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13:23:34

경기도청 북부청사

경기도청북부청사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파일:황해도 휘장(이북5도위원회) 하양.svg 파일:평안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파일:정부상징 단색형.svg 파일: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파일:함경북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이북5도청 }}}}}}}}}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청 북부청사
京畿道廳北部廳舍
파일:경기도청 북부청사 전경.png
파일:46670042861_1241ceb3e8_b.jpg
<colbgcolor=#0c479d><colcolor=#fff> 슬로건 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청사로 1 (신곡동[1])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광역자치단체 경기도
도지사
파일:zsdkl3gasdg.svg
김동연 (초선)[2]
부지사 오병권 (행정1)
오후석 (행정2)
김현곤 (경제)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경기평화광장4. 조직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5.1. 버스5.2. 철도
6.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경기도청북부청사 예전모습.jpg
파일:경기도청 북부청사 전경.png
과거 모습(2016)[3] 현재 모습(2022)[4]

경기도를 책임지는 지방관청경기도청의 북부청사이며, 의정부 금오지구에 위치하고 있다.

2. 역사

파일:북부출장소시청.png
북부출장소 당시의 의정부시청 모습(1960년대)
1967년 3월 22일에 경기도청의 소속 기관으로 설립되어 경기도청 북부출장소(京畿道廳 北部出張所)으로 시작하였다. 당시 경기도청이 서울에서 경기 남부의 수원시로 이사가면서 도청으로 가기 불편해진 경기 북부(당시 행정구역 기준 의정부시, 양주군, 고양군, 파주군, 연천군, 가평군, 포천군)를 위해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경기도청 북부출장소를 의정부에 둔 것이 시작이다.

1967년 6월 27일에 경기도 조례 제309호에 경기도 북부출장소 설치 조례를 공포하고 7월 1일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1동에 경기도 북부출장소를 개청하였다. 출장소라서 처음에는 의정부시청(현 태영프라자 자리)에 세들어 살다가 1970년에 호원동 현 경기벤처창업지원센터 의정부1센터 자리에 청사를 마련해 입주했다.[5]

1989년 12월 27일 북부출장소 규칙 제2035호(1989.12.27.)를 제정, 총무과에 행정계를 신설하여 기존 서무계, 민원계와 함께 3개의 계로 개편하고, 보건사회과와 그 산하 사회복지계, 보건위생계, 환경보호계를 신설하고, 개발과에 지도1계, 지도2계, 상공운수계를 개발계, 지역경제계, 산업계로 개칭하였다.

1993년 1월 5일에는 1실 5과 14계에서 지방4급 서기관 국장의 총무국, 지역개발국과 건설과, 환경보호과 신설로 2국 1실 7과 20계로 증원되었다. 또한 154개의 사무를 자체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1999년에 임창열 경기도지사의 노력으로 의정부에 도청 제2청사를 두는 것이 확정되었다. 이에 따라 북부출장소는 폐지되고 제2청사로 기능을 이관했다. 북부출장소가 말 그대로 북부만의 일을 제한적으로 담당해왔던 것과 비교하면, 제2청사에는 행정2부지사를 포함해 도 전체에 대한 사무를 담당하는 부서들도 일부 들어서게 되어 그 기능이 크게 확대되었다.
파일:제2청사이전전.png
파일:2청사 개관.png
제2청사 승격후(2000) 제2청사 신축 개청 당시
(2002)
2000년 2월 25일에 북부출장소장 대신 제2행정부지사를 두게 하면서 경기도청 제2청사로 승격하였다. 이와 함께 도청 신축건물 공사로 인해 잠시 경원선 의정부역 근처 의정부2동 삼성생명 건물로 임시 이전했다.

2002년에 현재 위치인 의정부시 금오지구 내로 이주하여 유지되다가, 2011년에 “경기도청 제2청사”에서 “경기도청 북부청사”로 관청 이름이 변경되었다.
파일:북부청사 2018 리모델링 1.jpg
파일:북부청사 2018 리모델링 2-1.jpg
파일:북부청사 2018 리모델링 3-1.jpg
파일:북부청사 2018 리모델링 4.png
파일:북부청사 2018 리모델링 5.jpg
리모델링 공사 당시 모습(2017~2018)
2017년 4월, 당시 경기도 지사인 남경필 지사는 경기도청 북부청사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하여 서울시청 2배 넘는 시민광장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당시 의정부 시장인 안병용 의원과 관련 논의를 순조롭게 진행하였고, 2017년 하반기부터 착공에 들어가게되었다. 북부청사 주변에 거대한 바리케이드로 주변을 막아둔 채 공사를 시작했고, 2018년 3월 1일부터 동년 6월 1일까지는 청사 앞 신규 도로 건설을 위해 청사 앞에서 홈플러스 쪽을 잇는 청사로를 통재했었다. 따라서 당시 북부청사를 경유하는 노선 버스들은 드림밸리 정문 쪽으로 한시적 우회운행하였다.[6]
파일:경기평화광장 개장식.png
경기평화광장 개장식 당시(2018.11.24.)
이후, 2018년 11월에 완공하였으며, 새롭게 지어진 북부청사 광장 명칭은 사전 공모전을 통해 “경기평화광장”이라고 명명하였다.[7] 동년 11월 24일에는 경기평화광장에서 광장 개장식을 진행하였는데 여자친구(아이돌)[8], 홍진영이 초대가수로 방문하였다.

파일:북부청사 2020 리모델링 1.jpg
파일:북부청사 2020 리모델링 2.jpg
지하주차장 공사 당시 모습(2020~2023)
2020년에는 당시 의정부 시장 안병용 의원에 의해 북부청사 앞 청사로에 경기평화광장 방문자들을 위한 지하 주차장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이 나왔다. 주변 주민들은 “굳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였지만, 결국 2020년 하반기에 착공하였다. 2018년 리모델링 공사 때와 마찬가지로 청사로는 다시 전면 통제되었으며, 경유 노선버스 역시 드림밸리 후문 쪽으로 다시 우회했다. 여기서 문제는 1년 좀 넘게 걸린다는 공사가 코로나 이슈, 지장물 이설, 다수인 민원, 관급자재 수급 지연 등 여러 가지 이유를 내세워 17개월 넘게 지연되었다는 점이다.

파일:북부청사 지하주차장 완공후.jpg
북부청사 앞 지하주차장 완공 후 모습(2023)
결국, 2023년 5월이 돼서야 지하주차장이 완공되었으며, 3년 가까이 막혀있던 청사로는 리모델링되어 새단장한 모습으로 재개통하였다.

3. 경기평화광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기평화광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남경필 전 경기도 지사가 북부청사를 리모델링하면서 청사 내부에 새롭게 조성한 시민광장이다. 서울광장의 1.7배 정도의 크기이다. 이 곳에서 주기적으로 여러가지 행사와 문화체험을 자주 선보이고 있다.

4. 조직

  • 행정2부지사
    • 경기북부특별자치도추진단
    • 균형발전기획실
    • 평화협력국
    • 노동국
    • 건설국
    • 교통국
    • 철도항만물류국
    • 축산동물복지국

5.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5.1. 버스

{{{#!wiki style=
{{{#!wiki style="text-align: left"
}}} ||
[ 정류장별 노선 목록 ]
||<-4> ||
경기도청북부청사(08214)
송산주공 방면
일반시내
직행좌석
경기순환
경기도청북부청사(08215)
드림밸리아파트 방면
일반시내
직행좌석
경기순환
경기도청북부청사(08219)
드림밸리아파트 방면
일반시내
직행좌석
경기도청북부청사(08220)
홈플러스 방면
일반시내
직행좌석
마을버스
경기도청북부청사
드림밸리아파트 방면
마을버스
경기도청북부청사
새말초등학교.과학도서관 방면
마을버스
드림밸리아파트
홈플러스 방면
직행좌석
마을버스
드림밸리아파트(08589)
경기도청북부청사 방면
직행좌석
마을버스
}}} ||}}}

5.2. 철도

6. 여담

  • 의정부와 의정부 금오지구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건물 중 하나이다.
  • 광역버스 교통이 상당히 좋은 편이다. 이 곳 주변을 정차하는 광역버스(직행좌석버스) 노선수가 의정부시 모든 정류장 통틀어서 제일 많다. 3100번 노원/포천/강남행, G6100번 잠실행, 1102번 수유/종로/서울역행, 8409(8401)번 구리/수원행, 8906번 양주/부천행, G2001번 동두천/연천행, 3800번 일산(고양)행 버스가 모두 북부청사 정류장을 정차한다. 따라서 장거리 이동도 상당히 편한 편이다.
    • 3100번, 8409번, 8906번을 제외하고는 모두 2020년 이후로 신규 개통되었다. 이렇게 북부청사 정차 광역버스 노선이 많아진 배경이 있다. 경기도 공공버스가 생겨나면서 의정부시와 주변 시의 광역버스 신설이 활발해졌는데, 경기도청 북부청사 주변에 아파트 단지들이 꽤 많은 점과 북부청사에 출퇴근 직원이 상당하다는 점, 그리고 의정부 금오지구 뿐만 아니라 의정부 내에서도 꽤 상징적인 장소인 점을 통해 의정부시나 타 지자체 시에서 신규 노선을 기획할 때, 북부청사를 정차 정류장에 넣는 경우가 많다.

[1] 행정주소는 신곡동 위치이지만, 사실상 금오지구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2] 민선 8기[3] 리모델링 전의 모습으로 완공 2002년부터 2018년 여름 이전.[4] 리모델링 후의 모습으로 2018년 여름부터 현재까지.[5] 신한대학교 앞에 있는 그 건물이다. 도청 출장소임에도 접근성은 영 좋지 않은 편.[6] 다만, 3100번은 천보중학교 쪽으로 우회했다.[7] 다만, 리모델링 공사 이후 청사 바로 앞 추동로 도로가 광장 부지를 확장으로 인해 기존 일자에서 U자로 곡선이 생긴 것에 대해서는 당시 불만이 상당하였다. 처음으로 방문한 사람들은 운전하기가 워낙 까다롭고 헷갈릴 뿐더러 사고 발생률도 더 올라간다는 것이다. 실제로 완공 극초반에 몇 번 사고가 나기도 했다. 다만,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들이 점차 도로에 많이 익숙해지고, 도로까지 없애면서 만든 평화광장이 예상보다 지역주민의 여가, 문화, 관광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어서 2024년 현재는 불만이 많이 사그라진 상태다.[8]VIVI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