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0:26:09

광주신세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지역 법인이 운영하는 백화점에 대한 내용은 광주신세계백화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전국구 백화점
파일:롯데백화점 로고.svg 파일:현대백화점 로고.svg파일:현대백화점 흰색 로고.svg 파일:신세계백화점 영문 워드마크.svg파일:신세계백화점 영문 워드마크 흰색.svg
파일:갤러리아백화점 영문 로고.svg파일:갤러리아백화점 영문 로고 흰색.svg 파일:AK플라자 CI.svg파일:AK플라자 흰색 CI.svg 파일:NC백화점 로고.svg파일:NC백화점 로고 흰색.svg
지역백화점
파일:Cc97QYT.jpg 파일:대구백화점 CI.svg 파일:대동백화점 로고.svg
파일:행복한백화점 로고.png 파일:엠백화점 로고_crop.jpg
백화점 지역법인
광주신세계 대구신세계 대전신세계
동아백화점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백화점 위탁법인
경방 아라리오 송원 }}}}}}}}}

파일:신세계 영문 CI_좌우 White(2).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그룹사
오프라인 <colbgcolor=#fff,#191919>신세계 (신세계백화점 · 광주신세계 · 대구신세계 · 대전신세계) | 이마트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 노브랜드 · 신세계포인트) | 신세계디에프 | 신세계사이먼 | 이마트에브리데이 | 이마트24
온라인 SSG.COM (SSG PAY) | 지마켓 (G마켓 · 옥션 · 스마일페이) | 신세계라이브쇼핑 | 더블유컨셉코리아 | 신세계아이앤씨
패션/라이프 신세계인터내셔날 | 신세계톰보이 | 신세계까사
F&B SCK컴퍼니 | 신세계푸드 | 신세계L&B
개발/레저 신세계프라퍼티 (스타필드 · 신세계동서울PFV) | 신세계건설 (빌리브 · 아쿠아필드) | 조선호텔앤리조트 | 신세계센트럴시티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JW 메리어트 호텔 서울 · 영랑호리조트) | 신세계야구단
기타 시그나이트파트너스 | 마인드마크 (스튜디오329)
* 빨간색: 신세계 계열, 노란색: 이마트 계열
}}}}}}}}} ||
<colbgcolor=#e60000><colcolor=#ffffff> 광주신세계
Gwangju Shinsegae Co., Ltd.
파일:광주신세계백화점 로고.svg
정식 명칭 주식회사 광주신세계
영문 명칭 Gwangju Shinsegae Co., Ltd.
설립일 1995년 4월 10일([age(1995-04-10)]주년)
주소 광주광역시 서구 무진대로 932 (광천동)
업종명 백화점
기업 규모 대기업
상장 유무 상장 기업
상장 시장 유가증권시장 (2002년~ )
시가총액 2,419억원(2024)
매출액 1,795억원(2023)
영업이익 549억원(2023)
대표이사 이동훈
종목 코드 037710
웹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지분 관계4. 사업 내용5. 무산된 사업6.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광주신세계백화점 전경.jpg
광천사거리에서 촬영한 광주신세계백화점[1]

광주광역시 서구에 소재한 광주신세계백화점을 운영하는 광주 지역 법인이다.[2]

2. 역사

광주신세계는 지역 향토 백화점들이 그래도 아직은 잘나가던 1990년대 중반에 대기업으로는 드물게 수도권 외 지역에 진출한 케이스로, 1998년에 진출한 롯데백화점현대백화점보다 3년이나 먼저 광주에 진출했다. 현대백화점의 경우, 1995년에 오픈한 향토백화점인 송원백화점이 운영에 어려움을 겪자 15년간 위탁 운영하는 형식으로 진출했다. 하지만 상권이 쇠락해가던 구도심에 위치한 곳이라 15년이 지난 2013년에 추가 계약 연장없이 철수했고 현재는 NC백화점이 입점해서 영업중이다. 2015년에는 현대백화점이 다시 광주에 진출하기 위해서 신세계백화점 맞은 편 100m도 안되는 거리에 위치한 견본주택 부지를 팔라며 소유주인 한 건설업체에게 매입 제의를 했다는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으나, 이후 재진출 움직임이 없다가 2022년 임동 전남방직 - 일신방직 부지 재개발 사업에 참여하면서 더현대 광주라는 명칭으로 재진출을 공식화했다.

이는 현재 3대 백화점이 전부 있는 부산광역시보다 십수년 빠른 것이었다. 부산에 마지막에 들어온 신세계백화점의 경우 2009년에 들어왔다. 대신 규모만큼은 역대급으로 들어온 것이 함정이다. 그런데 반대로 보면 그만큼 광주에 경쟁 상대가 드물었다는 소리도 된다. 대구는 사실 오래전 1970년도에 신세계백화점이 입점하였지만, 소리소문없이 퇴점하였고 신세계백화점 대구점이 재개장하기 전인 2010년대 초중반까지도 루이비통, 구찌, 까르띠에 등을 보유했었던 대구백화점 같은 향토백화점이 있어 그 위세가 롯데백화점 대구점, 현대백화점 대구점과 경쟁상대가 될 정도로 꽤 강했었다. 또 부산은 롯데백화점 부산본점이 일찍 진출해서 향토백화점 몰락시키고 시장을 잡고 있었다. [3]

광주신세계는 지역 사회의 요청에 따라 세금을 지역 지자체에 납부하는 지역 현지법인 형태로 설립되었다.지금은 사라진 진로그룹 계열의 진로종합유통의 경우 청주점을 '청주진로백화점'이라는 별도의 법인으로 운영했으며, 대농그룹 계열의 미도파백화점도 춘천점은 ‘춘천미도파’라는 별도의 법인으로 운영하였다. 이에 따라 광주신세계는 신세계그룹의 백화점 부문이 아닌 별도의 계열사로 잡혀있고, 주식시장에도 2002년 별도로 상장되었다. 호남 지방의 현지법인을 표방하고 나온 기업이기 때문에, 당연하게도 광주 지역과 상생을 추구하는 편이다. 예를 들어 신세계그룹의 주거래 은행은 신한은행이지만, 광주신세계는 주거래 은행이 광주은행이다. 때문에 대기업 유통업체의 지방 진출 우수 사례로 꼽히고 있으며, 지방 진출을 꿈꾸는 대기업과 지방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지자체에 참조 케이스로도 거론된다.# 물론 그렇다고 아예 욕을 안먹는건 아니고, 여기도 대기업이라 지역 중소상인들 몰락시킨다는 비판은 있다. 대신 지역 시청을 배불리는 현지법인이라는게 그나마 방패가 되고 있는 형편이다.

어쨌든 이런 케이스 덕분에 이미 부산권에서 많은 매출을 가져가고 있는 롯데백화점과 여기서는 우수 사례였지만 부산에선 현지법인이 아닌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역시 지역 정치권과 시민 사회에서 현지법인 설립에 많은 압박을 받고 있다. 솔직히 광주랑 대구, 대전에도 현지 법인 설립했는데, 유독 부산만 안 그러는 걸 보면... 대구권에서도 현대백화점 대구점이 지역사회 기여도가 낮다는 비판이 종종 나온다.# 당초 현지법인 설립을 약속하고 대구에 진출한 현대백화점 대구점은 지역은행인 대구은행에 매출을 입금했다가 본사로 보내니 실질적인 현지법인 설립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대구신세계처럼 완전히 현지법인을 설립한게 아니라서 비판을 받기도 한다. 실제 대형 유통업체들의 지방 진출시 지자체의 건축 허가와 현지법인 설립이 연계되어 여기저기서 줄다리기가 벌어지고 있다.

현존하는 백화점들 중 광주신세계와 유사한 지역법인 케이스로는 대전의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와 2016년에 설립한 대구신세계 역시 현지법인으로 있다. 신규 오픈한 대전신세계 역시 현지법인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3. 지분 관계

지역 법인이란 말에 걸맞게 신세계그룹 계열이지만 이마트, 기타 신세계그룹 계열사와 지분 관계가 없다. 신세계백화점 의정부점을 운영하는 신세계의정부역사(주)만 지분 40%를 보유하고 있다.

그동안 광주신세계의 최대 주주는 이마트 계열의 수장인 정용진이었다. 이로 인해 광주신세계 법인은 신세계그룹 일가의 지배 구조와도 연관이 있는 등, 여러모로 신세계그룹 입장에서도 꽤 중요한 법인 중 하나로 취급되었다. 그러나 2021년 9월 14일 정용진의 광주신세계 지분 52.08%를 (주)신세계가 모두 인수하면서 (주)신세계는 (주)광주신세계의 지분 62.5%를 보유한 최대 주주가 되었다.

4. 사업 내용

4.1. 광주신세계백화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주신세계백화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유스퀘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스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무산된 사업

5.1. 광주신세계 특급호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주신세계 특급호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여담

  • 한때 여자 농구단 부천 하나원큐의 전신인 광주 신세계 쿨캣을 운영한 적도 있으나 광주에서 부천으로 연고를 이전한 다음 하나은행에 매각했다.
  •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사고가 일어나 건축물 잔해들이 전신주 고압선에 부딪히며 근처 광주신세계백화점, 유스퀘어를 비롯한 인근 건물이 정전됐다. 인근에 있는 유스퀘어 및 광주신세계백화점은 광주에서도 손에 꼽히는 중심지이자 시가지이다보니 고가에 분양되었으나 이번 참사로 물거품이 되어버렸다.

[1] 백화점 오른쪽 유스퀘어 문화관과 지상 1층으로 연결되어 있다. 뒷편에 이마트 광주점과는 지하 1층으로 왕래할 수 있으며 그곳에 백화점 신관이 존재한다.[2] 이마트 광주점도 광주신세계에서 운영했으나 2018년 12월 31일자로 (주)이마트로 이관했다.[3] 물론 출점 계획은 1979년 12월 서울 소공동 본점 개점 이후 바로 세워졌는데, 출점 계획 수립 이후 개점까지 16년이 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