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19 20:12:22

경부고속선/역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경부고속선
1. 본선2. 지선(연결선)
2.1. 시흥연결선2.2. 대전남연결선2.3. 대구북연결선2.4. 건천연결선
3. 지선(기지선)
3.1. 광명주박기지선3.2. 오송정비기지선3.3. 영동정비기지선

<rowcolor=#fff> 일러두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여객, 화물 취급
K KTX 필수정차 k KTX 선택정차
R SRT 필수정차 r SRT 선택정차
iC ITX-청춘 필수정차 ic ITX-청춘 선택정차
iM ITX-마음 필수정차 im ITX-마음 선택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필수정차 is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선택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필수정차 s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선택정차
M 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 m 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X 동해산타열차 정차 V V-train 정차
N S-train 정차 G G-train 정차
A A-train 정차
T 광역철도 급행 정차 t 광역철도 정차
H 화물취급 여객/화물 미취급
<rowcolor=#fff> 역 등급
관리역
보통역 운전간이역
배치간이역 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 을종위탁발매소
신호장 신호소
}}}}}}}}} ||

1. 본선

  • 괄호로 기재된 누계거리는 경부고속본선이 아닌 노선의 누계거리이다.
  • 기울어짐 글꼴로 기재 된 누계거리는 경부고속선 산하 연결선의 누계거리를 의미한다.
  • 회색으로 기재 된 누계거리는 다른 노선의 철도거리표 비고란에 본 노선의 기점 위치를 표기하였거나[1] 철도거리표에는 없으나 KTX가 실질적으로 다른 노선으로 분기되는 지점의 경우이다.
<rowcolor=#ffffff> ㎞ 역명 운행계통 등급 환승 노선 소재지
0.0파일:Seoulmetro1_icon.svg 시흥연결선을 통해 경부선과 직결 (금천구청 방면)
2.8 광명 光明 KTX 광명시 경기도
60.0수서평택고속선 분기 (평택지제 방면) 평택시
76.8 천안아산 天安牙山 KTX·SRT 파일:Seoulmetro1_icon.svg 장항선 아산시 충청남도
104.7호남고속선 분기 (공주 방면) 청주시
(흥덕구)
충청북도
105.5 오송 五松 KTX·SRT 충북선
135.9호남선 분기 (서대전 방면)[2] 대덕구 대전광역시
140.6 대전 大田 KTX·SRT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 대전 1호선 동구
214.4 김천(구미) 金泉(龜尾) KTX·SRT 김천시 경상북도
234.9대구북연결선을 통해 경부선과 연결 (서대구 방면) 칠곡군
267.5 동대구 東大邱 KTX·SRT 파일:Daegu1.svg 대구 1호선 동구 대구광역시
309.3건천연결선을 통해 동해선과 연결 (포항 방면) 경주시 경상북도
316.5 경주 慶州 KTX·SRT 동해선
346.5 울산 蔚山 KTX·SRT 울주군 울산광역시
398.2 부산 釜山 KTX·SRT 파일:Busan1.svg 부산 1호선 동구 부산광역시

2. 지선(연결선)

2.1. 시흥연결선[3]

역명 여객 화물 등급 분기선/교차선 소재지 노선 명칭
(14.9) 행 신[4] 幸 信 kT 경기 고양덕양구 경의선
(0.0) 서 울[5] 首 爾 KiMiSMTN 서울 용산구 경부선
(3.2) 용 산[6] 龍 山 KiCiMiSMTG
(17.7) 연결선(분기) 시흥연결선 서울 금천구
0.0 연결선
(경부선)
京釜線 경부선 시흥연결선
1.5 연결선
(경부고속선)
京釜高速線 경부고속본선 경기 광명시

2.2. 대전남연결선[7]

[8] 역명 여객 화물 등급 분기선 소재지 노선 명칭
(178.4) 옥 천 沃 川 m B 충북 옥천군 경부선
(182.9) 연결선(분기) 대전남연결선
0.0 연결선
(경부선)
京釜線 경부선 대전남연결선
4.2 연결선
(경부고속선)
京釜高速線 경부고속본선

2.3. 대구북연결선[9]

[10] 역명 여객 화물 등급 분기선 소재지 노선 명칭
3.5 신동연결선분기 경부고속본선 경북 칠곡군 대구북연결선
0.0 신동~지천간 도중분기 경부선
(308.2) 연결선(분기) 대구북연결선 경부선
(313.3) 지 천 枝 川 경부선
(318.9) 서대구 西大邱 kr 경부선 대구광역시 서구

2.4. 건천연결선

역명 여객 화물 등급 분기선 소재지 노선 명칭
309.3 건천연결선 경북 경주시 경부고속본선
0.0 (분기점) 경부고속본선 건천연결선
3.3 모 량 牟 梁 동해선

3. 지선(기지선)

3.1. 광명주박기지선

역명 여객 화물 등급 분기선 소재지
0.0 광 명 光 明 kt 경부고속본선 경기 광명시
1.4 광명기지 -

3.2. 오송정비기지선

역명 여객 화물 등급 분기선 소재지
오 송 五 松 kr 충북 청주흥덕구
0.0 고속선 분기 - 경부고속본선
0.3 오송기지 -

3.3. 영동정비기지선

역명 여객 화물 등급 분기선 소재지
김천(구미) 金泉(龜尾) kr 경북 김천시
0.0 고속선 분기 - 경부고속본선 충북 영동군
0.1 영동기지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5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5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호남고속선 (분기점) 비고: 경부고속선 기점 104.716km[2] 경부고속선 도심구간 개통 후, 국토부 철도거리표에서 삭제되었으나 서대전 경유 KTX는 변함없이 이 곳에서 분기하고 있다.[3] 괄호안은 서울역으로 부터의 누적거리이다.[4]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구내에 위치[5] 경부고속선을 경유하는 경부선 계통 KTX 열차 대부분의 시종착역이다. 물론 경부고속선의 기점은 엄연히 시흥분기점에 위치한 금천구청역이다.[6] 경부고속선을 경유하는 호남선 계통 KTX 열차 대부분의 시종착역이다. 2018년 7월 1일 시각표 개정으로 경부선 KTX는 서울역에서 시종착하도록 변경되었으며 이 역은 호남선과 전라선만 시종착하도록 변경되었다.[7] 도심구간 개통 이후 연결선 중간 선로가 철거되어 더 이상 고속철도가 지나갈 수 없지만 철도거리표에는 잔존하고 있다.[8] 괄호 부분은 경부고속선이 아닌 노선의 거리누계[9] 2022년 3월 31일부터 서대구경유 KTX가 이곳을 지나고 있다(신설 도심구간은 묘하게 서대구역을 빼고 건설되어 할수없이 이렇게 운행한다). 괄호부분은 경부고속선이 아닌 노선의 거리누계[10] 괄호 부분은 경부고속선이 아닌 노선의 거리누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