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0 23:20:36

경원선/역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경원선
1. 본선2. 옛 경원선3. 광역전철

<rowcolor=#fff> 일러두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여객, 화물 취급
K KTX 필수정차 k KTX 선택정차
R SRT 필수정차 r SRT 선택정차
iC ITX-청춘 필수정차 ic ITX-청춘 선택정차
iM ITX-마음 필수정차 im ITX-마음 선택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필수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선택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필수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선택정차
M 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 m 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X 동해산타열차 정차 V V-train 정차
N S-train 정차 G G-train 정차
A A-train 정차
T 광역철도 급행 정차 t 광역철도 정차
H 화물취급 여객/화물 미취급
<rowcolor=#fff> 역 등급
관리역
보통역 운전간이역
배치간이역 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 을종위탁발매소
신호장 신호소
}}}}}}}}} ||

1. 본선

  • 2023년 11월 21일 기준[1]
  • 월정리역 이북은 강원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일반열차 정차역
ITX-청춘 필수정차(C) ITX-청춘 선택정차(c)
화물취급역 (F)
파일:GJLine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파일:Seoulmetro1_icon.svg 광역전철 정차역
경의·중앙선 급행 정차 (J) 수인·분당선 급행 정차 (B)
1호선 급행 정차 (G)
<rowcolor=#ffffff> ㎞ 역명 운행계통 등급 환승 노선 소재지
파일:GJLine_icon.svg 용산선과 직결 (왕십리 방면) 경부선과 직결 (서울 방면)
0.0 파일:GJLine_icon.svg 용산 龍山 CJ 파일:Seoulmetro1_icon.svg 경부선 용산구 서울특별시
0.8용산삼각선을 통해 경부선과 연결 (노량진 방면)
1.9 파일:GJLine_icon.svg 이촌 二村 J 파일:Seoulmetro4_icon.svg 서울 4호선
3.6 파일:GJLine_icon.svg 서빙고 西氷庫 F
5.5 파일:GJLine_icon.svg 한남 漢南
7.1 파일:GJLine_icon.svg 옥수 玉水 cJ 파일:Seoulmetro3_icon.svg 서울 3호선 성동구
8.9 파일:GJLine_icon.svg 응봉 鷹峰
10.3파일:SBLine_icon.svg 분당선 분기 (서울숲 방면)
파일:GJLine_icon.svg파일:SBLine_icon.svg 왕십리 往十里 cJB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2호선
파일:Seoulmetro5_icon.svg 서울 5호선
12.7 파일:GJLine_icon.svg파일:SBLine_icon.svg 청량리 淸凉里 CJB 파일:Seoulmetro1_icon.svg 서울 1호선 동대문구
파일:GJLine_icon.svg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중앙선 분기 (상봉 방면)
14.1파일:Seoulmetro1_icon.svg 서울 1호선 분기 (신설동 방면)
파일:Seoulmetro1_icon.svg 회기 回基 G 파일:GJLine_icon.svg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중앙선
14.9 파일:Seoulmetro1_icon.svg 외대앞 外大앞 G
15.7 파일:Seoulmetro1_icon.svg 신이문 新里門 G
17.1 파일:Seoulmetro1_icon.svg 석계 石溪 G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6호선 노원구
18.2파일:GyeongchunLine_icon.svg 망우선 분기 (상봉 방면)
파일:Seoulmetro1_icon.svg 광운대 光云大 G
19.3 파일:Seoulmetro1_icon.svg 월계 月溪
20.7 파일:Seoulmetro1_icon.svg 녹천 鹿川 도봉구
21.7 파일:Seoulmetro1_icon.svg 창동 倉洞 G 파일:Seoulmetro4_icon.svg 서울 4호선
23.4 파일:Seoulmetro1_icon.svg 방학 放鶴
24.7 파일:Seoulmetro1_icon.svg 도봉 道峰
25.9 파일:Seoulmetro1_icon.svg 도봉산 道峰山 G 파일:Seoulmetro7_icon.svg 서울 7호선
28.2 파일:Seoulmetro1_icon.svg 망월사 望月寺 의정부시 경기도
29.6 파일:Seoulmetro1_icon.svg 회룡 回龍 G 파일:ULine_icon.svg 의정부 경전철
31.2 파일:Seoulmetro1_icon.svg 의정부 議政府 G
교외선 분기 (송추 방면)
32.4 파일:Seoulmetro1_icon.svg 가능 佳陵 교외선
33.7 파일:Seoulmetro1_icon.svg 녹양 綠揚
35.3 파일:Seoulmetro1_icon.svg 양주 楊州 G 양주시
37.5 마전 麻田 F
40.9 파일:Seoulmetro1_icon.svg 덕계 德溪
43.5 파일:Seoulmetro1_icon.svg 덕정 德亭 GF
49.1 파일:Seoulmetro1_icon.svg 지행 紙杏 G 동두천시
50.1 파일:Seoulmetro1_icon.svg 동두천중앙 東豆川中央 G
51.5 파일:Seoulmetro1_icon.svg 보산 保山
53.1 파일:Seoulmetro1_icon.svg 동두천 東豆川 GF
55.6 파일:Seoulmetro1_icon.svg 소요산 逍遙山
59.7 파일:Seoulmetro1_icon.svg 청산 靑山 연천군
65.2 파일:Seoulmetro1_icon.svg 전곡 全谷
73.8 파일:Seoulmetro1_icon.svg 연천 漣川
77.4 신망리 新望里
84.4 대광리 大光里 F
88.8 신탄리 新炭里
94.4 백마고지 白馬高地 철원군 강원특별자치도

관할 본부 및 관리역 정보
  • 서울본부 : 용산 ~ 백마고지 (39개역)
    • 용산역 : 용산 ~ 한남 (4개역)
    • 청량리역 : 옥수 ~ 청량리 (4개역)
    • 망우역[2] : 회기 (1개역)
    • 광운대역 : 외대앞 ~ 회룡 (12개역)
    • 의정부역 : 의정부 ~ 백마고지 (18개역)

2. 옛 경원선

6.25 전쟁 직전인 1950년 6월 24일을 기준으로 한다.
역명 분기선 소재지
0.0 용 산 龍 山 용산선
효창선
경부선
서울특별시 용산구
3.6 서빙고 西氷庫
?.? 한강리[B] 漢江里
?.? 수철리[B] 水鐵里 서울특별시 성동구
10.4 왕십리 往十里
12.6 청량리 淸凉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18.2 연 촌 硯 村 경춘선 경기도 양주군
21.8 창 동 倉 洞
31.3 의정부 議政府
35.5 주 내 州 內
43.8 덕 정 德 亭
53.3 동두천[5] 東豆川
65.4 전 곡[6] 全 谷 경기도 연천군
74.0 연 천 漣 川
84.5 대광리[C] 大光里 강원도 철원군
89.0 신탄리[C] 新炭里
98.1 철 원 鐵 原 금강산선
103.1 월정리 月井里
113.1 가 곡 佳 谷 강원도 평강군
119.9 평 강 平 康
123.7 복 계 福 溪
134.6 이 목 梨 木
139.4 검불랑 劍佛浪
144.4 성 산 城 山
151.6 세 포 洗 浦
159.3 삼방협 三防峽 함경남도 안변군
163.2 삼 방 三 防
177.6 고 산 高 山
184.1 용지원 龍池院
192.2 석왕사 釋王寺
201.6 남 산 南 山
208.0 안 변 安 邊 동해북부선
212.9 배 화 培 花
219.6 갈 마 葛 麻 함경남도 원산시
223.7 원 산 元 山 함경선
원산항선

3. 광역전철

3.1. 수도권 전철

  • 용산 ↔ 청량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역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회기 ↔ 연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1호선/역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3-623호[2] 중앙선 및 경춘선에 있는 역이다.[B] 1944년 폐역[B] [5] 당시 대한민국 최북단 역이었다. 그리고 이 역은 구 동안역으로, 현재의 동두천중앙역이 아니다. 참고로 동두천중앙역은 휴전 직후에 만들어졌다.[6] 당시 북한 최남단 역이었다. 단, 경원선의 선로는 대한민국의 연천군 구간에도 깔려있기는 했다.[C] 현재는 경기도 연천군 관할이다.[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