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2 23:27:43

기동석기 도그라드

기동석기 도구라드에서 넘어옴

1. 개요2. 설명3. 수록 팩 일람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링크 몬스터 카드.

2. 설명

파일:機動石器ドグラード.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명칭=기동석기 도그라드,
일어판명칭=<ruby>機動石器<rp>(</rp><rt>きどうせっき</rt><rp>)</rp></ruby>ドグラード,
영어판명칭=Dogurad\, the Stonetrooper,
속성=땅, 레벨=3, link1=, link3=, link8=, 종족=암석족, 공격력=1000,
소재=암석족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암석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린다.,
효과2=②: 상대 메인 페이즈에\, 이 카드의 공격력 이하의 공격력을 가지는 필드의 다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을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내리고\, 대상 몬스터를 파괴한다.)]

차광기 토우를 모티브로 한 암석족 링크 몬스터.

①의 효과는 특수 소환시 자신 묘지의 암석족 몬스터 1장의 공격력 만큼 이 카드를 강화하는 유발 효과. 링크 3임에도 원래 공격력이 1000밖에 되지 않는 만큼 무효화되면 이래저래 곤란한 효과.

②의 효과는 상대 메인 페이즈에 상대 몬스터 1장을 대상 지정 파괴하는 유발 즉시 효과. 이 카드보다 공격력 이하인 몬스터를 대상으로 해야하며,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 만큼 이 카드의 공격력을 내려야 하기 때문에 ①의 효과로 최대한 공격력이 높은 몬스터를 대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소재와 효과로 암석족을 요구하기 때문에 범용성이 떨어지는 건 그렇다 치더라도, 링크 3이라 마냥 가볍게 꺼낼 수 있는 것도 아닌데 파괴하는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이 높을 수록 이 카드의 공격력이 큰 폭으로 깎이는 것이 문제다. 견제가 한번 빠지면 전투로 돌파되기 너무 쉬워지고, 이 카드가 상대 턴까지 살아남아도 공격력이 낮아진 만큼 ②의 효과를 다시 쓸 수 있는 가능성이 크게 낮아진다. 그나마 블록드래곤을 대상으로 하면 공격력 3500, 원시생명체 니비루를 대상으로 하면 공격력 4000이 되니, 1회에 한해선 그럭저럭 높은 견제력이 확보된다.

1방해로 기능할 수 있는 범용 링크 몬스터라는 점에서 과거에 나왔다면 충분히 고평가받을 수도 있었지만, 12기 기준으로는 소환 조건과 코스트가 꽤 무거운 편이라 좋은 평가를 받기는 어려운 성능의 카드다. 같은 12기 출신 링크 몬스터 중에서 범용 링크로서 환경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친 링크 3 하염의 구희나, 링크 2라 매우 쉽게 나오면서 매턴 상대 방해가 가능한 에스:피 리틀나이트 등과 비교하면 초라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차광기 토우를 모티브로 했단 점, 몬스터 3장을 요구한다는 점, 자신의 효과로 올린 공격력을 하락시켜 효과를 처리한단 점을 근거로 원작판 오리컬코스 슈노로스의 리메이크 아니냔 추측이 나오기도 했다.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25-01-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LIN-JP053 | アライアンス・インサイト [ ALLIANCE INSIGHT ]
2025-04-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LIN-KR053 | 얼라이언스 인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