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8 03:28:06

화목란

파일:external/djyimg.com/806150341451974.jpg

1. 소개2. 활동상3. 목란사(木蘭詞) 전문4. 이야깃거리

1. 소개

花木蘭, 花木兰(huā mù lán)[1]

중국의 설화문학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 장수. 전설 속의 인물일 뿐 실존했던 인물은 아니다. 남북조 시대의 시가인 목란사(木蘭詞)에 등장하는 여성으로, '화'라는 성씨는 후에 이야기에 살이 붙으면서 붙은 것이다. 목란사에는 목란의 성씨가 나오지 않는다.

5호 16국의 혼란한 사회상에서 여성 무장의 활약이 민간에 퍼졌는데[2] 자신의 성별을 숨긴 채 12년 동안 공을 세운 여성 무장이라는 골자를 지닌 설화로 변형되었고 그대로 수백 년에 걸쳐 민간설화처럼 이어지면서 5호 16국에서 이어진 수당시대와 더 나아가 송나라 시대까지 여러 번 재창작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화목란이 아버지 대신 종군했다는 전쟁도 창작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모습을 보이는데, 공통적으로 중국의 동북방에서 위세를 떨친 세력들로 선비족, 흉노족, 고구려 등이 거론된다.

그녀의 성, 고향, 활동 시기에 대해서는 문학 작품 등에 따라 다른데 성이 주씨, 위씨라거나, 목란이라는 이름 자체가 성이라는 설도 있다.

2. 활동상

활동 시기에 대해서는 북위의 효문제에서 선무제 때 사람, 수공제 때의 사람, 당나라 초기 때 사람이라고 제기되고 있지만 그녀를 묘사하는 시가인 《목란사》목란사 전문의 묘사를 볼 때 북위의 한화정책과 맞물려서 남북조시대일 가능성이 타당한 것으로 받아들여져 북위의 장수로 추정되고 있다.

485년부터 492년까지 아버지가 병약하자 이를 대신해서 유연 정벌에 종군하였다고 하며[3] 그녀의 고향이나 출신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지만 양주, 하북성 완현, 영주 초군 동위촌, 송주 혹은 황주, 구화송촌, 북민족의 통만진 등이 제기되었다.

아버지를 대신해서 종군하여 큰 공을 세우자 가한(可汗)이 벼슬과 봉록을 내렸으나 이를 사양하고 고향으로 내려갔다. 귀향한 후 여자로 돌아가자 모두 놀랐다고 한다.

3. 목란사(木蘭詞) 전문

喞喞復喞喞, 木蘭當戶織。
즉즉부즉즉, 목란당호직.

不聞機杼聲,唯聞女嘆息。
불문기서성, 유문녀탄식.

問女何所思,問女何所憶。
문녀하소사, 문녀하소억

女亦無所思,女亦無所憶。
녀역무소사, 녀역무소억

昨夜見軍帖,可汗大點兵。
작야견군첩, 가한대점병.

軍書十二卷,卷卷有爺名。
군서십이권, 권권유야명.

阿爺無大兒,木蘭無長兄。
아야무대아, 목란무장형.

願爲市鞍馬,從此替爺征。
원위시안마, 종차체야정.

東市買駿馬,西市買鞍韉。
동시매준마, 서시매안천.

南市買轡頭,北市買長鞭。
남시매비두, 북시매장편.

旦辭爺娘去,暮宿黃河邊。
단사야랑거, 모숙황하변.

不聞爺娘喚女聲,
但聞黃河流水鳴濺濺。
불문야랑환녀성,
단문황하류수명천천.

旦辭黃河去,暮至黑山頭。
단사황하거, 모지흑산두.

不聞爺娘喚女聲,
但聞燕山胡騎鳴啾啾。
불문야랑환녀성,
단문연산호기명추추.

萬里赴戎機,關山度若飛。
만리부융기, 관산도약비.

朔氣傳金柝,寒光照鐵衣。
삭기전금탁, 한광조철의

將軍百戰死,壯士十年歸。
장군백전사, 장사십년귀.

歸來見天子,天子坐明堂。
귀래견천자, 천자좌명당.

策勳十二轉,賞賜百千强。
책훈십이전, 상사백천강.

可汗問所欲,木蘭不用尙書郞。
가한문소욕, 목란불용상서랑.

願馳千里足,送兒還故鄕。
원치천리족, 송아환고향.

爺娘聞女來,出郭相扶將。
야랑문녀래, 출곽상부장.

阿姉聞妹來,當戶理紅粧。
아자문매래, 당호리홍장.

小弟聞姉來,磨刀霍霍向豬羊。
소제문자래, 마도곽곽향저양.

開我東閣門,坐我西閣床。
개아동각문, 좌아서각상.

脫我戰時袍,着我舊時裳。
탈아전시포, 착아구시상.

當窓理雲鬢,對鏡帖花黃。
당창리운빈, 대경첩화황

出門看火伴,火伴皆驚忙。
출문간화반, 화반개경망.

同行十二年,不知木蘭是女郞。
동행십이년, 불지목란시녀랑.

雄兎脚撲朔,雌兎眼迷離。
웅토각박삭, 자토안미리.

兩兎傍地走,安能辨我是雄雌。
량토방지주, 안능변아시웅자.

4. 이야깃거리

  • 홍콩 배우인 능파와 금한이 주연으로 출연했던 1964년 영화가 셀레스티얼 무비라는 케이블 채널에서 방영되었다.
  • 천하제일상 거상에 전설장수로 등장한다.
  • 청대의 문학 작품 《수당연의》에서는 수공제~당태종 시기를 배경으로 목란이 선비족과 한족의 혼혈로 등장하며, 그녀가 돌궐과의 전쟁에 종군하는 것으로 나온다. 이후 고향으로 돌아갔다가 여자임이 드러나게 되고 황제가 그녀를 후궁으로 불러들이자 자결한다.
  • 다나카 요시키의 소설인 '바람이여 만리를 날아라'에서는 수양제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아버지 대신 종군하게 된 첫 전쟁이 수양제의 고구려 침공으로 나오기 때문에 을지문덕 장군과 살수대첩 역시 등장한다. 이후 양현감의 반란 진압과 당태종 이세민의 고구려 원정까지 종군한 뒤에 전역한다.
  • 드라마로는 1998년 대만 CTV에서 제작한 48부작 화목란이 유명하다. 홍콩 배우 원영의(袁詠儀)가 화목란 역을 맡았으며 국내에서도 ABO에서 방송했던 적이 있다.
  • IGS에서 제작한 에일리언 챌린지[6]에서 나오기도 하는데, 무슨 로보트마냥 슴가 미사일을 발사한다. 그리고 igs 초기작이라 그런지 캐릭터가 투박한데 참 컬트적이다.
  • 이연복 셰프의 식당 이름인 목란이 이 인물에서 유래되었다.
  • 영턱스클럽의 멤버였던 송진아 등이 활약한 여성 스노보드 팀의 이름인 화무란 역시 여기서 유래했다.
  • 홍루몽에서는 92회에서 가보옥이 가교저에게 효녀와 열녀, 현모양처 이야기를 들려주는 장면에서 조아[9]와 함께 효녀로 이름이 언급된다.
  • 대만여자 축구 최상위 리그 명칭은 대만 뮬란 풋볼 리그다. 로고에 투구를 쓴 여성이 그려져 있는 것을 보아 여기에서 영향을 받은 듯하다.


[1] 표준 중국어 발음으로는 "화무란"이라고 읽는다.[2] 그 모델이 된 것은 난릉왕이라는 설도 있다.[3] 전승에 따라서는 밑에 남동생이 있었지만 군역을 수행하기엔 아직 어려서 자신이 남장을 하고 군역을 졌다고 한다.[4] 木蘭을 한어 병음으로 표기하면 mùlán(무란)이다. 그런데 디즈니 애니메이션 제목이 뮬란으로 소개되면서, 엄밀히 원 발음과는 차이가 있는 잘못된 표기임에도 이후 뮬란으로 굳어졌다.[5] 왕좌의 게임 에피소드의 연출을 맡았던 알렉스 그레이브스가 연출을 맡는다. 아시아 배우들로 출연진을 꾸릴 예정이다. 각본은 백설공주의 제이슨 켈러가 맡았다고 한다. #[6] 형의권의 전작.[7] 다만 가공보다는 전설 쪽에 가깝다.[8] 한 명은 타임머신을 만든 오리지널 캐릭터[9] 후한 시대 효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