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4 01:17:07

킹 라우저

<colcolor=black> 파일:Blade_Logo.png
가면라이더 블레이드에 등장하는 무기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블레이 라우저 킹 라우저 갸렌 라우저
카리스 애로우 와일드 슬래셔 렌겔 라우저
글레이브 라우저 랜스 라우저 라르크 라우저
← 555 무기 목록 히비키 무기 목록 → }}}

1. 개요2. 중성검 킹 라우저
2.1. 각 부위 설명
3. 중성총 킹 라우저4. 중성장 킹 라우저

1. 개요

가면라이더 블레이드의 등장 라우저로, 킹 폼 전용 무장이다.

기존처럼 라우즈 카드를 긁는 것이 아니라 어드벤트 카드 처럼 슬롯에 집어넣는 형태의 라우즈를 하지만, 렌겔은 여전히 긁는 방식으로 스캔한다.

2. 중성검 킹 라우저

파일:로고 블레이드.png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lightgray><colcolor=crimson> 장착자 <colbgcolor=#fff,#1f2023> 켄자키 카즈마
신체 부위
벨트 블레이 버클
무장 라우즈 카드 · 블레이 라우저 · 라우즈 업소버 · 중성검 킹 라우저
비클 블루 스페이더
}}}}}}}}} ||
중성검 킹 라우저
重醒剣 キングラウザー / Heavy Rousing Sword King Rouzer
파일:킹 라우저 가면라이더 도감.png
仮面ライダーブレイド キングフォームが操るラウズカード覚醒機能を備えた大剣型の武器。
仮面ライダーブレイドがブレイド キングフォームにフォームチェンジすると同時に手元に実体化する。
ブレイドが使用するブレイラウザーと比較すると切れ味は3倍となっており、ラウズカードをラウズ(リード)する際に消費される初期AP(アタックポイント)もブレイラウザーが5000に対して9600とかなり高い。
ほかの武器にはない「オートラウズシステム」を搭載しており、キングフォームが持つギルドラウズカードだけではなく、カリスやギャレンなどほかの仮面ライダーのものも含めたラウズカードを一度に5枚自動装填してラウズ(リード)し、ポーカーの役に応じた必殺技を発動する。
なお、劇中で見せたのは、ブレイラウザーを出現させ、アンデッドの能力を乗せた二刀流による強烈な斬撃を放つ「ストレートフラッシュ」。
自身と標的の間に出現した5枚のアンデッドを模したスクリーンにキングラウザーから衝撃波を放つ、もしくはブレイド キングフォーム自身が走って潜り抜けて、攻撃力を上乗せした一撃を放つ「ロイヤスストレートフラッシュ」。
さらに4人の仮面ライダーが揃うことで、ギルドラウズカードのサンダーディアー(スペード6)とエボリューションコーカサス(スペードK)、ハートスートのトルネードホーク(ハート6)、ダイヤス―トのファイアフライ(ダイヤ6)、クラブスートのブリザードポーラー(クラブ6)を使用し、自身と標的の間に出現したアンデッドを模したスクリーンをくぐり抜けることで、キングラウザーに雷、竜巻、炎、冷気の属性が付与。強烈無比な斬撃を叩き込む「フォーカード」を発動させた。
上城睦月が剣崎一真=ブレイド キングフォームから借り受けてスパイダーアンデッドを撃破したり、ブレイド キングフォームが手放してしまい、地面に落ちていたキングラウザーを橘朔也が拾い上げ、ダークローチを撃破したこともある。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킹 폼이 조종하는 라우즈 카드 각성 기능을 갖춘 대검형 무기.
가면라이더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킹 폼으로 폼 체인지 하는 것과 동시에 수중에 실체화한다.
블레이드가 사용하는 블레이 라우저와 비교하면 날카로움은 3배로 되어 있으며, 라우즈 카드를 라우즈(리드)할 때 소비되는 초기 AP(어택 포인트)도 블레이 라우저가 5000인 비해 9600으로 상당히 높다.
다른 무기에는 없는 '오토 라우즈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어 킹 폼이 가진 길드 라우즈 카드만이 아니라 카리스갸렌 같은 다른 가면라이더의 것도 포함한 라우즈 카드를 한 번에 5장 자동 장전해 라우즈(리드)하고 포커의 역에 따른 필살기를 발동한다.
덧붙여 극중에서 보인 것은, 블레이 라우저를 출현시켜 언데드의 능력을 실은 이도류에 의한 강렬한 참격을 가하는 「스트레이트 플래시」.
자신과 표적 사이에 출현한 5장의 언데드를 본뜬 스크린에 킹 라우저에서 충격파를 뿜는 혹은 블레이드 킹 폼 자신이 달려 빠져나가, 공격력을 추가한 일격을 날리는 「로얄 스트레이트 플래시」.
또한 4명의 가면라이더가 갖추어지면서 길드 라우즈 카드의 선더 디어(스페이드 6)와 에볼루션 코카서스(스페이드 K), 하트수트의 토네이도 호크(하트 6), 다이아 계열의 파이어플라이(다이아 6), 클럽수트의 블리자드 폴라(클로버 6)를 사용하여 자신과 표적 사이에 출현한 언데드를 본뜬 스크린을 통과하면 킹 라우저에게 번개, 토네이도, 불꽃, 냉기의 속성이 부여. 강렬한 참격을 퍼붓는 포 카드를 발동시켰다.
카미죠 무츠키켄자키 카즈마=블레이드 킹 폼에서 빌려서 스파이더 언데드를 격파하거나 블레이드 킹 폼이 놓아버려 땅에 떨어져 있던 킹 라우저를 타치바나 사쿠야가 주워서 다크로치를 격파한 적도 있다.

2.1. 각 부위 설명

파일:킹 라우저 부위 가면라이더 도감.png
  • 01. 앱솔루트 실드 : 내부에 있는 「배리어 시스템」으로 생성된 에너지 배리어 필드를 방출, 외부 충격에서 킹 라우저를 보호한다. 적의 공격을 막는 방패로도 이용할 수 있다.
  • 02. 라우즈 카드 홀더 : 라우즈한 라우즈 카드를 수납해두는 카드 홀더.
  • 03. 포스 라우즈 사이트 : 읽어들인 라우즈 카드의 능력을 발동시킬 때 붉게 발광한다.
  • 04. 셔플 컨버터 : 라우즈 카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능력이나 속성 에너지를 칼끝으로 보내는 장치가 내장돼 있다.
  • 05. 디아만테 엣지 MAX : 적을 베어가르는 황금의 칼날. 고주파 진동과 고열 방사로 그 예리함은 블레이 라우저의 3배에  이른다.
  • 06. 오토 라우즈 시스템 : 블레이드 킹 폼이 출현시킨 길드 라우즈 카드를 보내면 1장씩 자동으로 라우즈한다. 다른 가면라이더가 가진 라우즈 카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최대 5장까지 연속으로 라우즈할 수 있다. 라우즈 한계를 표시하는 AP 초기치는 9600이지만 그것을 보여주는 카운터는 없다.
  • 07. 홀딩 그립 : 내부의 마그넷 유닛에서 자력을 발생시켜 킹 라우저를 블레이드 킹 폼의 손에 고정시킨다.
  • 08. 힐트 엔드 그립 : 그립 엔드는 타격 무기로 사용할 수 있으며 두께 1m의 강철판을 한번에 분쇄한다.

3. 중성총 킹 라우저

파일:로고 갸렌.png
가면라이더 갸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lightgray><colcolor=#31B675> 장착자 <colbgcolor=#fff,#1f2023> 타치바나 사쿠야
신체 부위
벨트 갸렌 버클
무장 라우즈 카드 · 갸렌 라우저 · 라우즈 업소버 · 중성총 킹 라우저
비클 레드 롬버스
}}}}}}}}} ||
중성총 킹 라우저
重醒銃 キングラウザー / Heavy Rousing Gun King Rouzer
가면라이더 갸렌의 킹 라우저. 기관총형. 중성검 형태로 소환하여 블레이 라우저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블레이드 킹 폼과 달리 기존의 갸렌 라우저가 대형 런처 형태로 강화 변형되었다. 가면라이더 아웃사이더즈에서 특촬 소품화된 모습은 SIC와는 다르게 소총에 가까운 크기다.[1]

블레이드의 킹라우저처럼 자동으로 카드를 읽어들이는 고속 라우즈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SIC 히어로 사가에선 킹 라우저의 총구 옆에 붙어있는 칼날의 모양이 기라파 언데드 본인의 전용무기와 꼭 닮은 형태로 나왔으며, 라우즈 카드를 수납하는 오픈 트레이가 유지되어 있는 게 특징. 아웃사이더즈에선 중성검처럼 카드를 수납하는 형태로 등장한다.

4. 중성장 킹 라우저

중성장 킹 라우저
重醒杖 キングラウザー / Heavy Rousing Staff King Rouzer
가면라이더 렌겔의 킹 라우저. 석장형. 세잎클로버도 네잎클로버로 변하고, 슬래시 리더에도 칼날이 추가되었다.


[1] 다만 사슴벌레 턱 같은 파츠와 자잘한 문양을 제외하면 기본적인 형태는 유사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