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1:26:41

언리얼 토너먼트 2004

언리얼 토너먼트 2004
UNREAL TOURNAMENT 2004
파일:b07237be800d559b7ab9eb2398d4c7d5.png
<colbgcolor=#251f1f><colcolor=white> 개발 (주) 에픽 게임즈
개발 (보조) 디지털 익스트림즈 / Psyonix[1]
/ 스트림라인 스튜디오 / 싸이언 스튜디오[2]
유통 아타리 / 미드웨이 / 에픽 게임즈 / 손오공[3]
플랫폼 Windows | Linux | Mac OS X
ESD Steam | GOG.com
장르 FPS
출시 2004년 3월 16일
엔진 언리얼 엔진 2.5 v3120 ~ v3369
한국어 지원 자막 한글화 / 튜토리얼 음성 한국어 녹음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15세이용가.svg 15세 이용가(한글판, 틴 버전)
파일:게관위_청소년이용불가.svg 청소년 이용불가(영문판)
해외 등급 파일:ESRB Mature.svg
1. 개요2. 개발3. 패키지 구성4. 평가5. Editor's Choice Edition6. 2006년 재출시판7. 사용자 제작 콘텐츠8. 기타

[clearfix]

1. 개요

에픽 게임즈FPS 게임 언리얼 토너먼트 2003의 완전판에 해당하는 게임으로, 언리얼 토너먼트 2003에 모든 콘텐츠를 포함하여 새로운 게임모드와 맵, 캐릭터 등을 추가하고 전반적으로 다듬은 게임이며 2004년 3월 16일에 출시되었다.

2. 개발

파일:attachment/uploadfile/ut2004.jpg

언리얼 토너먼트 2004는 언리얼 토너먼트 2003이 출시된 2002년 10월 1일 이후 1개월이 지난 2002년 11월부터 개발에 돌입했으며 언리얼 토너먼트 2003을 기반으로 게임플레이를 가다듬고, 새로운 게임 모드를 추가하고, 다수의 맵과 캐릭터를 추가하는 것으로 기획되었다.

대부분의 개발은 에픽게임즈가 담당했고 다른 개발사들이 약간의 작업을 도왔다.
  • 에픽 게임즈
    • 언리얼 엔진 업그레이드 : 언리얼 토너먼트 2003의 최종 패치인 빌드 2225에서 약 1천회의 빌드를 거쳐 빌드 3186으로 정식 버전 출시[4]
    • 새로운 UI 시스템 개발 및 언리얼 토너먼트 2004 메인메뉴, 새로운 뮤직 플레이어를 비롯한 게임 내 모든 UI
    • VoIP 시스템 개발 및 BOT에게 음성으로 명령을 내리는 기능
    • BOT AI 개선 : 팀 플레이 시 협력, 어썰트 및 온슬롯 모드 등에 걸맞는 행동 등
    • 데모 녹화 기능 개선
    • 커뮤니티 기능 : 뉴스, 패치, 모드 소식 및 다운로드 지원
    • 싱글플레이어 모드 : 약간의 RPG성이 포함된 매치 시스템
    • 어썰트 게임타입 개발
    • 무기 : 스나이퍼 라이플 추가
    • [5] : 총 30개 - 어썰트 6개, 데스매치 16개, CTF 5개, 더블 도미네이션 2개, 바밍 런 1개
    • 캐릭터 : 스카 종족을 포함한 총 31개의 캐릭터 모델[6] 및 애니메이션
    • 음악 : Kevin Riepl이 작곡한 새로운 24개의 곡[7] 및 SDG(Sound Design Group)의 Will Nevins이 작곡한 7곡[8] 추가
  • 디지털 익스트림즈
    • 인 게임 HUD
    • 무기 : 3개 - 어썰트 라이플, 쇼크 라이플, 링크 건의 새로운 디자인[9]
    • 맵 : 총 14개 - 데스매치 3개, CTF 6개, 더블 도미네이션 3개, 바밍 런 2개
    • 캐릭터 : 새로운 캐릭터 2개
  • 싸이오닉스
    • 온슬롯 게임타입 개발
    • 탈 것 : 6개 - 랩터,
    • 무기 : 트랜스로케이터의 새로운 디자인
    • 대차량 무기 : 4개 - 유탄 발사기, 거미 지뢰 발사기, 대차량 로켓 발사기, 타켓 페인터
    • 고정형 무기 : 1개 - 에너지 터렛 추가
    • 맵 : 온슬롯 7개
  • 스트림라인 스튜디오
    • 인 게임으로 구동되는 싱글플레이어 모드 인트로
    • 맵 : 온슬롯 1개
  • 싸이언 스튜디오
    • 맵 : CTF 맵 1개

3. 패키지 구성

2004년 3월 16일 출시했다.
패키지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나왔다.
  • 일반판 CD 버전 : CD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CD 1 (Install Disc) : 설치 실행 파일 및 시스템, 캐릭터 매쉬 및 애니메이션 데이터 등이 압축되어 담겨 있다.
    • CD 2 : 사운드(영어 아나운서 음성 포함) 및 텍스처 데이터가 압축되어 담겨 있다.
    • CD 3 : 텍스처 데이터가 압축되어 담겨 있다.
    • CD 4 : 텍스처, 스태틱 메쉬, 음악 데이터가 압축되어 담겨 있다.
    • CD 5 : 음악 및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아나운서 음성 및 튜토리얼 음성 파일 데이터가 압축되어 담겨 있다.
    • CD 6 (Play Disc) : 독일어 아나운서 음성 파일 나머지 및 독일어, 중국어, 한국어 튜토리얼 음성 파일 데이터가 압축되어 담겨 있으며, Text-to-Speech 모듈 설치 파일이 담겨 있다. 게임 실행 시 복사 방지의 일환으로 CD 6를 넣고 실행해야 했으나, 공식 패치 1 이후 CD 체크 없이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DirectX 9 설치 폴더[10]와 Extra 폴더가 있는데, Extra 폴더 안[11]에는 다음과 같이 각각의 폴더로 구분되어 해당 파일들이 담겨 있다.
      • KAT : 카르마 물리 엔진 1.2 툴(Karma Authoring Tool) 설치 파일[12]
      • UPaint : 캐릭터 텍스처 편집 툴(UPaint) 설치 파일[13]
      • MayaPLE : 마야 5.0 퍼스널 러닝 에디션 설치 파일, 마야 5.0 퍼스널 러닝 에디션용 언리얼 토너먼트 2004 플러그-인[14]
      • AliasSketchBookPro : 스케치북 프로 1.0.3 설치 파일[15]
      • SkinArt : UPaint에서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 파일(캐릭터 정보 84개, 메쉬 54개, Head 및 Body 텍스처 153개)[16]이 담겨 있다.
    • 언리얼 토너먼트 2004 메뉴얼이 들어 있다.

한국에는 이 일반판 CD버전만 현지화하여 해외보다 1주일 늦은 2004년 3월 23일에 출시되었다. 패키지 박스의 내용이 한글로 변경됐고 메뉴얼도 한글화했다.
  • 일반판 DVD 버전 : DVD 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DVD (Play Disc) : CD 버전과 내용은 완전히 동일하다. DVD를 열어보면 CD1, CD2, CD3, CD4, CD5, CD6라는 폴더명이 구분되어 있고 각 폴더에는 CD 1부터 CD 6까지 CD 버전에 담긴 파일들과 완전히 동일하게 담겨 있다. DVD 1장에 모든 데이터가 담겨 있으므로, 게임 설치 시 CD를 바꿀 필요 없이 한번에 쭉 설치된다. 역시 복사방지의 일환으로 게임 실행 시 DVD를 넣고 실행해야 했으나, 공식 패치 1 이후 DVD 체크 없이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
    • 언리얼 토너먼트 2004 메뉴얼이 들어 있다.

일반판 DVD 버전은 한국에 정식 출시되지 않았다.
  • 스페셜 에디션 2-DVD 버전 : DVD 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DVD 1 (Play Disc) : 일반판 DVD와 동일하다.
    • DVD 2 (Bonus Disc) : 수시간 분량의 3D Buzz의 언리얼 에디터 동영상 강의(VTM)와 언리얼 토너먼트 2004 개발자 비하인드 및 트레일러 동영상이 들어 있다.
    • 언리얼 토너먼트 2004 메뉴얼이 들어 있다.
    • 패키지 박스 케이스는 철제로 구성되어 있다.
    • 로지텍 마이크로폰 헤드셋이 동봉되어 있다.
    • 대형 브로마이드 여러장이 동봉되어 있다.
    • 대형 마우스 패드, 스티커 등의 잡다한 악세사리 등이 동봉되어 있다.

한국에서는 스페셜 에디션은 현지화 하지 않고 해외판을 그대로 제공했으며, 예약구매자들에게는 한국 현지화된 일반판 CD 버전을 패키지 박스를 제외하고 내용물(게임 CD 6장, CD 케이스 포함, 한글 메뉴얼)만 추가로 제공했다. 원래 정식 패키지에는 CD 케이스에 CD키 스티커가 붙어 있으나 CD키도 제거된 채로 제공했기 때문에 무료로 제공된 CD 버전을 설치하려면 스페셜 에디션을 개봉하여 DVD 케이스 안에 있는 CD키를 확인해야 했다.

2004년 4월 14일 일반판 2-DVD 버전이 출시되었다.
  • 일반판 2-DVD 버전 : DVD 2장은 스페셜 에디션과 동일하며, 철제 케이스가 아닌 일반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고, 헤드셋, 브로마이드, 악세사리 등이 없는 일반판이다.

4.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33,#555><#333>
파일:메타크리틱 MP.svg
PC
메타크리틱 MUST-PLAY
[ 펼치기 · 접기 ]
순위. 점수 - 제목 ⠀·⠀ 메타크리틱 현황 2024.05.16. 기준
1. 96 - 하프라이프 2
  1. 96 - Grand Theft Auto V
  2. 96 - 발더스 게이트 3
  3. 96 - 오렌지 박스
  4. 96 - 하프라이프
  5. 96 - 바이오쇼크
  6. 95 - 발더스 게이트 2 앰의 그림자
  7. 95 - 포탈 2
  8. 94 -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9. 94 - 매스 이펙트 2
  10. 94 - Grand Theft Auto: Vice City
  11. 94 - 바이오쇼크 인피니트
  12. 94 -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
  13. 94 - 엘든 링
  14. 94 - 그림 판당고
  15. 94 - 문명 4
  16. 93 -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
  17. 93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18. 93 - 하프라이프: 알릭스
  19. 93 - 디비니티: 오리지널 신 2
  20. 93 - 언리얼 토너먼트 2004
  21. 93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22. 93 - 갓 오브 워
  23. 93 - 마인크래프트
  24. 93 - 레드 데드 리뎀션 2
  25. 93 - Grand Theft Auto III
  26. 93 - 홈월드
  27. 93 - Hades
  28. 93 - 스타워즈: 구 공화국의 기사단
  29. 93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30. 93 - Grand Theft Auto: San Andreas
  31. 92 -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32. 92 - 워크래프트 3: 레인 오브 카오스
  33. 92 - 심즈
  34. 92 - 스트리트 파이터 6
  35. 92 - 팀 포트리스 2
  36. 92 - 시스템 쇼크 2
  37. 92 - 스플린터 셀: 혼돈 이론
  38. 92 - 로마: 토탈 워
  39. 92 - 언더테일
  40. 92 - 시프: 더 다크 프로젝트
  41. 92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42. 92 - 언리얼 토너먼트
  43. 92 - 시드 마이어의 알파 센타우리
  44. 92 - Galactic Civilizations II
  45. 92 - 파이널 판타지 14: 효월의 종언
  46. 92 -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 - 블러드 앤 와인
  47. 91 - Against the Storm
  48. 91 - 메달 오브 아너: 얼라이드 어썰트
  49. 91 - 디스아너드
  50. 91 - 마이크로소프트 플라이트 시뮬레이터(2020)
  51. 91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리치 왕의 분노
1.#54 91 - 발더스 게이트
  1. 91 - 오버워치
  2. 91 - 철권 8
  3. 91 - 프리스페이스 2
  4. 91 - 스플린터 셀
  5. 91 - 포르자 호라이즌 5
  6. 91 - 크라이시스
  7. 91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불타는 성전
  8. 91 - 더 롱기스트 저니
  9. 91 - 토니 호크의 프로 스케이터 2
  10. 91 - 타이거 우즈 PGA 투어 2005
  11. 91 - 배트맨: 아캄 어사일럼
  12. 91 - Galactic Civilizations II: Dark Avatar
  13. 91 - The Operative: 노 원 리브스 포에버
  14. 91 - 크루세이더 킹즈 3
  15. 91 - 배틀필드 2
  16. 91 - 스트리트 파이터 4
  17. 91 - 폴아웃 3
  18. 91 - 배트맨: 아캄 시티
  19. 91 - 플레인스케이프 토먼트
  20. 91 - 네버윈터 나이츠
  21. 91 - Animal Well
  22. 91 - 바이오하자드 4
  23. 91 - 노 원 리브스 포에버 2: A Spy in H.A.R.M.'s Way
  24. 91 - 드래곤 에이지: 오리진
  25. 91 - Disco Elysium
  26. 91 - 다크 소울 2
  27. 91 - Spelunky 2
  28. 91 - 콜 오브 듀티
  29. 90 - 심즈 2
  30. 90 - 파이널 판타지 14: 칠흑의 반역자
  31. 90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대격변
  32. 90 - 월드 오브 구
  33. 90 - Balatro
  34. 90 - 블랙 앤 화이트
  35. 90 - 포탈
  36. 90 - NHL 2001
  37. 90 - 토니 호크의 프로 스케이터 3
  38. 90 - 데이어스 엑스
  39. 90 - 하프라이프 2: 에피소드 2
  40. 90 - 슬레이 더 프린세스
  41. 90 - 더 크로니클즈 오브 리딕: 이스케이프 프롬 부쳐 베이
  42. 90 - 문명 3
  43. 90 - Hi-Fi Rush
  44. 90 - 사일런트 헌터 3
  45. 90 - 베요네타
  46. 90 - 데이브 더 다이버
  47. 90 - 문명 5
  48. 90 - The Stanley Parable: Ultra Deluxe
  49. 90 - 데이어스 엑스: 휴먼 레볼루션
  50. 90 - 도타 2
  51. 90 - 길드워 2
  52. 90 - Freedom Force
  53. 90 - Into the Breach
  54. 90 - GTR 2
  55. 90 - Grand Theft Auto IV
  56. 90 - 토탈 워: 쇼군2
  57. 90 - 토탈 워: 엠파이어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rowcolor=#ffffff,#dddddd> 플랫폼 메타스코어 유저 평점
파일:Windows 아이콘.svg | 파일:Mac OS 로고.svg | 파일:Linux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unreal-tournament-2004/critic-reviews/?platform|
93
]]


[[https://www.metacritic.com/game/unreal-tournament-2004/user-reviews/?platform|
8.7
]]

언리얼 토너먼트 2003의 단점을 다듬고 보완하며 새로운 콘텐츠를 추가해 기본 콘텐츠가 매우 많은 편이다. 특히 새롭게 추가된 온슬롯 모드 하나만 별도의 게임으로 판매해도 될 정도라며 큰 호평을 받았다.

어썰트와 온슬롯은 지상 차량과 공중 탈 것들이 다량 추가되었는데 각 탈 것들의 밸런스가 매우 좋다. 차량이 등장하는 모드에선 대차량 무기도 추가되었으며, 야외 스테이지에서의 이온 캐논, 폭격 지원 등도 추가되어 특히 온슬롯 모드에서의 전략성이 크게 부각되었다.

온슬롯 모드는 큰 인기를 구가했으며, 언리얼 토너먼트 2004는 초대 언리얼 토너먼트에 비견될 정도로 호평을 받았다. 비록 하이퍼 FPS가 몰락하던 시기였던 관계로 상업적으로는 전작에 못 미쳤지만, 오랜기간 꽤 높은 판매고를 올렸다. 워낙 게임 분량이 방대하고 게임성도 훌륭해 언리얼 토너먼트 클래식과 함께 역대 최고 FPS 게임을 논할 때 심심찮게 회자되고 있다.

출시한지 한 달만에 100만장이 넘는 판매고를 올리면서 상업적으로 성공했다.

5. Editor's Choice Edition

2004년 9월 23일 출시된 개정판 패키지이며, 한국에는 정식 출시되지 않았다.

첫 출시판과의 차이점
  • 출시 당시 최신 버전인 3320[17] 버전이 적용되어 있다.
  • 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 추가 콘텐츠[18]가 포함되어 있다.
    • 6개의 새로운 캐릭터 : Mekkor, Skrilax, Barktooth, Karag, Kragoth, Thannis
    • 3개의 새로운 탈것 : SPMA, Paladin, Cicada
    • 4개의 새로운 온슬롯 맵 : ONS-Adara, ONS-IslandHop, ONS-Tricky, ONS-Urban
  • 기존에 무료로 공개되어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Windows XP 보너스 맵인 온슬롯 맵 2개(ONS-Aridoom, ONS-Ascendancy)가 포함되어 있다.
  • 처음 게임 시작 시 나오는 엔비디아 3D 로고가 금색 빛깔로 변경되었다. 텍스처 폴더에 있는 NvidiaLogo_T.utx 텍스처 패키지 파일 내부에 금빛 머티리얼이 추가되었기 때문이다.
  • 에픽 게임즈와 엔비디아가 주최한 Make Something Unreal Contest에서 수상한 작품들 중 우수한 우저 제작 MOD/TC[19] 11개가 포함되었다. 게임 설치 후 CD/DVD에 있는 MOD Install를 실행하여 11개의 MOD 중 각각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MOD 목록은 다음과 같으며, 전부 인터넷에 공개되어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 Air Buccaneers
    • Chaos UT2: Evolution
    • Jailbreak
    • Rocketeer
    • Alien Swarm
    • Domain 2049
    • Deathball
    • Frag.Ops
    • Red Orchestra
    • UnWheel
    • Clone Bandits

첫 출시판처럼 CD버전, DVD 버전, 2-DVD 버전으로 출시되었으며 패키지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 CD 버전 : CD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CD 1 (Install Disc) : 설치 실행 파일 및 시스템, 캐릭터 매쉬 및 애니메이션 데이터 등이 압축되어 담겨 있다.
    • CD 2 (Disc 2) : 사운드(영어 아나운서 음성 포함) 및 텍스처 데이터가 압축되어 담겨 있다.
    • CD 3 (Disc 3) : 텍스처 데이터가 압축되어 담겨 있다.
    • CD 4 (Disc 4) : 텍스처, 스태틱 메쉬 데이터가 압축되어 담겨 있다. 보너스 콘텐츠 때문에 첫 출시판보다 데이터가 더 많다.
    • CD 5 (Disc 5) : 스태틱 메쉬, 음악, 아나운서 음성(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및 튜토리얼 음성(프랑스어) 파일 데이터가 압축되어 담겨 있다. 보너스 콘텐츠 때문에 첫 출시판보다 데이터가 더 많다.
    • CD 6 (Disc 6) : 나머지 아나운서 및 튜토리얼 음성(중국어, 한국어 포함) 파일 데이터가 압축되어 담겨 있으며, TTS 프로그램 설치 파일이 담겨 있다.
    • CD 7 (Play Disc) : 첫 출시판의 CD 6에 담겨 있던 Extra 폴더가 CD 7에 담겨 있다.
    • CD 8 (MOD Install Disc 1) : 유저가 만든 MOD 11개를 설치하기 위한 MOD Install와 데이터가 담긴 Data1.cab 파일이 담겨 있다.
    • CD 9 (MOD Install Disc 2) : 유저가 만든 MOD 11개를 설치하기 위한 Data2.cab, Data11.cab[20] 파일이 담겨 있다.
    • CD 10 (MOD Install Disc 3) : 유저가 만든 MOD 11개를 설치하기 위한 Data3.cab, Data21.cab[21] 파일이 담겨 있다.
    • 언리얼 토너먼트 2004 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 메뉴얼이 들어 있다.
  • 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 DVD 버전 : DVD 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DVD (Play Disc) : CD 버전과 내용은 완전히 동일하다. DVD를 열어보면 CD1, CD2, CD3, CD4, CD5, CD6, CD7까지 폴더명이 구분되어 있고 각 폴더에는 CD 1부터 CD 7까지 CD 버전에 담긴 파일들과 완전히 동일하게 담겨 있다. MOD Install Disc 1부터 3까지의 내용은 DVD 메인 폴더에 담겨 있는데 CD 버전은 용량 문제로 Data1.cab, Data2.cab 및 Data11.cab, Data3.cab 및 Data21.cab로 각각 CD 3장에 나뉘어 있으나, DVD 버전은 Data1.cab 파일 하나에 1.6Gb 용량으로 모든 내용이 전부 담겨 있는 차이점이 있다. 3개 분할압축(CD 버전), 1개 압축(DVD 버전)이냐의 차이일뿐 설치하면 모두 동일하므로 큰 의미는 없다.
    • 언리얼 토너먼트 2004 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 메뉴얼이 들어 있다.
  • 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 2-DVD 버전 : DVD 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DVD 1 (Play Disc) : DVD 1장 버전의 DVD와 동일하다.
    • DVD 2 (Bonus Disc) : 첫 출시판의 일반판 2-DVD 버전 및 스페셜 에디션의 보너스 DVD와 동일하다.
    • 언리얼 토너먼트 2004 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 메뉴얼이 들어 있다.

6. 2006년 재출시판

2004년을 마지막으로 아타리와 언리얼 시리즈 유통 계약을 종료하고, 미드웨이와 새롭게 언리얼 시리즈 유통 계약을 체결하고 2005년에 언리얼 챔피언십 2를 출시했고 2007년에 언리얼 토너먼트 3를 출시하기로 예정된 시점에서, 2004년 3월에 출시되어 2년이 넘은 2006년 중순에도 언리얼 토너먼트 2004의 신규 판매 수요가 여전히 많이 발생하고 있었기 때문에 2006년 8월에 언리얼 토너먼트 2004를 미드웨이를 통해 재출시했다.

제목에는 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이라는 문구가 붙어 있지 않고 Unreal Tournament 2004로만 표기되어 있으나, 박스 표지에 included Editor's Choice라는 문구를 별도로 우측 상단에 새겨 놓았다. 패키지 박스 안에는 설명서와 DVD 케이스에 DVD 1장이 들어있다.

유통사가 아타리에서 미드웨이로 변경되었기 때문에 게임 시작 시 출력되는 스플래시 이미지 및 게임 메뉴나 크레딧 등에 표기된 아타리 로고와 문구 등이 모두 제거되어 있다. 그리고 에픽 게임즈의 로고가 2006년 당시 최신 로고 스타일로 변경되어 있다.

그리고 원래 게임 설치 시 언리얼 엔진 인스톨러를 활용했으나, 미드웨이 유통 버전은 설치 파일을 실행하면 일반 윈도우 인스톨쉴드[22]를 사용한다.

이 재출시판은 DVD 1장으로만 출시했다.

변경점
  • 최종 패치인 3369 버전이 적용되어 있다.
  • 메가팩(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의 모든 추가 콘텐츠 + 9개 새로운 맵)이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다.
  • Windows XP 보너스 맵 2개(ONS-Aridoom, ONS-Ascendancy)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인터넷에서 무료 다운로드 받아 적용할 수 있다.
  • 게임 실행 시 스플래시 화면에 아타리 로고가 삭제되었고, 에픽 게임즈 로고가 2006년 당시 최신 로고로 변경되었다.[23]
  • 처음 게임 시작 시 나오는 엔비디아 3D 로고는 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의 금색 빛깔이 아닌, 첫 출시 버전과 같은 흰색이다. 텍스처 폴더에 있는 NvidiaLogo_T.utx 텍스처 패키지 파일 자체가 첫 출시 버전의 파일이다.
  • 3D 모델로 나오는 엔비디아 로고 후에 나오는 에픽 게임즈, 디지털 익스트림즈, 아타리 로고가 화면을 가득 채우는 이미지[24] 대신 2006년 당시 최신 에픽 게임즈 로고와 디지털 익스트림즈 로고, 그리고 기타 저작권 문구가 나오는 이미지[25]로 대체되었다.
  • 첫 출시 버전에서의 CD 6, 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에서의 CD 7에 들어 있던 Extra 폴더가 제외되어 있다. 따라서 카르마 물리 엔진 툴(KAT), 캐릭터 텍스처 툴(UPaint), 마야 5.0 퍼스널 러닝 에디션 및 플러그-인, 스케치북 프로, UPaint용 캐릭터 파일(캐릭터 정보, 메쉬, 텍스처)이 담겨 있지 않다.[26]
  • 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 CD/DVD에 담겨 있던 유저 제작 MOD 11개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27]

정리하자면 최종 패치 3369 버전 적용 및 메가 팩 콘텐츠 포함, 아타리 로고 삭제 및 게임 시작 시 로고 문구 변경, 모딩에 필요한 각종 툴(카르마 물리 엔진 툴(KAT), 캐릭터 텍스처 툴(UPaint) 및 UPaint용 메쉬와 텍스처, 마야 퍼스널 러닝 에디션 및 플러그-인, 스케치북 프로)에 대한 설치 파일들이 제외되어 있다.[28]

이 재출시판은 2008년 3월에는 스팀, 2008년 11월에는 GOG에 출시했다.

2006년 10월 31일 출시된 합본팩인 언리얼 앤솔로지에도 포함되어 출시됐다.

7. 사용자 제작 콘텐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언리얼 토너먼트 시리즈/MOD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기타

  • 출시된지 상당한 시간이 흐른 뒤인 2010년대 초반까지도 꾸준한 판매고를 올린 것으로 확인되었다. 2012년 에픽 게임즈 관련 인원 인터뷰에서 언리얼 토너먼트 2004의 판매량이 1300만장을 넘겼다(UT2004 sold over 13 million copies)고 언급된 적이 있다. 물론 2012년도까지 나온 1300만장이라는 수치가 풀 프라이스로 팔린 것은 당연히 아닐 것이고, 주얼판, 저가판, 스팀, GOG 등에서 크게 할인 행사를 할 때 나온 모든 판매량들을 종합한 수치일 것이다. 특히 에픽 게임즈는 2006년 이후로는 기어스 오브 워 시리즈와 언리얼 엔진의 라이선스로 엄청난 수익을 올리는 상태로 회사의 방향이 크게 전환되었고, 2012년에는 새로운 언리얼 엔진 4의 개발과 홍보 및 또 다시 새롭게 회사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던 시기였으므로 당시에도 출시한지 오래된 게임인 언리얼 토너먼트 2004가 저가로 꾸준히 판매되어 저정도의 판매량을 달성했다는 발표는 굳이 공식적으로 굳이 언급할 필요는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저정도의 판매량이 나왔다고 구체적으로 발표하거나 공식적으로 언급된 것은 아니지만 판매량 자체가 없는 말은 아닌 것으로 보이는데, 언리얼 토너먼트 2004는 상기된 패키지 외에도 주얼판, 저가판, 또는 무슨무슨 에디션, 무슨무슨 팩 등으로 각종 문구가 붙은 박스(패키지 박스 예시 1, 패키지 박스 예시 2) 등 수 많은 패키지로 재출시가 되었기 때문이다. 브라질 등의 남미지역에서는 2006년경부터 흥행하면서 판매량이 급증했다고 하며,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 등의 국가에서는 뒤늦은 2009년에 크게 흥행을 하며 판매량이 많이 나왔다고 한다.
  • 언리얼 토너먼트 2004의 수익 배분 문제로 디지털 익스트림즈와 에픽의 관계가 나빠졌다는 뒷소문이 있지만 확인되지는 않았다.


[1] 2000년도에 샌디에이고에 설립된 회사로, 2019년 5월 2일자로 에픽게임즈의 자회사로 인수되었다[2] 미 육군 모집 홍보용 게임인 America's Army를 제작했던 회사로 언리얼 챔피언십 2의 개발도 담당했으며, 후에 에픽게임즈에 인수합병되었으며 싸이언 스튜디오라는 이름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에픽게임즈 사무실로 모든 인원이 흡수되었다[3] 한국[4] 렌더링 속도 및 최적화, 라이팅 개선, 로딩 속도 향상, 오디오, 네트워크 등 모든 부분에 걸친 향상을 포함한다[5] 스태틱 메시 및 텍스처 포함[6] 스켈레탈 매시 및 스킨[7] Kevin Riepl이 언리얼 토너먼트 2003에서 작곡한 23곡 + 언리얼 토너먼트 2004에서 작곡한 23곡으로 Kevin Riepl의 음악은 총 46곡으로, KR-로 시작하는 ogg 파일이 언리얼 토너먼트 2003보다 23개 추가되었다[8] 온슬롯 맵에서 사용되는 곡으로 SDG-ONS01.ogg부터 SDG-ONS08.ogg까지인데 07이 없어서 총 7곡이며, 이중 06은 게임에서 사용하지 않지만 뮤직 플레이어에서 재생하거나 언리얼 에디터에서 맵의 음악을 바꾸거나 유저맵에서 사용할 수는 있다[9] 언리얼 챔피언십의 디자인을 사용한 것이 아니며, 언리얼 토너먼트 2003의 디자인과도 완전히 다른 새로운 디자인으로 다시 개발했다[10] 언리얼 토너먼트 2003에서는 DirectX 9가 아닌, DirectX 8 설치 폴더가 있었다.[11] 언리얼 토너먼트 2003에는 각 폴더를 설명하는 Readme.txt가 있었으나, 언리얼 토너먼트 2004에서는 Readme.txt 파일이 없다.[12] 언리얼 토너먼트 2003에 들어 있던 것과 완전히 동일하다.[13] 언리얼 토너먼트 2003에 들어 있던 것과 완전히 동일하다.[14] 언리얼 토너먼트 2003 CD 3의 Extra 폴더에 있는 버전은 마야 4.0.1 퍼스널 러닝 에디션의 언리얼 토너먼트 2003 에디션이라서, 플러그-인을 설치 파일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았으나, 언리얼 토너먼트 2004에서는 마야 5.0 버전과 플러그-인 설치 파일이 별도로 존재한다.[15] 언리얼 토너먼트 2003에서는 스페치북 프로가 없었고, 대신 Drivers라는 폴더에 윈도우 9x와 윈도우 2000용 ATi 라데온 드라이버 및 Nvidia 지포스 드라이버가 담겨 있었다.[16] 언리얼 토너먼트 2003에서는 캐릭터 정보 51개, 매쉬 27개, Head 및 Body 텍스처 86개였다. 언리얼 토너먼트 2003의 모든 콘텐츠를 포함해서 언리얼 토너먼트 2004에서 늘어난 캐릭터들이 추가된 것이다.[17] 2004년 9월 13일 공식 패치 4로 공개된 최신 패치는 3323 버전이다. 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의 3320 버전은 9월 2일 기준으로 컴파일되었다.[18] 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 출시일인 2004년 9월 25일에 무료 보너스팩 패치 파일이 공개되어, 기존 첫 출시 버전을 구매한 유저들도 무료로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후 설치하여 동일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19] 토탈 컨버전[20] 용량이 매우 작은데, MOD 설치 CD 2번을 체크하기 위한 용도로 보인다.[21] 용량이 매우 작은데, MOD 설치 CD 3번을 체크하기 위한 용도로 보인다.[22] Data.cab 파일 등으로 구성된 설치 패키지 파일들이 있고, setup.exe로 실행되는 흔히 볼 수 있는 설치 방식[23] 언리얼 II처럼 언리얼 에디터 실행 시 나오는 스플래시 이미지의 에픽 게임즈 로고는 최신 로고로 변경하지 않고 예전 로고를 그대로 두었다.[24] 텍스처 폴더에 NvidiaLogo_T.utx 패키지 내의 Logos에 있다.[25] 텍스처 폴더에 NvidiaLogo_2.utx라는 파일이 추가되었고 그 패키지 내에 하나의 큰 이미지 파일로 존재한다.[26] 이미 언리얼 엔진 3가 시용되는 시점이었으니 더 이상 언리얼 엔진 2의 모딩은 권장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해당 툴들을 패키지에서 제외한 것으로 보인다.[27] 언리얼 토너먼트: 게임 오브 더 이어 에디션과 마찬가지로 에디터스 초이스 에디션 패키지 발매 시 해당 MOD를 제작한 개발자들과 모종의 계약을 했었으나, 나중에는 계약이 만료되어 판매되는 제품에 유저 제작 MOD를 직접적으로 포함할 수 없던 것으로 보인다. 모두 인터넷에서 무료 다운로드하여 설치가 가능하다.[28] 언리얼 에디터, 언리얼 스크립트 디버거, 언리얼 스크립트 컴파일러는 Extra 폴더에 있던 프로그램들처럼 별도로 설치하는 소프트웨어가 아닌, 기본적으로 포함된 구성요소라서 제외되지 않고 게임을 설치하면 System 폴더에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