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15:32:20

국립정동극장

국립정동극장 세실에서 넘어옴
국립정동극장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주요 공연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font-size:0.9em"
<rowcolor=#fff> 규모 공연장
50,000명 이상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서울월드컵경기장 |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 인천문학주경기장 | 대구스타디움
10,000명 이상 고척 스카이돔 | 잠실보조경기장 |
목동종합운동장 주경기장 |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 대전월드컵경기장 |광주월드컵경기장 | 울산문수축구경기장 | 수원월드컵경기장 | 고양종합운동장 | 용인미르스타디움 | 화성종합경기타운 | 안산와~스타디움 | 강릉종합운동장 | 천안종합운동장 | 청주종합경기장 | 전주월드컵경기장 | 포항종합운동장 | 구미시민운동장 | 창원종합운동장 | 진주종합경기장 | 제주월드컵경기장 |
전문공연장
CJ라이브시티 아레나(예정) |
전문공연장
서울아레나(예정) | 송도달빛축제공원 | KSPO DOME |
전문공연장
인스파이어 아레나 | 인스파이어 디스커버리 파크 | 잠실실내체육관 | 사직실내체육관 | 올림픽공원 88잔디마당
5,000명 이상 고려대학교 화정체육관 | SK핸드볼경기장 | 장충체육관 | 잠실학생체육관
3,000명 이상 경희대학교 평화의 전당 |
전문공연장
올림픽홀 |
전문공연장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1,000명 이상 KBS아레나 | 광운대학교 동해문화예술관 | 상명대학교 상명아트센터 | KBS부산홀 | 계명대학교 계명아트센터 | 충남대학교 정심화국제문화회관 | 우송대학교 우송아트센터 | KBS울산홀| 강원대학교 백령아트센터 |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 | 영남대학교 천마아트센터 | KBS창원홀 | 창원MBC홀 |
전문공연장
블루스퀘어 |
전문공연장
LG아트센터 서울 |
전문공연장
우리금융아트홀 |
전문공연장
예스24 라이브홀 |
전문공연장
명화 라이브홀 |
전문공연장
국립극장 |
전문공연장
국립국악원 |
전문공연장
예술의전당 |
전문공연장
유니버설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디큐브 링크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충무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샤롯데씨어터 |
전문공연장
롯데콘서트홀 |
전문공연장
부산문화회관 |
전문공연장
드림씨어터 |
전문공연장
부산시민회관 |
전문공연장
소향씨어터|
전문공연장
아트센터 인천 |
전문공연장
인천문화예술회관 |
전문공연장
대구문화예술회관 |
전문공연장
대구콘서트하우스 |
전문공연장
대구오페라하우스 |
전문공연장
대구학생문화센터 |
전문공연장
수성아트피아 |
전문공연장
대전예술의전당 |
전문공연장
광주예술의전당 |
전문공연장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전문공연장
울산문화예술회관 |
전문공연장
경기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고양아람누리 |
전문공연장
용인포은아트홀 |
전문공연장
성남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부천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안양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안산문화예술회관 |
전문공연장
의정부예술의전당 |
전문공연장
군포문화예술회관 |
전문공연장
청주예술의전당 |
전문공연장
천안예술의전당 |
전문공연장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전문공연장
익산예술의전당 |
전문공연장
군산예술의전당 |
전문공연장
목포시민체육센터 |
전문공연장
GS칼텍스 예울마루 |
전문공연장
포스코 백운아트홀 |
전문공연장
구미문화예술회관 |
전문공연장
경주예술의전당 |
전문공연장
통영국제음악당 |
전문공연장
경상남도문화예술회관 |
전문공연장
성산아트홀 |
전문공연장
3.15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김해문화의전당 |
전문공연장
제주아트센터
1,000명 미만
전문공연장
국립정동극장 |
전문공연장
두산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무신사 개러지 |
전문공연장
롤링홀 |
전문공연장
KT&G 상상마당 홍대 라이브홀 |
전문공연장
웨스트브릿지 라이브홀 |
전문공연장
노들섬 라이브하우스 |
전문공연장
예스24 스테이지 |
전문공연장
예스24 아트원 |
전문공연장
예스24 원더로크홀 |
전문공연장
현대카드 언더스테이지 |
전문공연장
링크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링크아트센터드림 |
전문공연장
광림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 |
전문공연장
인터파크 유니플렉스
}}}}}}}}} ||

국립정동극장
貞洞劇場 | National Jeongdong Theater of Korea
파일:국립정동극장 로고.svg
<colbgcolor=#215231> 종류 국립 극장, 공연장
설립일 1996년 11월 15일
대표이사 정성숙
관할 문화체육관광부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43
연락처 02-751-1500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제작 공연3. 시설
3.1. 극장
3.1.1. 국립정동극장3.1.2. 국립정동극장 세실
3.2. 문화 공간3.3. 부가 시설
4. 조직5. 역대 극장장

[clearfix]

1. 개요

국립정동극장(貞洞劇場, National Jeongdong Theater of Korea)은 전통문화의 보존, 계승발전 및 공연예술 진흥사업에 기여하기 위하여 1996년 11월 15일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재단법인으로 복합 공연장이다. 국내 최초의 근대식 극장인 원각사의 복원을 이념으로 1995년 국립중앙극장 분관으로 설립되었으며, 이후 재단법인으로 독립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산하에 국립정동극장 예술단이 있다.

2. 제작 공연


파일:국립정동극장 흰색 로고.svg 제작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width=25%><bgcolor=#7A3322> 파일:정동 적벽.png ||<width=25%><bgcolor=#151314> 파일:정동 포미니츠.png ||<width=25%><bgcolor=#050911> 파일:정동 쇼맨.png ||<width=25%><bgcolor=#e2ddd9> 파일:음악극 섬 로고.png ||
2017 2021 2022 2024

3. 시설

* 극장
  • 국립정동극장(326석)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43
  • 국립정동극장 세실(232석)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19길 16[1]
  • 문화 공간
  • 정동마루
  • 정동야외마당
  • 부가 시설
  • CAFE정담

3.1. 극장

3.1.1. 국립정동극장

파일:국립정동극장 입구.png
국립정동극장 입구
파일:국립정동극장 내부.jpg
국립정동극장 내부
326석 규모의 프로시니엄 무대를 갖춘 중극장. 연극·뮤지컬·전통예술·무용 등 다양한 장르의 자체 기획 공연 및 대관 공연이 열린다. OP석(오케스트라피트석) D,E,F열은 공연에 따라 객석으로 활용할 수 있는 좌석이다. OP석(D,E,F열 전석) 및 A열 1~7번, B열 1~8번, C열 1~7번 좌석은 무대보다 낮은 좌석구역이자 객석 간의 단차가 없다. 휠체어석 2석을 보유중이다.

3.1.2. 국립정동극장 세실

파일:국립정동극장 세실 전경.jpg
국립정동극장 세실 전경
파일:국립정동극장 세실 내부.jpg
국립정동극장 세실 내부
232석 규모의 프로시니엄 무대를 갖춘 소극장. 전신은 세실극장으로, 국립정동극장이 2022년 4월부터 운영을 맡고 있다. 1976년 개관한 세실극장은 한때 연극인회관으로 사용되고, 서울연극제의 전신인 대한민국연극제가 열리는 등 소극장 연극의 중심지였다. 1987년 6월 항쟁 당시 민주화 선언이 낭독됐던 역사적 공간이기도 하다. 건축가 김중업의 설계로 지어진 세실극장은 2013년 건축적·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서울시 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연극·뮤지컬·전통예술·무용 4개 장르를 중심으로 한 작품 개발과 창작자 지원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휠체어석 1석을 보유중이다.

3.2. 문화 공간

* 정동마루
비즈니스 문화 만남부터 젊은 예술가들의 창작 작업, 예술가와 관객의 문턱 없는 만남을 위한 정동극장만의 캐주얼 문화 공간.
파일:정동마루 전경.jpg
정동마루 전경
  • 정동야외마당
    도심 속 작은 정원을 연상케 하는, 자연의 정취와 미술 작품의 조화가 인상적인 고즈넉한 문화 공간. 야외마당 외벽 전면을 장식하고 있는 작품은 전수천 작가의 '혹성들의 신화, 놀이, 비젼(1997.03)'이다. 정동극장 야외마당에 세워진 '명창 이동백 선생'의 동상은 정동극장의 원각사 복원의 의미를 상징적으로 기리고 있다.
파일:정동야외마당.jpg
정동야외마당 전경

3.3. 부가 시설

* CAFE정담
전통 한옥의 소담스런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정동극장 카페 공간. 아로니아마라떼, 수삼한뿌리라떼 등 시그니처 메뉴를 포함하여 커피부터 전통차까지 다양한 음료를 제공한다. 정동극장에서 공연하는 티켓을 제시하면 당일 모든 음료를 10% 할인가로 즐길 수 있다.
파일:카페정담 전경.jpg
CAFE정담 내부

4. 조직

  • 이사회
  • 대표이사(극장장)
  • 정책기획팀
  • 경영관리팀
  • 공연기획팀
  • 문화사업팀
  • 홍보마케팅팀
  • 무대예술팀

5. 역대 극장장

  • 1대 홍사종 (1997~2000)
  • 2대 박형식 (2000~2004)
  • 3대 최태지 (2004~2007)
  • 4대 구자흥 (2008~2010)
  • 5대 최정임 (2010~2013)
  • 6대 정현욱 (2013~2016)
  • 7대 손상원 (2016~2019)
  • 8대 김희철 (2019~2022)[2]
  • 9대 정성숙 (2022~)


[1] 국립정동극장 본 건물과 주소지가 다르니 방문 시 주의할 것.[2] 8대부터는 대표이사로 명칭이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