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23:21:51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


파일:나 혼자만 레벨업 로고.png

줄거리 · 등장인물 · 설정 · 평가 · 단행본
웹툰 · 애니메이션 (1기 · 2기 · 평가 · 원작과의 차이점) · 게임
스핀오프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6f17e2,#010101> 파일:나혼랩 어라이즈 아이콘.jpg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
俺だけレベルアップな件:ARISE
SOLO LEVELING: ARISE
}}}
파일:나혼렙 어라이즈 포스터.jpg
<colbgcolor=#6f17e2,#010101><colcolor=#ffffff,#fafafa> 개발 넷마블 네오
유통 넷마블
플랫폼 Android | iOS | Windows
ESD App Store | Google Play | Steam
장르 액션 RPG
출시 모바일 / PC
파일:세계 지도.svg 2024년 5월 8일
파일:캐나다 국기.svg 2024년 3월 21일 (CBT)
파일:태국 국기.svg 2024년 3월 21일 (CBT)
Steam
파일:세계 지도.svg 2024년
콘솔
파일:세계 지도.svg 2025년
엔진 유니티
언어 자막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간체/번체), 독일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태국어, 인도네시아,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음성
한국어, 영어, 일본어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12세이용가.svg 12세 이용가
파일:애플 앱스토어 이용 등급 만 12세 이상.jpg 만 12세 이상 (App Store)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상점 페이지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1. 개요2. 시스템 요구 사양3. 시놉시스4. 스토리
4.1. 게임 오리지널 스토리
5. 캐릭터
5.1. 플레이어
5.1.1. 스킬5.1.2. 축복의 돌
5.2. 헌터5.3. 오리지날 캐릭터
6. 컨텐츠
6.1. 스토리6.2. 게이트6.3. 헌터 기록실6.4. 폐쇄 임무6.5. 인스턴스 던전
7. BM
7.1. 모집
7.1.1. 픽업 모집7.1.2. 커스텀 모집
7.2. 헌터 패스7.3. 월정액7.4. 구독
8. 업데이트9. 평가
9.1. 긍정적 평가9.2. 부정적 평가
10. 사건사고
10.1. 유저 차별 쿠폰 지급 사건
11. 흥행12. 기타1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그랜드론칭 PV : 이제 게임으로 플레이
현대 판타지 소설 <나 혼자만 레벨업>을 게임화한 작품이며 2024년 5월 8일 넷마블이 출시한 싱글플레이 게임이다.

==# 출시 전 정보 #==
2021년 4월 13일 넷마블이 해당 작품을 게임으로 제작한다고 발표했다. (링크)

2022년 1월 27일 PV가 공개되어 플랫폼은 모바일, pc로 밝혀졌다. 반응은 꽤나 좋은 편. (링크)


2022년 넷마블 지스타에서 드디어 공개되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영상에서 확인된 모습으로는 성진우의 복장이 바뀌었으며, 이그리트의 외관 또한 원작보다 수려해졌고, 성진우가 이그리트를 쓰러트리는 점은 같으나 그 과정이 달라졌다.

네오넷마블에서 밝힌 바로 '철저한 싱글 게임'[1]이라고 하며, 멀티플레이 요소는 차후 업데이트에도 고려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추공작가와 협업하여 오리지널 스토리 또한 업데이트 하겠다고 밝혔다. 여러모로 기대되는 신작 게임 중 하나.

G스타 2022에 넷마블 출품작 중 하나로 나왔는데, 신작 HYPE SQURD, 아스달 연대기, 파라곤 등 신작 게임들 중에서도 압도적인 체험 인원수를 자랑하며 기대작임을 어필했다. 게임성 역시 속도감 있고 원작의 그 액션성을 최대한 재현해낸 모습 등 호평을 받았다.


당초 처음 예고된 출시일은 2023년이었고 이후 2023년 하반기로, 이후 다시 4분기로 구체화되었으나, 2024년 1분기로 출시 시기가 밀리더니 다시 동년 2분기로 출시일이 미뤄졌다. 공식 카페나 유튜브에서 지속적으로 공지, 커뮤니티 글, 이벤트, PV 등을 올리며 홍보를 지속하고 있지만 정작 정확한 출시일을 알려달라는 여론에는 묵묵부답인 상태다.

2024년 3월 19일 오전 미디어 쇼케이스를 진행했다. 게임에 대한 설명과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설명했으며 사전등록 및 출시일을 공개했다.[2] #1 다만 1시간동안 진행된 쇼케이스 시간동안 제대로된 인게임 영상이 없는데다가 공개된 정보도 제한적이어서 이것에 대해선 부정적 의견도 있는 편이다.

3월 21일에 태국과 캐나다에서 베타 테스트가 진행될 예정이다. 사전등록 시작 2일만에 사전등록자수가 100만명이 넘었다고 밝혔다. 사전등록 5일만에 사전등록자수 500만명을 돌파했다고 한다. 동시에 태국 오픈 베타에서 인기&매출 순위 1위를 기록했다. 사전등록 약 한달만에 사전등록자수 1200만명을 달성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 트레일러 #==
1차 메인 PV
시네마틱 무비컷 : 그림자 군주 탄생
사전등록 PV
스타일리쉬 PV

2. 시스템 요구 사양

<rowcolor=#fff,#dddddd>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
운영 체제 Windows Windows
CPU i3-3220 i5-4460
RAM 8GB 16GB
그래픽카드 GTX 1050 2GB GTX 1660 6GB
저장 공간 20GB 이상 30GB 이상

3. 시놉시스

10여 년 전, 다른 차원과 이쪽 세계를 이어주는 통로 '게이트'가 열리고 평범한 이들 중 각성한 자들이 생겨났다. 게이트 안의 던전에서 마물을 사냥하는 각성자.

그들을 일컬어 '헌터'라 부른다. 그러나 모든 헌터가 강한 것은 아니다. 저급 던전에서조차 죽을 고비를 넘겨야 하는 '인류 최약병기' E급헌터 성진우.
위기는 언제나 기회와 함께 찾아오는 법!

무엇하나 내세울 것 없는 형편에 저급 던전으로 근근 이 생계를 이어가던 그는, D급 던전 속에 숨겨진 최악의 난이도의 이중 던전을 만난다. 그리고 결국 죽음을 맞이하려던 순간,

그는 기이한 능력을 얻게 된다. 그에게만 보이는 게임 퀘스트 창! 그만이 알게 된 레벨업의 비밀!

퀘스트를 따라 수련하고 몬스터를 사냥하면 레벨이 오른다.

오직 그 혼자만!
#

4. 스토리

세계관 영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 혼자만 레벨업/줄거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 게임 오리지널 스토리


==# 컨셉아트 #==
파일:1000001521.jpg파일:1000001522.jpg파일:1000001523.jpg파일:1000001524.jpg파일:1000001525.jpg파일:1000001526.jpg파일:나혼렙 컨셉아트 4.jpg파일:나혼렙 컨셉아트5.jpg파일:나혼렙 컨셉아트 6.jpg파일:파일:나혼렙 컨셉아트 7.jpg파일:파일:나혼렙 컨셉아트 8.jpg파일:나혼렙 컨셉아트 9.jpg파일:나혼렙 컨셉아트 10.jpg파일:나혼렙 컨셉아트 11.jpg

5. 캐릭터

5.1. 플레이어

파일:성진우 게임.png
성진우
나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의 주인공이며 메인캐릭터이다. 스토리의 메인 챕터와 성진우의 얼굴 모양이 있는 던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레벨을 올리면 기본스펙이 높아지며 추가스탯을 지급받고 헌터 레벨의 상한선이 올라간다. 일정 레벨을 충족하면 스킬, 전직, 스토리가 해금되고 게이트의 난이도를 올릴 수 있다.

5.1.1. 스킬

스킬은 일반공격, 무기스킬, 성진우 스킬, QTE스킬, 그림자 소환, 궁극기로 분류되며 무기 획득, 스토리 클리어, 전직을 통해 습득 할 수 있다.

일반공격과 무기 스킬 현재 사용하는 무기에 따라 결정되며 무기 칸에 들어가서 스킬레벨을 올릴 수 있다.

성진우 스킬 전직과 스토리 진행에 따라 습득할 수 있으며 룬을 장착하면 스킬레벨이 올라가고 속성이 부여되며 이펙트가 생긴다. 성진우 스킬에는 더블 슬래시, 파쇄격, 딘검 투척, 연격타, 버티컬 아츠, 돌격 베기, 급소 찌르기, 난도[3], 죽음의 연무, 지배자의 손길, 갑옷 부수기가 있다.

QTE스킬 성진우가 극한회피[4]를 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그림자 밟기[5]와 상대가 에어본[6]상태일 때 사용할 수 있는 절명[7], 다운[8] 상태일때 사용할 수 있는 붕괴[9]가 있고 이 스킬들은 마나를 소모하지 않는다.

그림자 소환 현재 편성중인 그림자 병사 ×200만큼의 군단 병사를 소모하고 그림자 병사를 소환한다.[10]

궁극기 궁극기 게이지가 모두 찼을 때 사용할 수 있으며 은영:참극과 진:난도[11]가 있다. 다른 특수효과가 없어서 스킬계수가 높은 진:난도를 습득 할 때까지 은영:참극의 레벨은 올리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5.1.2. 축복의 돌

성진우의 패시브 스킬이라고 볼 수 있으며 최대 4개[12]까지 장착 할 수 있다. 파멸의 권좌에서 축복의 가루 50개를 모아 합성할 수 있다. 초반에는 등급이 높은 축복의 돌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기본으로 주어지는 상태이상 회복을 사용한다.[13]

5.2. 헌터

파일:차해인 게임.png
파일:김상식 게임.png
차해인 김상식
파일:유진호 게임.png
파일:우진철 게임.png
유진호 우진철
파일:백윤호 게임.png
파일:최종인 게임.png
백윤호 최종인
파일:임태규 게임.png
파일:민병구 게임.png
임태규 민병구
파일:이주희 게임.png
파일:엠마 로랑 게임.png
이주희 엠마 로랑
파일:김철 게임.png
파일:박희진 게임.png
김철 박희진
파일:강태식 게임.png
파일:한송이 게임.png
강태식 한송이
파일:황동석 게임.png
파일:황동수 게임.png
황동석 황동수
파일:조규환 게임.png
파일:이보라 게임.png
조규환 이보라
파일:송치열 게임.png
송치열

5.3. 오리지날 캐릭터

  • 엠마 로랑
  • 알리시아 블랑쉐

6. 컨텐츠

6.1. 스토리

노말, 하드, 리버스 세가지 난이도가 존재하며 현재 18챕터 대주술사 카르갈간까지 개방되어있다.

챕터는 메인 챕터와 서브 챕터로 나뉘며 한 챕터를 클리어하고 그 챕터의 모든 배틀미션을 수행하면 커스텀 모집 티켓을 2개씩 얻을 수 있다.

한 챕터는 여러 스테이지로 구성되어있고 스테이지에는 스토리, 배틀, 보스가 있다.
스토리 스테이지는 웹툰과 인게임 대화로 이루어져 있고 스킵하면 바로 끝낼 수 있다.

배틀 스테이지는 좌측의 퀘스트를 시간내에 수행하면 깰 수 있고 추가로 배틀 미션을 수행하면 미션당 15마정석을 얻는다.
보스 스테이지의 경우 배틀 스테이지와 동일하지만 보스의 마지막 타격에 정지화면에 들어가며 특수아이콘을 누르면 보스를 처치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6.2. 게이트

성진우의 레벨에 따라 더 높은 난이도의 게이트에 도전할 수 있고 도전할 때 게이트 열쇠를 소모한다. 노말 챕터6클리어시 소탕 포인트를 활용하여 B급이하의 게이트를 소탕할 수 있고 특급소탕을 이용해 A급 이상도 소탕할 수 있다. 게이트 클리어 시 명성, 경험치, 골드, 시간의 표식[14], 아티 펙트, 그림자 군단 강화 재료를 획득할 수 있다. 게이트 클리어 이후 채굴을 통해 추가 재화를 얻을 수 있다.
일반 게이트,던전 브레이크, 레드 게이트, 스페셜 게이트로 분류된다.
  • 일반 게이트 - 파란색으로 표시되며 게이트 클리어 시 아티펙트 강화 칩, 무기 강화 기어를 획득한다.
  • 던전 브레이크 - 보라색으로 표시되며 난이도 5이상에서 플레이어 모드로만 출현한다. 보스전에서 파티의 헌터가 지속적으로 온필드에서 전투한다는 특징이 있다. 게이트 클리어 시 하급 마나석, 설계도, 속성 융화 큐브를 확득 할 수 있다.
  • 레드 게이트 - 빨간색으로 표시되며 노말 챕터 7클리어시 출현한다. 지역 디버프를 받게되고 하나의 구역에서 몬스터를 처치하고 구조물을 파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디버프를 해제할 수 있다. 다음 구역으로 넘어갈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게이트 클리어 시 룬 파편, 헌터 마력 엘릭서, 플레이어 스킬 주문서를 획득 할 수 있다.
  • 스페셜 게이트 -금색으로 표시되며 상자 부수기, 고블린 추격하기, 고블린의 이동 저지하기의 유형이 있다. 대체적으로 적이 공격하지 않기에 난이도가 쉬운 편이며 특별한 아이템을 드롭하지 않는 대신 같은 등급 게이트의 4배정도의 골드를 얻을 수 있다.

6.3. 헌터 기록실

열쇠를 통해 해금할 수 있으며 원작에 없는 헌터 개인스토리를 볼 수 있다.

현재는 이주희, 강태식, 차해인, 김철의 스토리만 오픈되어 있다.

6.4. 폐쇄 임무

헌터 모드로 플레이 할 수 있으며 클리어 시 방어구 아티펙트를 얻을 수 있다. 열쇠를 소모한만큼 많은 보상을 획득할 수 있는 구조이다.[15] 등장하는 몬스터는 푸른 독니 카사카, 취록의 술사 포레스, 지옥의 수문장 켈베로스, 자이언트 아라크네가 있다.배틀미션3개가 있으며 클리어 할 시 미션당 15마정석을 획득하고 모든 배틀미션을 클리어하면 해당 단계에서 가하는피해 50%증가, 받는 피해 50%감소 버프를 받는다.

6.5. 인스턴스 던전

플레이어 모드로 플레이 할 수 있으며 클리어 시 장신구와 아티펙트를 얻을 수 있다. 열쇠를 소모한만큼 많은 보상을 획득할 수 있는 구조이다.[16] 등장하는 몬스터는 강철이빨 라이칸과 핓빛의 이그리트가 있다. 배틀미션3개가 있으며 클리어 할 시 미션당 15마정석을 획득하고 모든 배틀미션을 클리어하면 해당 단계에서 가하는피해 50%증가, 받는 피해 50%감소 버프를 받는다.

7. BM

7.1. 모집

헌터와 성진우의 무기를 뽑을 수 있는 나혼렙: 어라이즈의 메인 BM. 최고 레어리티인 SSR의 확률은 1.2%이며, 중국 게임 원신에서 비롯되어 국룰 BM으로 굳어진 SSR을 확정으로 획득 할 수 있는 80회 반천장, 160회 천장의 SSR 모집 서포트 시스템이 존재한다.

모집은 특정 헌터를 픽업 중인 픽업 모집과 본인이 픽업 리스트를 설정할 수 있는 커스텀 모집으로 나뉘며, 같은 타입의 모집끼리는 모집 서포트를 공유한다.

성진우의 신규 무기는 픽업 모집 없이 커스텀 모집에서만 뽑을 수 있는 구조로 추가된다.

7.1.1. 픽업 모집

특정 헌터를 픽업한 모집으로 픽업 대상이 뽑힐 확률은 SSR 1.2% 중의 절반인 0.6%. 픽업 기간이 종료된 이후 다음 헌터의 픽업이 시작되어도 SSR 획득 서포트 수치는 유지되며, SSR을 획득했으나 픽업 대상이 아닐 경우 다음 번에는 확정적으로 픽업 대상을 획득할 수 있다.

7.1.2. 커스텀 모집

특정 헌터 혹은 성진우의 무기 총 4종을 픽업 대상으로 본인이 설정할 수 있는 모집으로 픽업 대상이 뽑일 확률은 각각 0.15%. SSR 획득 시 설정한 헌터 혹은 성진우의 무기 4종을 12.5% 확률로 획득할 수 있으며, 설정한 픽업 리스트를 뽑지 못하였을 경우 다음에 획득하는 SSR은 픽업 대상 리스트 4종 중 1종을 확정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보통 '나혼렙 어라이즈 리세마라'라고 하면 이 커스텀 모집에서 20뽑+α를 시도한 뒤 원하는 게 나오지 않으면 재시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 공개된 나혼렙 리세마라 방법을 보면 계정초기화를 통해 2분 정도면 20뽑 1회씩을 시도할 수 있어서 비교적 빠르게 진행이 가능하다. 확률이 낮지만 다른 게임처럼 일이주일씩 걸리거나 하지 않고 하루 정도만 투자하면 SSR 2뽑 정도를 얻고 스타트할 수 있다.

소과금 의향이 있는 유저라면 3만원 정도 예산으로 스페셜 스카우트와 누적구매 보너스 10회에 주는 SSR 서지우를 얻어서 리세 기본뽑 외에 SSR 서지우 2뽑을 들고 시작할 수도 있다.

7.2. 헌터 패스

파일:나혼렙 헌터 패스.png
  • 프리미엄 (1,500다이아)
  • 디럭스 (29,000원)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P5X와 동일하게 디럭스에는 스킨이 들어간다. 이러한 배틀 패스 상품들은 상위 상품을 구입하면 하위 상품 보상까지 다 받을 수 있는 경우가 많은데 나혼렙: 어라이즈의 경우 하위 상품과 상위 상품 보상을 각각 별개로 쳐서 모든 보상을 받으려면 프리미엄과 디럭스 양쪽을 다 구입해야 한다.

7.3. 월정액

파일:나혼렙 월정액 1.png
  • 매일 성장 지원 (12,000원)
    • 매일 커스텀 모집 티켓 1개 (최대 28개)
    • 매일 무료 특급 소탕 5회 (최대 140회)
    • 성장 지원 기간 이용 가능
      • 특급 소탕, 특급 지원, 최대 4배수 플레이
    • 매일 골드 & 경험치 30% 버프
      • 게이트 미션, 활동 지원금
파일:나혼렙 월정액 2.png
  • 매일 마정석 지원 (9,900원)
    • 매일 200 마정석 (최대 5,600개)
    • 매일 협회 지원 상자 1개 (최대 28개)
      • 정해진 확률에 따라, 최대 SSR 성진우 무기 획득 가능
    • 매일 50,000골드 (최대 140만)

7.4. 구독

  • 헌터 협회 프리미엄 구독권 (월 9.99달러)
    • SSR 등급 포함 원하는 모집 결과를 선택할 수 있는 스페셜 스카우트 티켓 1장 제공
    • 클리어한 게이트를 자동으로 채굴하는 자동 채굴 기능 오픈
    • 레벨에 따라 구성품이 업그레이드되는 구독 전용 출석 선물 제공(일 1회)
    • 픽업 모집 티켓, 영웅 등급 축복의 돌이 포함된 누적 출석 보상 제공

8. 업데이트

9.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5f6269,#5f6269><table bgcolor=#ffffff,#1c1d1f> 파일:Google Play 로고.svg파일:Google Play 로고 화이트.svg ||
총 평점:
(2024.05.10 기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0071e3,#0071e3><table bgcolor=#ffffff,#1c1d1f>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
총 평점:
(2024.05.10 기준)

9.1. 긍정적 평가

  • 높은 원작 재현율
    원작 내용을 잘 살린 스토리 전개와 카툰 컷씬의 적절한 사용 등으로 호평을 들었다. 풀오토 환경이 만연한 모바일 게임 시장을 배려하여 스토리 자체를 크게 잘라낸 점에서도 좋은 평가를 들었는데, 거기다 잘라낸 부분을 서브 미션으로 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한 덕분에 흠 잡을 점이 없다는 평을 받았다.[17]

* 추가된 오리지널 스토리
원작에서는 시간상, 혹은 분량상의 이유로 자세히 묘사되지 않고 넘어갔던 조연들의 스토리나 게임에서 새롭게 등장한 오리지널 설정을 서브 스토리 모드과 헌터 기록실, 헌터 시크릿 파일 등 다양한 부분에서 세세하게 다룬것은 호평 받았다. 추공 작가의 감수를 받아서 그런지 대부분의 스토리가 원작 고증이 확실하며 추가된 내용을 통해 캐릭터가 더욱 입체적으로 묘사될수 있었다는 평이다.
  • 훌륭한 액션성
    모션이나 타격감, 조작감(저스트 가드), 이펙트 등이 출중하다보니 액션 연출이 훌륭하다는 평을 받았다. 특히 극한회피 시스템을 도입해 수동조작의 재미를 한층 강화 시킨 점은 호평 받았다.
  • 값어치 이상의 BM
    과도하고 난잡한 과금 유도와는 별개로 그 값어치 이상의 재화를 퍼줘서 실제로 구입한 사람들의 평가는 나쁘지 않다. 월정액 같은 경우 양쪽 합쳐 약 2만 3천 원으로 60연에 가까운 재화를 주며, 9.99달러의 구독 서비스는 본인이 뽑은 가챠 결과를 그대로 가지고 올 수 있는 스카우트 티켓을 제공, 패스의 경우도 프리미엄은 월정액 양쪽을 구입하면 받을 수 있는 다이아로 구입 가능하며 커스텀 티켓 20장과 대량의 재화, 디럭스의 경우 스킨 한 벌과 약 60장의 픽업 티켓을 준다.

9.2. 부정적 평가

  • 과도한 데이터 낭비
    자신의 설정에 따라 필요한 언어 설정만 다운로드가 가능한 여타 게임과 달리 13개국 언어 설정과 3개국 보이스 언어를 통째로 다운로드해야만 플레이가 가능하다. 덕분에 게임 시작도 전에 방대한 데이터 다운로드를 감수해야 하는 점에서 불평을 들었다.
  • 과도하고 난잡한 BM
    BM 구성은 한국 모바일 서브컬쳐 게임에서 볼 수 있는 온갖 BM들을 추가해 놓은 형태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뽑기는 당연하고 온갖 성장 재화 등을 상점에서 직접 판매하며 그 종류나 조건 조차도 매우 파편화되어 있다. 이 중 하나가 바로 월정액+패스인데 출시 시점 구입할 수 있는 상품의 종류만 해도 매일 성장 지원(12,000원)과 매일 마정석 지원(9,900원)에 헌터 협회 프리미엄 구독권(15,000원), 마지막으로 헌터 패스로 총 4종이며 심지어 헌터 패스는 프리미엄(1,500다이아 | 약 20,000원)과 디럭스(29,000원)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사양이다. 더불어 이러한 상품들의 결제창을 온갖 명목으로 시도 때도 없이 띄우고 일부 알림은 아예 끌 수도 없다 보니 몰입감을 크게 해친다는 평가가 많다. 더불어 5월 29일 업데이트 이후로는 사소한 컨텐츠 하나씩마다 할 때마다 시스템 상점이랍시고 가격과 함께 과금창을 들이밀어 한 층 더 어지러워졌다. 그래도 이런 난잡한 BM과는 별개로 아직까지 게임 진행 자체는 과금을 절대적으로 강요하지만은 않는 위태위태한 균형을 이루고 있다.
  • 부자연스러운 레벨 디자인
    사실 게임 자체는 여타 서브컬쳐 모바일 게임들이 다 그러하듯 명목상 온라인 게임일 뿐이고, 실제로는 싱글 플레이 게임에 가깝기 때문에 과금을 그다지 많이 할 필요는 없다. 특히나 승리의 여신: 니케의 성공 이후 많은 한국 게임들이 채택하고 있는 AFK 아레나식 방치형 성장 모델을 섞어놓았기 때문에 여차하면 그냥 누워서 기다리면 성장은 어느 정도 해결된다.
    그러나 이 때문인지 구간구간마다 오랜 노가다를 요구하는 폐사 구간을 두었다. 다시 말해 인스턴스 던전, 폐쇄 임무, 게이트, 시련의 전장, 스토리 서브 미션 등의 컨텐츠를 전부 몰아서 진행해도 레벨업이 강제로 막히도록 설계해놓았다. 게다가 저스트 회피를 연달아 요구하는 등 고난이도 보스를 여럿 두어 진행을 막아둔 부분도 확인되는데, 이는 스펙 향상을 강제하는 요소로 부각되고 더불어 후술하는 최적화 문제와 맞물려 억까라는 비판을 자아내기도 한다. 덕분에 액션이 장점인 게임임에도 횟수제 컨텐츠만 존재하는 상황인데다 진행조차 막아 놓은 점은 대표적 비평점으로 거론되었다.
  • 부실한 최적화
    PC와 모바일 양쪽 다 최적화가 영 좋지 않다.
    모바일 버전의 경우 적들의 숫자가 조금만 많아져도 렉이 걸리고, 메모리 누수도 심각하며, 발열 또한 장난이 아니다. PC 버전도 권장 사양보다 높은 컴퓨터임에도 그래픽 설정을 낮춰 달라는 알림창이 나타나며, 웬만한 하이엔드 컴퓨터로도 플레이 중 입력 딜레이와 프레임 드랍이 빈번히 발생한다. 또한 플레이 중 갑자기 프리징 현상이 일어나가나, 아예 게임이 멈춰버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 인터페이스의 편의성 부재
    인터페이스 편의성이 좋지 않은 편이다. PC 버전에서는 게임 커서 수납 기능부터가 지원되지 않는다. 모바일 버전은 PC에 비해 전투가 단순하고 꽤나 불편하다.
  • 버그 및 핵 사용자 방치
    오픈 초기부터 일부 유저들이 불법 프로그램의 존재를 알렸지만 무시하는 듯한 행보를 보였다. 이로 인해 여론이 좋아지지 않자 5월 13일 경, '방패의 진영'이라는 이름의 실시간 AI 핵 감시 시스템을 도입하여 대응하고 있다는 공지를 작성하였다. 이로써 불법 프로그램에 대한 제재가 이루어지나 했는데, 권장 전투력 미만의 편성으로 스토리 트로피 3개[18]를 얻은 일부 유저들이 무고하게 정지된 사례가 발견되었다. 감시 시스템의 오류였을 가능성이 높지만, 일각에서는 액션 컨트롤 게임으로 그렇게 광고를 했으면서 컨트롤로 클리어 했더니 정지를 먹인다라는 의견도 간혹 보였다. 또한 불법 프로그램 사용자들에게 내려진 제재도 3일 정지라는 경고성 조치였기에 이후에 다시 활개를 칠 가능성도 있어서 여러 유저들의 우려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그나마 다행이라고 할 수 있는 점은 기본적으로 해당 게임이 싱글 플레이 게임이라 핵 사용자들로 인한 유저들의 피해가 상대적으로는 덜하다는 점이다.

10. 사건사고

10.1. 유저 차별 쿠폰 지급 사건

5월 17일에 양대 마켓 1등을 달성한 기념으로 웹 상점 할인 쿠폰을 지급하는 소소한 이벤트가 있었다.

그런데 해당 쿠폰이 일부 유저들에게만 지급되는 현상이 발견되었고, 쿠폰을 받지 못한 유저들은 대상자 선정 기준에 대한 문의를 넣었고 운영진 측에서는 쿠폰 수량이 많아 순차적으로 지급하고 있다는 공지사항을 작성했다.

그런데 지급되는 쿠폰의 질과 양이 전부 랜덤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되었다. 권종은 30% 할인과 40% 할인으로 나뉘었으며, 그 매수 또한 누구는 한 장을 받고 누구는 4장을 받았다. 포럼에서는 이를 비꼬는 의미로 4장을 받은 유저를 국가권력급 헌터라고 지칭하기도 했다.

11. 흥행

애니메이션 홍보 효과 덕에 글로벌까지 포함한 사전등록수가 1571만 으로 집계되었다.

출시 다음날(2024년 5월 9일) 공개된 출시 첫 날 흥행 기록은 500만 다운로드에 매출 140억으로 넷마블 역대 최대 흥행성과를 기록하였다고 한다.#

구글플레이에서는 5월 12일 매출순위 3위를 기록한 뒤, 5월 14일부터 21일까지 매출 1위를 기록했다.

앱스토어에서는 5월 9일부터 20일까지 줄곧 매출 1위를 기록하다가 21일 매출 2위로 한 계단 하락했다.#

5월 22일 기준 다운로드수 2000만명을 돌파했다.

12. 기타

  • 넷마블의 불황기에 나온 게임이다보니 여러모로 주목 받은 게임이다.[19] 특히나 넷마블의 게임들은 리니지 2 레볼루션부터 페그오, 일곱 개의 대죄: GRAND CROSS, 신의 탑: 새로운 세계 같이 타 IP의 라이센스를 구입해와서 게임으로 제작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보니 자체 IP가 전무한 상태의 사업 구조를 보여주고 있는 상황이었기에 나혼렙 어라이즈가 이 흐름을 다시 이어나갈 수 있을지가 더욱 주목을 받기도 했다.[20]

13. 관련 문서


[1] 작품명이 나 혼자만 레벨업이라 그런 것으로 보인다[2] 사전등록일은 2024년 3월 19일부터, 출시일은 2024년 5월 8일이다.[3] 나이트 로드로 전직시 습득[4] 적의 공격이 맞기 직전에 피하면 발동된다.[5] 3초간 적을 매우 느리게 만들어 딜을 욱여 넣을 수 있다.[6] 적을 공중에 띄우는 판정이며 몇몇 기술에 이 효과가 붙어있다.[7] 절명 스킬을 사용하면 상대가 다운 상태가 되어 붕괴와 연계할 수 있다.[8] 상대를 넘어뜨리는 판정이며 몇몇 기술에 붙어있다.[9] 스킬을 사용하면 상대가 에어본 상태가 되어 절명 스킬과 연계할 수 있다.[10] 아래의 그림자 군단에서 자세히 설명함[11] 네크로맨서로 전직 시 획득[12] 한개는 처음부터 개방되고 50,60,70레벨에 추가로 하나씩 개방된다[13] hp가 0이 되었을 때 잠깐의 무적시간과 회복을 해주어 패턴을 익히기 힘든 뉴비에게 유용하다[14] A급이상의 게이트 클리어 시[15] 1개부터 4개까지 소모할 수 있으며 3개 이상 사용하려면 매일 성장 지원을 구매해야한다.[16] 1개부터 4개까지 소모할 수 있으며 3개 이상 사용하려면 매일 성장 지원을 구매해야한다.[17] 다만 게임적 허용이라고는 해도 원작 캐릭터의 포지션 뿐 아니라 속성까지 나누고, 스토리 미션 중 이런 속성 캐릭터를 뽑지 않고선 얻을 수 없는 트로피를 넣는 등의 구성은 호불호가 크게 갈리고 있다.[18] 이른바 3별작[19] 넷마블은 3N 이라 불리며 3대 게임 회사의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2020년대부터 하락세를 시작으로 2023년 3N 중 유일하게 적자를 기록하며 예전같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20] 이 방식은 기존 팬덤을 안정적으로 끌어올 수 있지만, 반대로 회계장부 상에 지급 수수료로 적히는 IP 사용료 또한 만만치 않다는 치명적인 단점도 존재한다. 나혼렙 역시 IP 이용료가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첫 공개 이후 2년 이상 지났다는 점을 종합하면 개발 비용 또한 적잖이 들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때문에 흥행을 해도 얼마나 오래 하느냐가 관건인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