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15:01:48

윤병구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윤병구
尹炳求
파일:external/rokps.or.kr/186.jpg
<colbgcolor=#0087be><colcolor=#fff> 취봉(翠峰)
본관 파평 윤씨
출생 1911년 9월 5일[1]
충청남도 대흥군 이남면 시목리
(현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시목리 639-1번지)[2]
사망 1985년 6월 20일 (향년 73세)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순천향의과대학 부속 서울순천향병원
학력 광시공립보통학교 (졸업)
경성공학원 (광산과 / 중퇴)
상훈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

1. 개요2. 생애3. 가족4. 선거 이력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본관은 파평(坡平), 호는 취봉(翠峰).

2. 생애

1911년 9월 14일 충청남도 대흥군 이남면 시목리(현 예산군 광시면 시목1리 639-1번지)에서 아버지 윤정식(尹貞植)과 어머니 한산 이씨 사이에서 2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광시공립보통학교[3]를 졸업한 뒤 상경하여 경성공학원[4] 광산과에 입학했으나 이후 중퇴하였다. 이후 일제강점기 말기부터 광업에 종사하였다.

8.15 광복 후 1946년 우익 단체인 조선민족청년단 예산군 단장을 지내면서 정계에 입문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충청남도 예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유정호 후보를 2,277표(4.43%p) 차이로 꺾고 당선되었다. 제헌 국회에서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48년 8월 5일 제1회 40차 국회 본회의 당시 감표위원으로 뽑혔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국민당 후보로 충청남도 예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국민회 박철규 후보에 605표(1.1%p) 차이로 밀려 낙선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충청남도 예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성원경 후보에 28.69%p 차이로 밀려 낙선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충청남도 예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민주당 성원경 후보를 11.09%p 차이로 꺾고 당선되었다. 제4대 국회에서 농림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예산군 응봉면예당저수지를 축조하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예산읍 산성리 무한천 위에 예산대교를 건설하였고, 예산읍에 상수도 시설을 설치하는 등의 공적을 세웠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충청남도 예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구파 출신인 무소속 박종화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사퇴하였다. 1961년 3.15 부정선거 가담을 이유로 반민주행위자공민권제한법에 의해 공민권이 제한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충청남도 예산군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국민의당 한건수 후보에 18.56%p 차이로 밀려 낙선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공천에서 박병선에 밀렸다. 1969년 12월 17일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훈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공천에서 윤규상에 밀렸다.

이후 말년에는 목장을 경영하는 등 낙농업에 종사하였다.

1985년 6월 19일 오전 8시 40분경,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시목리 시목교 앞길에서 오토바이를 타고 가던 중, 마주 오던 다른 오토바이에 받히는 교통사고당했다. 이에 곧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순천향의과대학 부속 서울순천향병원으로 옮겨져 급히 뇌수술을 받았으나 중태에 빠졌고, 결국 이튿날인 6월 20일 오전 9시에 사망했다.

3. 가족

아내 의성 김씨와의 사이에서 장남 윤명길, 차남 윤동길 등 두 아들과 세 딸을 두었다.

4. 선거 이력

연도 선거종류 선거구 소속정당 득표수(득표율) 당선여부 비고
1948 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남 예산[5]

[[무소속(정치)|
무소속
]]
14,270표 (27.74%) 당선 (1위) 초선
1950 제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국민당(1949년)|
대한국민당
]]
10,200표 (18.55%) 낙선 (2위)
1954 제3대 국회의원 선거

[[무소속(정치)|
무소속
]]
8,809표 (16.02%)
1958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예산[6]

[[자유당(1951년)|
파일:자유당_투명.png
]]
34,225표 (55.54%) 당선 (1위) 재선
1960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무소속(정치)|
무소속
]]
후보 사퇴
1963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예산[7]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10,417표 (19.46%) 낙선 (2위)

5. 둘러보기

파일:충청남도 휘장(~1998)_White.png 충청남도 제헌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대전 대덕 연기 공주 갑 공주 을
성낙서 송진백 진헌식 김명동 신방현
논산 갑
서천
유진홍 최운교 남궁현 김철수 이훈구
보령 청양 홍성 예산 서산 갑
임석규 이종근 손재학 윤병구 이종린
서산 을 당진 아산 천안
김동준 김용재 공석 이상돈
* 천안 이병국 사망 (1949.4.8.)
* 아산 서용길 자격상실
* 천안 김용화 의원직 상실
}}}
}}}}}}

파일:충청남도 휘장(~1998)_White.png 충청남도 제4대 민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대전 갑 대전 을 대덕 연기 공주 갑
정낙훈 진형하 박병배 유지원 박충식
공주 을
부여 을
김학준 김공평 윤담 공석
전임자: 한광석
공석
전임자: 임철호
서천 보령 청양 홍성 예산
우희창 공석
전임자: 이원장
김창동 유승준 윤병구
서산 갑 서산 을 당진 갑 당진 을 아산
전영석 유순식 인태식 공석
전임자: 원용석
이민우
천안 갑 천안 을
공석
전임자: 한희석
김종철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87bd><tablebgcolor=#0087bd>
파일:대한국민당 글자.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87bd><tablebgcolor=#0087bd>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윤치영 이인 윤재욱 조봉암 서성달
김덕열 이재형 이유선 김웅권 김경배
류래완 송창식 김영기 김웅진 오택관
이종순 박기운 홍순옥 박우경 연병호
이의상 류홍렬 조종승 송진백 진헌식
김명동 남궁현 이종근 윤병구 김용재
윤석구 배헌 김영동 백형남 류준상
강선명 황병규 조옥현 오석주 차경모
송봉해 이성우 김장열 박준 정우일
정도영 장병만 육홍균 허영호 최범술
강기문 최창섭 양병직 }}}
}}}}}}


[1] 디지털예산문화대전. 대한민국헌정회 의원프로필에는 9월 14일생으로 되어 있다.[2] 디지털예산문화대전[3] 광시초등학교로 개칭되었다가 1999년 웅산초등학교에 통폐합됨.[4] 1926년 미우라 요시아키(三浦義明)가 중견 토목건축기술자를 양성하고자 세운 사립학교이다. 처음엔 토목과 단일 전공으로 설립되었고, 1933년 건축과와 광산과가 증설되었다. 기계과가 증설되면서 소화공과학교(昭和工科學校)로 개칭되었다. 1946년 5월 재단법인 한양학원에 인수된 뒤, 건국기술학교 중등부와 병합되면서 한양공업학교로 개편되었다. 한양공업학교는 지금의 한양대학교이다.#[5] 제14선거구[6] 제15선거구[7] 제8지역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