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4 16:14:32

가스

깨스에서 넘어옴

1. Gas2. 동음이의어
2.1. 가스(Gas) - 가솔린(gasoline)의 줄임말2.2. 가스(GAS) - 중국 암호화폐의 하나2.3. 가스(GAS) - 미국 e스포츠 아마추어 대회2.4. 가스(カツ) - 일본 튀김 요리의 줄임말2.5. 깨스 - 할명수 유튜브 구독자 애칭2.6. 깨스 - 실수나 갈굼을 의미하는 군대 은어
3. 인명
3.1. 초록손 가스(Garth) - 얼음과 불의 노래의 전설 속 인물3.2. 가스 7세(Garth VII) - 얼음과 불의 노래의 가드너 왕조의 왕3.3. 가스(ガス) - 드래곤볼 슈퍼의 등장 인물

1. Gas

Gas[ɡæs]. 기체 또는 기체 연료를 뜻하는 영단어이다. 발음은 개스에 가깝다.
Hunc spiritum, incognitum hactenus, novo nomine gas voco
("This vapor, hitherto unknown, I call by a new name, 'gas.'")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이 증기에 나는 새 이름 'gas'를 붙이겠다.
1648년
저자 - 얀 밥티스타 판 헬몬트 (Jan Baptist van Helmont)
저널 - "Ortus Medicinae"
논문 - "Complexionum atque mistionum elementalium flgmentum"

1500년대, 독일계 스위스인이자 연금술사/화학자/약리학자였던 파라켈수스는 화학 변화 시 기체의 발생을 두고 '물질의 초순수화된 상태', '물질의 고유한 요소' 등을 일컫는 용어로 '빈 공간'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카오스(χάος, Chaos)라고 호칭했다.

1648년, 네덜란드인(현대 기준으로는 벨기에인) 화학자 얀 밥티스타 판 헬몬트(Jan Baptist van Helmont, 1577-1644)가 가스라는 단어를 최초로 만들었다. 파라켈수스의 화학 지식으로부터 많이 학습한 헬몬트는, 카오스의 네덜란드 현지식 발음인 하스([ɣas])의 어형으로부터 '기체 상태'를 '가스'로 작명했다. 그리고 '화학 변화 시 물질이 사라지지 않는다'는 점을 증명해냈다. 가스 어원사전, 인물 영문위키

1799년부터 화석연료로부터 나오는 연료용 기체를 천연가스라 부른다. 1856년엔 가스발사총이 발명되었다. 1882년부터 내장에 가득 찬 방귀도 가스라고 부르기 시작한다. 1894년부터 이전까진 아산화 질소라고만 불렀던 의료용 마취제를 마취 가스라고도 부르기 시작한다. 1900년부터는 군사 목적의 독가스라는 명칭도 나왔다. 1928년 최루탄이 발명되며 발명자들의 이름을 따서 CS가스라고 명칭했다. 1970년대 이후 전자파 기술이 발전하자 천문학에선 성간물질 중 기체 상태를 성간가스라고 하기로 한다.

1900년대 전반, 일본에서는 서양의 개념을 음역해 번역해오며 아테지네덜란드 발음에 가깝게 와사()라고 표기했다. 1918년 三菱瓦斯化学(미쓰비시가스화학), 1955년 日本瓦斯(일본가스, #) 등. 한국에선 경성약학전문학교(1930-) 와사실, 김광균의 1939년 시집 '와사등' 등.

1900년대 후반, 일본에서 점차 영어 발음에 가깝게 가스(ガス)로 표기를 변경한다. 대한민국도 '가스'로 표현한다. 1969년 까스활명수, 1974년 고압가스보안협회 등. 영어원음을 더 따라 '개스', 경음화로 '까스' 등으로도 표현되었으나 '가스'를 표준어 삼는다. 대만에선 현대에도 와사(瓦斯, wǎsī)를 여전히 쓴다. 중국에선 일반 기체는 기체(气体)라고 하며, 연료용 기체인 경우 연기(燃气)를 사용한다.

1.1. 기체 연료

보통 프로페인, 뷰테인이 주성분인 액화석유가스 LPG나 메테인이 주성분인 액화천연가스 LNG를 가리킨다. 사실 L이 액화를 뜻하나, 원래 기체인 것을 운반이 쉽게 하려고 그런 것이고 어차피 점화시 기화해 쓰니 문제가 없다.

1.2. 독가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독가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세계 어느 나라든지 산업 현장이나 군대의 가스실습 훈련 등 독성기체가 존재하거나 쓰이는 경우에 한해서라면 가스라고 할 시 바로 이쪽을 떠올린다. 다만 미국이나 영국같은 경우 독가스를 뜻하는 톡식 가스(toxic gas)라고 칭하는 경우가 더 많긴 하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로.

고약한 냄새 때문에 방귀도 독가스로 부르곤 한다. 사실 방귀에 성분이 많다면 실제 독소로 적용될 여지도 많다.

1.3. 스타크래프트 시리즈베스핀 가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베스핀 가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동음이의어

2.1. 가스(Gas) - 가솔린(gasoline)의 줄임말

휘발유 문서 참조. 미국에서 '가스'라고 하면 LPG가 아니라 휘발유를 의미한다.

2.2. 가스(GAS) - 중국 암호화폐의 하나

가스(암호화폐) 문서 참조.

2.3. 가스(GAS) - 미국 e스포츠 아마추어 대회

Gen.G Global Academy Series 문서 참조

2.4. 가스(カツ) - 일본 튀김 요리의 줄임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의 튀김 분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아게모노 (揚げ物) 스아게(素揚げ)
재료를 직접 튀김
유부, 튀긴 빵, 튀긴 어묵, 튀긴 교자 등
고로모아게(衣揚げ)
옷을 입혀 튀김
덴뿌라(天ぷら)
튀김물(밀가루와 계란)을 입힘
카키아게, 야채튀김, 새우튀김, 오징어튀김, 텐동, 도리텐, 텐카스
가라아게(唐揚げ, 空揚げ)
전분 등을 얇게 입힘
중식 튀김, 치킨, 치킨난반
후라이(フライ)
카츠(カツ)
고로케(コロッケ)
계란과 빵가루를 입힘
새우프라이, 굴튀김, 돈가스, 규카츠, 쿠시카츠
일본 요리 }}}}}}}}}


커틀릿의 일본어식 발음 カツレツ의 준말 カツ가 한국으로 넘어오면서 생겼다. 돈가스, 규카츠, 생선가스, 치킨가스 등이 있다.

2.5. 깨스 - 할명수 유튜브 구독자 애칭

유튜브에서 방영되는 박명수의 웹예능 프로그램 할명수의 구독자 애칭이다. 프로그램 제목인 할명수와 붙이면 깨스 할명수이다. 브랜드명인 까스활명수를 노린 듯.

2.6. 깨스 - 실수나 갈굼을 의미하는 군대 은어

대한민국 국군/용어 및 은어 문서 참조.

3. 인명

3.1. 초록손 가스(Garth) - 얼음과 불의 노래의 전설 속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초록손 가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가스 7세(Garth VII) - 얼음과 불의 노래의 가드너 왕조의 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스 7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가스(ガス) - 드래곤볼 슈퍼의 등장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스(드래곤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