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18:23:20

부산 버스 1001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5822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기장군버스|
기장
]] [[틀:강서구 다람쥐버스|
강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0 1001 1002 1003 1004[A]
1005[B][C] 1006[A][C] 1008[A] 1009[B] 1009-1[A]
1011[A][C] 1012[B] 2000[C][D]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C] 입석금지
[D] 준공영제 제외 및 환승할인 불가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aaa><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 [[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 [[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기장군버스|
기장
]] [[틀:강서구 다람쥐버스|
강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5 30 51
58-1[a]
58-2 106
141[a]
182
183[a]
508
1000[a]
1001
1002[a]
1003[a]
1004[a]
1008
[a] 주간노선과 심야노선의 경로에 차이가 있는 노선
}}}}}}}}} ||
파일:부산 버스 1001H.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심야버스4.2. 연간 일평균 승차량4.3. 노선
5. 시간표6. 연계 철도역7.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01번
기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청강리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을숙도초등학교)
종점
첫차 04:30 기점
첫차 06:15
막차 22:00 막차 23:45
평일배차 출퇴근 9~10분 / 평시 11분 주말배차 토요일 12분 / 공휴일 14분
운수사명 부일여객 인가대수 30대[1]
노선 청강리공영차고지 - 연화터널 - 용궁사.국립수산과학원 - 동부산관광단지 - 오시리아역 - 송정해수욕장입구 - 송정터널 -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 대동상가 - 좌동재래시장 - 장산역 - 해운대도시철도역 - 센텀시티역.벡스코 - 수영교차로.수영역 - 금련산역 - 광안역 - 대남교차로.남천역 - 경성대학교 - 못골시장 - 문현교차로 - 부산진역 - 부산역 - 부산터널 - 서대시장.동대신역 - 대티터널 - 괴정시장.괴정역 - 사하구청.당리역 - 동아대학교 - 을숙도초등학교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1001번_노선도.png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1001번
기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청강리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을숙도초등학교)
종점
첫차 22:20 기점
첫차 00:05
막차 23:00 막차 00:45
배차간격 20분 (1일 3회)
운수사명 부일여객 인가대수 3대
노선 주간 노선과 동일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급행/심야)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78.8km다.[2]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1985년 240번 일반버스로 개통되었으며 1991년에 좌석노선이 신설되었다. 좌석노선은 냉방차량이 투입되면서 큰 인기몰이를 하면서 꾸준히 증차되지만 입석노선은 승객 감소로 감차되고 1996년에 폐선되었다.
  • 1996년 4월 해운대 신시가지 입주가 시작되었으나 대중교통 불편민원이 끊이질 않자 1996년 말에 우진서비스가 본사를 좌동으로 옮기면서 기존 노선에서 좌동까지 연장되었다.
  • 1999년 우진공항버스가 공동배차로 참가하였으며 2004년 폐업되었으나 후신 업체인 부산공항여객이 재참여하였고 2008년 7월 철수하였다.
  • 2007년 5월 15일 부산시 대중교통 준공영제 시행과 더불어 급행버스 신설로 240번에서 1001번 급행버스로 격상되었다. 이 때부터 해운대로로 직진하지 않고 북좌동을 경유했던 구.109번을 대체하기 위해 양운로좌동순환로를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3]
  • 2012년 5월 30일 해동여객이 1001번에 공동배차 참여하였다.
  • 2016년 4월 9일 해동여객 4대가 전부 철수하면서 총 인가대수도 28대로 감축되었다.
  • 2016년 12월 17일 2대가 증차되었다. 해당 증차분 2대는 40번에서 가지고 왔다.[4]

4. 특징

  • 부일여객의 주력/간판 노선이며, 부산광역시의 모든 급행버스들 중 최다 운행 인가대수[5] 및 일일 평균 승객수를[6] 보유중인 노선이다.[7]
  • 더불어 부산광역시의 모든 급행버스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배차간격이 10분 이내인 노선이다.[8]
  • 시내버스 운송약관 제16조. 승객들의 안전을 위하여 차량 내 물품 반입을 중량 10kg 미만, 규격 50X40X20cm3 미만으로 제한을 정확히 적용하고 있는 노선이니, 불편하더라도 적극 협조바란다. 실제로 차량 측면에 스티커를 붙여놓고 다니며, 이 노선의 특성상 캐리어 같은 짐을 가지고 타는 승객이 유난히 많다보니 다른 승객들이 이용하는데 불편이 많았던 게 사실이다.[9] 그래서 일반승객의 편의를 우선으로 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로 운송약관을 엄격히 준수하고 있다. 저 규격은 대부분 항공사의 항공기에 탈 때 객실로 가져가는 캐리어의 규격과 일치한다.[10]
  • 해운대구, 수영구 - 서구, 사하구를 잇는 대표적인 노선이며 동부산서부산을 잇는 노선이다. 비슷한 노선으로 31번, 200번307번 그리고 1011번이 있다. 특히 사하구와 남구, 수영구, 해운대구, 기장군을 잇는 유일한 노선으로 도시철도를 타면 굽이굽이 돌아가야 하는 구간을 직선거리로 이어준다. 하단역에서 해운대역까지 도시철도를 이용하면 1호선을 타고 서면역까지 가서 2호선으로 환승해서 해운대로 가야하는데 노선 굴곡이 상당히 심한 편이며 서면역은 항시 사람들로 북적거린다. 제 아무리 서면역이 개념환승 축에 들 정도로 환승이 간단하다고는 하지만 일단 환승한다는 것 만으로도 환승저항이 생기는 걸 감안해야 하며 서면역은 이용객이 엄청나게 많은, 대표적인 헬게이트 지역이다. 사하구에서 수영구해운대구까지 서서 가야 하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 당연히 부산역에서는 출퇴근 시간대에는 입석 당첨이다.
  • 해운대행 노선들이 그러하듯이 이 노선도 여름이 되면 피서객들로 인해 점심이나 심야시간에도 가축수송을 벌인다. 가뜩이나 사람 많은 노선인데 출퇴근시간에 피서객까지 끼게 되면 미어터짐 그 자체가 된다.[11] 심지어 이 노선은 22:00가 넘어서도 마치 출근시간대같은 풍경이 보이기도 한다. 경성대에 도착하면 아예 무정차통과를 하거나 이미 터져나가던 차가 더 터져나간다.
  • 서대시장 - 영주교차로 간을 오갈 때 부산터널을 경유하며 좌천삼거리 - 문현교차로를 오갈 때는 자성로를 경유하여 부산 도시철도의 이용률을 떨어뜨리는 노선 중 하나이다.
  • 급행버스인지라 요금을 일반버스보다 1.5배 가까이 받으므로 실제 운송수입금은 68번을 뛰어넘는다는 카더라 통신도 있었다. 다만 부산도 서울처럼 준공영제가 시행 중이고 덕분에 모든 노선의 수입금은 공동관리 및 공동배분되기 때문에 정확히는 추정할 수가 없다. 2017년 하반기 기준으로는 1일 대당 53만원을 벌어들여 전체 급행버스 중 3위를 기록했다.
  • 통학수요가 매우 많은 노선으로,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2년제 이상 대학교만 5개 학교가 된다.[12][13] 간접 연계가 되는 학교까지 합치면 더 많으며, 대표적으로 동아대 부민캠퍼스는 직접 이어주진 않지만 서대시장 정류장에 내려서 10분 정도만 걸어가면 금방 도착하니 간접적으로 연계된다. 주로 사하구에서 경성대나 부경대로 통학하는 수요와 해운대구, 수영구, 남구에서 동아대로 통학하는 수요 패턴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따라서 방학에는 수요가 크게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 1일 평균 총 1만 명이 넘는 승객이 이용하며 부산 급행버스 11개 노선 중 1일 평균 총 승객수 1만명이 넘는 유일한 노선이다. 또한 입석금지법 노선인 1011번의 고질적인 만차현상로 인해 1001번의 영도구 수요가 (특히 태종로 연선에서) 아직까지 정리되지 않은 것도 있다.[14]
  • 장산역을 경유하는 시내버스 노선들 중에서 115-1번, 200번과 더불어 배차간격이 가장 좋은 노선이다. 다만 2012년 5월 5일에 좌동에 있던 차고지가 없어지고 청강리공영차고지까지 노선이 연장되면서 배차간격도 미묘하게 늘어났다.
  • 부산광역시의 모든 급행버스 노선들 중에서 단독으로 운행하는 구간이 없다. 모든 구간을 타 노선들과 함께 다닌다.
  • 부산광역시의 모든 급행버스 노선들(1000번-2000번) 중에서 인가대수가 30대로 타 급행 노선들의 비해 많은 편이다. 토.일.공휴일에도 각각 26대, 27대로 많은 편이다. 또 첫차 출발 시간이 새벽 4시30분으로 1003번(새벽 4시20분 첫 차 출발) 다음으로 가장 빠른 노선이다.

4.1. 심야버스

  • 연장 이전에는 좌동에서 23:00 막차가 나간 후 하단 을숙도초등학교 막차 00:20으로 운행하여 늦게 다니는 편이었다. 심야버스가 아니라 그냥 급행일 뿐이었고 당시 58-1번과 더불어 심야할증이 적용되지 않은 심야노선이었다.
  • 결국 운행거리 연장 이후 22:00가 기점 막차가 되었다. 그리고 심야버스 운행이 시작되면서 3대가 20분 간격으로 22:20~23:00에 차고지에서 출발하는데 정차하는 정류장 개수는 주간노선과 100% 동일하다. 참고로 부산역~수영교차로와 송정터널~송정역 구간이 겹치는 1003번의 심야노선은 완행이다.

4.2. 연간 일평균 승차량

주간 노선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11418.71
2015년 11526.57 △ 107.86
2016년 9864.29 ▽ 1662.28
2017년 10147.71 △ 283.42
2018년 10537.28 △ 389.57
2019년 10010.28 ▽ 527.00
심야 노선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381.57
2015년 533.43 △ 151.86
2016년 1473.43 △ 940.00
2017년 977.29 ▽ 496.14
2018년 372.71 ▽ 604.58
2019년 365.57 ▽ 7.14

4.3.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01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낙동대로
서대시장 ▼▲ 괴정초등학교(대티역)
대영로
부산역 ▼▲ 영주동
중앙대로
▲ 부산진역
자성로
문현교차로 ▼
수영로
센텀시티역 벡스코 ▼▲ 수영교차로(수영역)
센텀남대로
올림픽교차로 ▼▲ 센텀시티역 벡스코
해운대로
장산역.해운대문화회관 ▼▲ 장산역.장산지하철역(14번출구)
양운로
대림1차아파트 ▼▲ 좌동재래시장
좌동순환로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 동부아파트
좌동로
송정해수욕장입구 ▼▲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해운대로
▲ 송정2휴먼시아
기장대로
오시리아역 ▼
동부산관광로
동부산관광단지 ▼▲ 동부산관광단지
기장해안로
▲ 동암후문
청연로
청강리공영차고지 ▼
기장대로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1001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낙동대로
서대시장 ▼▲ 괴정초등학교(대티역)
대영로
부산역 ▼▲ 영주동
중앙대로
▲ 부산진역
자성로
문현교차로 ▼
수영로
센텀시티역 벡스코 ▼▲ 수영교차로(수영역)
센텀남대로
올림픽교차로 ▼▲ 센텀시티역 벡스코
해운대로
장산역.해운대문화회관 ▼▲ 장산역.장산지하철역(14번출구)
양운로
대림1차아파트 ▼▲ 좌동재래시장
좌동순환로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 동부아파트
좌동로
송정해수욕장입구 ▼▲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해운대로
▲ 송정2휴먼시아
기장대로
오시리아역 ▼
동부산관광로
동부산관광단지 ▼▲ 동부산관광단지
기장해안로
▲ 동암후문
청연로
청강리공영차고지 ▼
기장대로
}}}}}}}}} ||

5. 시간표

2023.8 기준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급행버스 1001번 평일 시간표
{{{#!folding [시간표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tablebgcolor=#ffffff,#f58220> 청강리공영차고지 기점 출발 시간 을숙도초등학교 종점 출발
30 40 50 04시
00 09 18 27 36 45 54 05시
03 12 21 30 39 48 57 06시 15 26 37 48 58
06 15 24 33 42 51 07시 07 16 25 35 46 57
00 10 20 30 40 50 08시 08 19 30 41 52
01 12 23 34 45 56 09시 03 14 25 36 47 58
07 18 29 40 52 10시 09 20 30 40 50
04 16 28 40 52 11시 00 10 21 32 43 54
04 16 28 40 52 12시 05 16 27 38 49
04 16 28 40 52 13시 00 12 24 36 48
04 15 26 37 48 59 14시 00 12 24 36 48
10 21 32 43 54 15시 00 12 24 36 48
05 16 28 40 52 16시 00 12 24 35 46 57
04 16 28 40 52 17시 08 19 30 41 52
04 16 28 40 52 18시 03 14 25 36 48
04 16 28 40 51 19시 00 11 22 33 44 55
02 13 24 35 46 57 20시 06 17 28 39 50
08 19 30 40 50 21시 01 12 23 34 45 55
00 20 40 22시 05 15 24 33 42 51
00 (청강리 발 심야 막차 출발) 23시 00 09 18 27 36 45
24시 05 25 45 (을숙도초등학교 발 심야 막차 출발)
}}}}}} ||

6. 연계 철도역

7. 둘러보기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승학캠퍼스
<colcolor=#000,#fff> 교내진입 사하10
동아대입구 1001
2 16 68 123
126 128-1 138 338
구덕캠퍼스(동아대학교병원)
교내진입 서구5
동아대병원 167[A] 190[A] 중구1
동아대병원입구/구덕운동장 8 15 16[A] 40[A]
67 81[A] 161 168
서구1[A] 서구3[A] 서구3-1[A]
부민캠퍼스
정문앞 15 16 40 70
81 126[A] 161 190
부용사거리 96 103 113
[A] 단방향 경유 }}}}}}}}}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대연캠퍼스
교문 앞 10 20 22 24
27 39 131 155
남구2 남구10
경성대부경대역 1001 1003
40 41 42 51
83 83-1 108 남구1
LG메트로시티, 남부면허시험장 1006 1011
용당캠퍼스
교내 진입 남구10
교문 앞 10 68 134 138
138-1 155 583
동명대학교후문 1006 1011
}}}}}}}}} ||

파일:한국해양대학교 심볼.svg 한국해양대학교 경유 버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아치캠퍼스
급행 1006
일반 8 17 30 88
101 186 190[A]
다운타운 캠퍼스
시외 부산역-진주 심야[B]
급행 1000 1001[B] 1003[B] 1004
일반 2[B] 17 26 27
40 41 43 59
61 67 81
82 85 87 88
88-1[B] 101 103 134
167 171[B] 190[B] 508[B]
미음캠퍼스
급행 1005
마을 강서구12[C]
{{{#!wiki style="margin: -2px -8px; letter-spacing: 0.3px; font-size: 0.8em"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해운대해수욕장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0bfff><colcolor=#fff> 해운대해수욕장
해운대도시철도역
해운대시장
해운대구청
급행
일반
마을
}}}}}}}}}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역 경유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급행
일반
2회차
5-1후문
88-1회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6%"
171회차
}}}}}}}}} ||


[1] 토요일 27대 / 공휴일 26대 운행[2] 카카오맵 기준으로 76.3km이다. 노선 변경 이전에는 70km가 나왔는데, 카카오맵과 시당국에서 운행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이 다른 듯하다. 동부산공영차고지로의 연장 전(해운대신도시 경유 이전, 현 신도시시장에서 출발했을 당시; ~2007)에는 59.5km 가량되기도 했다.[3] 당시 1000번대 번호를 부여받은 좌석 출신 급행버스들은 옛 번호 순으로 배정받았다. 1000번(98번), 1001번(240번), 1002번(247번), 1003번(302번), 1004번(신설)[4] 정확히는 38번에 다니는 구형 로얄시티를 1011번 신차로 교체하고 1011번 다니던 유니버스가 1001번으로 이동, 40번에서 38번으로 뉴 슈퍼 에어로시티 2대가 이동한 것이다.[5] 배차간격도 가장 좋으며 인가대수 30대로 운행하는데 이 정도면 웬만한 일반버스 노선들보다 인가대수가 훨씬 많다. 당장 부일여객의 모든 노선 중 1001번이 가장 많은 차량을 운행하고 있다.[6] 1만 명을 넘기는 유일한 노선이다. 2위는 약 9,600명인 1003번, 3위는 약 6,500명인 1002번이다. 물론 여름철 성수기에는 1003번이 일일 평균 승객수가 더욱 높아진다.[7] 다만 운송수입금은 1003번이 더 높다. 부산역에서 해운대해수욕장으로 가려는 외지인들과 외국인 관광객들의 탑승비율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8] 1003번은 청강리 연장 이후 배차간격이 10분을 넘어서서 10~15분에 1대 꼴로 온다.[9] 물론 해운대해수욕장을 직접 연계하는 1003번에 비하면 약과지만 그래도 부산역과 해운대를 빠르게 이어주는 특성상 이쪽으로도 수요가 몰린다. 특히 서구청에서부터 수요가 발생하는 1003번과는 달리 저멀리 하단에서부터 출발하는 노선이라 더더욱 그렇다.[10] 이 제한을 적용하는 다른 노선으로는 307번, 1003번, 1004번, 2000번이 있다. 다만 307번, 1004번과 2000번은 차내 안내문만 부착되어있고 외부는 없으며, 2000번 버스는 부산 차적만 적용되고 하부 화물칸이 있는 거제 차적은 화물칸에 적재하는 조건으로 적용되지 않는다.[11] 특히 부산역에서 내린 외지인들이 해운대로 갈때 이 노선과 1003번으로 전부 몰린다.[12] 경성대학교, 동아대학교, 부산보건대학교, 부경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다운타운캠퍼스.[13] 다만 해양대 다운타운 캠퍼스는 계약학과와 평생교육 및 세미나를 위해 만들어진 곳이라 일반 학생과는 대부분 연관이 없는 곳이므로 1001번에 주는 영향은 미미하다.[14] 절영로 연선에서는 영선2동주민센터 정류장에서 어느정도 물갈이가 이루어지며 한진중공업보다는 1011번 승차에 성공할 확률이 조금 높기 때문에 어느정도 정리되었다. 1006번이 신설되면서 태종로 수요도 정리될 줄 알았으나 중간 정류장과 회차지를 잘못 선정하는 등 잘못된 노선 신설로 인해 아직 정리가 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