사다.[25] 파수꾼 팀이 탈락한 경우 출력되는 대사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1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1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