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4 19:50:46

토리당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보수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영국 보수정당
파일:보수당(영국) 아이콘.svg 파일:영국 독립당 로고.svg 파일:민주연합당 로고.svg
리시 수낙 닐 해밀턴 제프리 도널슨 }}}
{{{#!wiki style="margin: -21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집권내각 대처 내각 · 메이저 내각 · 캐머런 내각 · 메이 내각 · 존슨 내각 ·
트러스 내각 · 수낙 내각
사상 우파 · 보수주의 · 자유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 반공주의 · 신보수주의 · 대처주의 · 전통적 보수주의 · 내셔널리즘 · 국민보수주의 · 우익대중주의 · 보수자유주의 · 일국 보수주의 · 가부장적 보수주의 · 유럽회의주의 · 우파적 자유지상주의 · 진보적 보수주의 · 군주주의 · 대안우파 · 엘리트주의
정치인 총리 존 스튜어트 · 윌리엄 피트 · 아서 웰즐리 · 로버트 게스코인세실 · 벤저민 디즈레일리 · 스탠리 볼드윈 · 네빌 체임벌린 · 윈스턴 처칠 · 앤서니 이든 · 해럴드 맥밀런 · 알렉 더글러스흄 · 마거릿 대처 · 존 메이저 · 데이비드 캐머런 · 테레사 메이 · 보리스 존슨 · 리즈 트러스 · 리시 수낙
야당 당수 윌리엄 헤이그 · 이언 덩컨 스미스 · 마이클 하워드
국무의원 리즈 트러스 내각
국회의원 제58대 보수당 국회의원
그 외 인물 토머스 칼라일
언론 데일리 메일 · 데일리 익스프레스 · 데일리 텔레그래프 · 이브닝 스탠더드 · 더 타임스 · 더 썬
관련 주제 미들 잉글랜드 · 일국 보수주의 · 자유시장 포럼 · 블루칼라 보수주의 · 근력 자유주의 · 토리 사회주의
영국 정치 관련 문서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분파 }}}}}}}}}}}}

1. 개요2. 상세3. 여담4. 관련 틀

1. 개요

Tory Party

잉글랜드에 존재했던 정당.

역사적으로 두 개의 토리당이 존재하는데, 각각 1661년부터 1760년대까지 존재했던 토리와 1783년부터 소(小) 윌리엄 피트를 중심으로 기존의 휘그당에서 나와 독자적 세를 이루며 형성된 토리가 그것이다. 즉, 따지고 보면 두 당은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만, 두 번째 토리당이 이름을 따서 쓴 것.

2. 상세

1661년부터 1760년대까지 존속했던 토리당은 제임스 2세의 왕위 계승에 찬성을 한 사람들로 이루어진 당으로, 이름의 유래도 이때 휘그당이 이 찬성파들을 토리즈(Tories)[1]라고 부른 것이라고 추측된다. 1688년 명예혁명 때는 휘그당과 협력했지만, 이후 하노버 왕조가 이어지면서 휘그당이 내각을 주도하자 약 50년 동안 듣보잡 취급을 받고 세가 약해져, 1760년대 중반부터는 영국 의회에서 토리당의 당원이라 불릴 만한 사람이 한 명도 없게 되었다. 당시 토리당은 온건 중도와 진보적 리버럴파 중심의 휘그당에 맞서는 반동적 왕당파에 가까웠다.

이후 시간이 지나 소(小) 윌리엄 피트와 그를 따르는 의원들이 휘그당에서 나와 독자 세력을 이루게 되는데, 이들은 초창기에는 "독립파 휘그(Independent Whigs)", "피트주의자(Pittites)"로 불렸으나, 피트의 사후 "토리"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고 1812년부터는 아예 토리가 이들을 지칭하는 고유명사로 정착하게 된다. 과거 토리당과 달리 휘그당에서 갈라져나온 세력답게 자유민주주의를 수용하여 온건 보수화되고, 이후 휘그당과 경쟁하며 영국 정치를 양분하게 된다.

1832년에는 로버트 필에 의해 보수당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840년대에는 보호무역주의를 표방하던 보수당 정책에 맞서 곡물법 폐지를 통한 자유무역 확대를 주장한 로버트 필을 지지하던 필 주의자들(Peelites)들이 보수당을 빠져나와 휘그당의 후신인 자유당과 합치게 된다. 이들 탈당파들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이 훗날 자유당을 이끌고 보수당 대표인 벤자민 디즈레일리와 경쟁하게 되는 윌리엄 글래드스턴이다. 1900년대 초반까지 지속된 보수당과 자유당의 양당체제는 이때를 기점으로 확립된다.

3. 여담

토리라는 표현은 지금도 영국 내에서 보수당 또 보수당 지지자를 지칭하는 속어로 널리 쓰이고 있다. TV 뉴스나 신문에서도 곧잘 등장해 애칭에 가깝다. 샤이 토리가 대표적인 예. 반면 토리당의 반대당이 었던 휘그당이라는 속어는 거의 쓰이지 않고 영국 노동당이나 계보상 계승자인 영국 자유민주당에도 쓰이지 않는다.

캐나다에선 캐나다 보수당을 가리키는 속어기도 하다.

4. 관련 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에드워드 하이드 존 언레 찰스 2세 제임스 2세
제5대 공석 공석 공석
토마스 오스본 공석 공석 공석
공석 제6대 제7대 제8대
공석 시드니 고돌핀
존 처칠
존 처칠 시드니 고돌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로버트 할리 헨리 세인트 존 윌리엄 윈덤 헨리 세인트 존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왓킨 윌리엄스윈 에드먼드 이샴 프레더릭 노스 윌리엄 피트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헨리 애딩턴 윌리엄 캐번디시벤팅크 로버트 젠킨슨 아서 웰즐리
토리당 당수 · 휘그당 당수
보수당 대표 · 토리당 당수
}}}
}}}}}} ||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 사상의 분파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온건 · 개혁적 보수주의
녹색 보수주의 일국 보수주의 실용적 보수주의 온건 보수주의 진보적 보수주의
현대적 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 보수자유주의 재정보수주의 국민보수주의* 신보수주의
고전적 보수주의
가부장적 보수주의 전통적 보수주의 사회보수주의 문화적 보수주의 고보수주의
가족주의
강경 보수주의
초보수주의 교권주의 토착민주의 반동주의 국민보수주의(일부)
인종 보수주의 권위주의적 보수주의
종교적 보수주의
기독교 민주주의 기독교 우파 이슬람 민주주의 이슬람주의 불교 민주주의
유대 보수주의 종교 시오니즘 가톨릭 보수주의 힌두트바 보수주의 신학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융합주의 고자유지상주의
지역별 보수주의
보나파르트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오를레앙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법통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드골주의 파일:프랑스 국기.svg 보수혁명 파일:독일 국기.svg
일국 보수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대처주의 파일:영국 국기.svg 트럼프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푸틴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 유라시아주의 파일:러시아 국기.svg
보수민주주의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원칙주의 파일:이란 국기.svg 알폰소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 카를로스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 프랑코주의 파일:스페인 국기.svg
메넴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정통 페론주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장제스주의 파일:대만 국기.svg 일민주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따뜻한 보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국민우파 파일:호주 국기.svg 후지모리주의 파일:페루 국기.svg 피노체트주의 파일:칠레 국기.svg 보우소나루주의 파일:브라질 국기.svg 베를루스코니주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신보수주의 파일:중국 국기.svg
나라별 현황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독일의 보수주의 러시아의 보수주의 미국의 보수주의 영국의 보수주의
인도의 보수주의 중국의 보수주의 일본의 보수주의 호주의 보수주의 홍콩의 보수주의
문화, 지역별 현황
한반도의 보수주의
기타
우익 정치 보수주의 페미니즘 성소수자 보수주의 흑인 보수주의 보수적 사회주의
중도실용주의 우익대중주의 군주주의 (왕당파) 아시아적 가치 삼민주의
반공주의 대안 우파 안티페미니즘(일부) 반자본주의(일부) 반자유주의(일부)
부르주아 정당 친생명 귀족 이익 영국 연합주의 사회적 위계
권위주의적 자본주의 가속주의(일부) 탈파시즘 보수좌파 사회자유 보수주의
블루 타이드
관련 단체
국제민주연합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무슬림 형제단 아데나워 재단 에라스뮈스 재단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국민주의는 근대(modern)에 탄생한 이념이다. 따라서 21세기 기준 서구 선진국에서 국민보수주의가 강경 우익인 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는 근대적/현대적(modern) 보수주의이며, 고전적(classical) 보수주의에 속하지 않는다.
}}}}}}}}} ||



[1] 아일랜드어로 유적(流賊). "해적"으로 번역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 유적은 정처없이 떠다니는 도적들을 의미한다. 의미가 어찌 되었건 가톨릭이란 은유다. 그러나 실상 토리당의 주축은 고교회파 성공회였다. 휘그당의 강경 개신교도 입장에서는 가톨릭과 별반 차이가 없다고 보였겠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