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AT 명령어(AT command) 또는 헤이즈 명령어(Hayes command)는 미국의 D.C. 헤이즈 협회(D.C. Hayes Associates)사에서 1978년을 전후해 개발한 전화 회선의 모뎀을 보다 쉽게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했던 통신 프로토콜이다.[1] 현재는 wifi,gps등 응용 및 실사용 범위가 매우 넓어졌다.[2]이 통신 프로토콜이 AT라는 명령어로 시작되다 보니 곧잘 AT 명령어(AT command)로 일컬어졌다.
'attention'의 머리글자인 에이티(AT)로 시작되는 문자열을 가리킨다. 'AT' 구문은 이처럼 응답테스트(answer test)로 기본적으로도 사용된다.
전화모뎀이 컴퓨터 통신의 주요 수단이었던 과거에는 일반 사용자도 종종 접할 수 있었으나, 전화모뎀이 시대의 뒤안길로 사라진 현재에는 임베디드 영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Wi-Fi, 블루투스, 3G, LTE 등 RF 모뎀/베이스밴드 제어에 사용되는 것이 대표적이며, 일부 임베디드 장치와의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 등에서 사용되며 명맥을 잇고 있다.
2. 사용 예
AT
OK
'AT' 명령어를 치면 정상 연결 상태라는 의미의 응답으로 'OK'가 회신된다. AT
OK
ATDT01410
CONNECT 14400
전통적인 전화 모뎀을 통해 전화번호 01410을 터치 톤 방식으로 다이얼한다. 전화 상대인 모뎀이 전화를 받았고, 14400bps (14.4kbps) 속도로 상대 모뎀과 연결되었다.3. 명령어
각 모뎀, 기기 제조사마다 AT 명령어를 독자적으로 확장하여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아래 중 AT+GMR과 같은 것은 Espressif사 MCU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로 표준이 아니다.3.1. 명령어 사용 예
아래 예시는 Espressif사 MCU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의 예시이며, 표준 AT 커맨드는 아니다.AT+CWJAP=["아이디", "비밀번호"]
AT+CIFSR [연결 상태]
AT+CIPSTART=["TCP", "인터넷.접속.주소", 80]
AT+CIPSTATUS [연결 상태]
4. 관련 문서
[1] The Rise and Fall of the Modem King,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By Victoria Shannon,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정보통신용어사전 >AT 명령어[2] 대표적인 AT 커맨드 "변종 세트" : Hayes AT Set 고전 모뎀 AT의 시초, 전화통신 기반 , SIM800/900 SIMCom GSM, GPRS 지원 (SMS, 전화 등) , ESP8266/ESP32 Espressif WiFi 전용, HTTP/TCP/IP 지원 , Quectel EC25 Quectel LTE 모듈용, GNSS 등 고급기능 ,u-blox GNSS GPS 위성 위치 추적 특화 ,Telit IoT 셀룰러 M2M 특화, 고급 보안 포함[3] [espressif사]AT Command Set » Basic AT Commands[4] [Espressif Systems] ESP-AT User G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