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pad> |
학교 전경[예정] |
<colbgcolor=gray><colcolor=white> 글로벌 K-POP 스쿨 부산국제K-POP고등학교(가칭)[2] 한문 교명 Global K-Pop School | |
(로고) | |
개교 | -> -> 미정[4] |
유형 | 특성화고등학교 |
성별 | 남녀 공학 |
형태 | 공립 |
교장 | 미정 |
교감 | 미정 |
교훈 | 미정 |
교화 | 미정 |
교목 | 미정 |
학생 수 | |
교직원 수 | 미정 |
관할청 | 부산광역시교육청 |
주소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대로 1405 (구 가락중학교)[6] |
홈페이지 | |
<nopad> |
1. 개요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동에 2026년 3월 12학급 규모로 개교할 예정이었던 특성화 고등학교이다. 원안대로 진행된다면 남부권 최초의 케이팝 고등학교가 될 예정이다.하윤수 전 교육감의 공약으로 추진되었으나 김석준 교육감이 취임하면서 사업 전면 재검토를 선언하여 개교가 무기한 연기되었다.
2. 학교 연혁
<colbgcolor=gray><colcolor=white> 날짜 | 연혁 |
(날짜) | (연혁) |
(날짜) | (연혁) |
3. 학교 상징
- 출처: XXXX학교 홈페이지
3.1. 교표
3.2. 교화
3.3. 교목
3.4. 교조
3.5. 교훈
3.6. 교육목표
3.7. 교가
4. 학과
아래는 일부 공개된 내용에서 착안된 내용이며 추후, 변동될 수 있다.4.1. 보컬과
(학과 이름에 맞게 서술하실 수 있습니다.)4.2. 보컬댄스과
(학과 이름에 맞게 서술하실 수 있습니다.)4.3. 실용음악과
(학과 이름에 맞게 서술하실 수 있습니다.)4.4. 작곡과
(학과 이름에 맞게 서술하실 수 있습니다.)4.5. 미디과
(학과 이름에 맞게 서술하실 수 있습니다.)5. 학교 특징
5.1. 복장
(교복, 명찰, 체육복 등을 서술하실 수 있습니다.)
6. 학교 시설
7. 학교 생활
7.1. 주요 행사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 시기"로 추가해 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7.2. 학교 일과
나머지 일과, 방과후 프로그램 등은 이곳에 작성합니다. |
7.3. 시간표
(학교 홈페이지에서 제공된 시간표만 서술하실 수 있습니다.)월 | 화 | 수 | 목 | 금 | |
~ 08:30 | 등교 |
8. 운동부
9. 출신 인물
<colbgcolor=#E9ECEF,#101112>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10.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10.1. 버스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7] |
템플릿:버스 정류장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
10.2. 철도
11. 사건 사고
제도권 언론 및 계열 브랜드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
11.1. 전면 재검토 논란
원래 2026년 3월 개교를 목표로 사업 추진중이었지만 새로 취임한 김석준 교육감이 사업 전면 재검토를 선언하면서 무기한으로 연기되었다.
교육청은 학령인구 감소[8], 교육재정 문제, 시설 미흡[9], 법령미흡[10], 위치 문제[11] 등을 이유로 사업 재검토를 지시했다"고 주장한다.
최근에는 부산광역시 관내 중학교에 본 학교에 대해 교육공동체의 의견을 듣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1.1.1. 반박
이에 대해 부산시 강서구 시•구의원들이 크게 반발하여 반박하고 나섰다.#
12. 기타
13. 둘러보기
[예정] [2] 현재 부산광역시교육청에서도 글로벌 K-POP스쿨, 부산국제K-POP고등학교 등 여러 이름을 혼용하여 정확한 교명이 나오지 않은 상태이다.[3] 앞당기는게 적합하다 판단하여 앞당겨졌다.[4] 사업 전면 재검토로 인한 무기한 연기[예정] [6] 가락중학교는 폐교되었고 기존 교사를 리모델링하여 개교할 예정이다.[7] 나무위키 내 해당 정류소에 정차하는 버스 노선 문서와 연결. 예를 들어 대구서부고등학교 앞에는 524를 추가하듯 각 지자체 버스 노선에 맞게 버스 노선 문서의 링크를 거시면 됩니다.[8] 기존에 있던 가락중학교가 폐교한 사유이기도 하다.[9] 교내 기숙사가 아직 마련되지 않아 개교 후 몇 년 동안 신라대학교 기숙사를 임시로 사용해야한다. 그리고 실습동 신축도 진행되지 않고 있다.[10] 외국인 유학생으로 입학 정원의 절반 이상을 채울 계획이었는데 외국인들을 세금으로 교육시킬 수도 없고 그렇다고 이들을 상대로 등록금을 받을 수 있는 법적 근거도 없다. 심지어 특성화고등학교라면 취업이 어느정도 보장되어야하는데 졸업 이후 국내 취업을 가능하게 해주는 비자 발급도 대졸이 아니라 불가능하다.[11] 학교 예정지가 농촌지역 한가운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