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fae710,#fae710><colcolor=#000,#000> 카봇 패트론S Carbot PatronS | |
<nopad> | |
구성원 | 카봇 패트론, 카봇 스키드 |
기체 특징 | 스쿨버스, 경찰차 |
사용 장비 | 미스터리 스틱 레이저 건 |
합체 | 카봇 슈퍼패트론 |
첫 등장 | 시즌 4 19화 (몬스터를 잡아라!) |
성우 | 김용준(패트론) 홍범기(스키드) |
1. 개요
우리는 카봇 긴급대 패트론S! |
패트론이 본체, 스키드가 흉부를 맏는다. 패트론은 "어린이의 안전을 책임지는 친절한 스쿨버스", 스키드는 "항상 웃는 얼굴의 카봇"이다.
2. 특징
패트론과 스키드가 합체한 2대 보호 합체 카봇. 패트론과 스키드의 능력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스키드가 차량 상태에서 패트론의 상체에 달리고 사이렌이 패트론 머리에 붙는 건 다이어 EX와 같다.[1]
펜타스톰과 다이어EX와 함께 합체 상태에서의 주 인격 담당 로봇과 합체시의 행동을 지시하는 로봇이 일치하는 합체로봇이기도 하다.
다이어EX와 합체하면 슈퍼패트론이 된다.
3. 구성원
3.1. 카봇 패트론
<colbgcolor=#fae710,#fae710><colcolor=#000,#000> 카봇 패트론 Carbot Patron | |
<nopad> | |
로봇 모드 | |
<nopad> | |
비클 모드 | |
비클 모드 | 스쿨버스[2] |
대표 색상 | 노란색 |
성별 | 남성 |
사용 기술 | 버블버블 팡 |
사용 장비 | 빔 머신건 미스터리 스틱 |
말버릇 | 그런데 말입니다. |
합체 | 카봇 패트론S 카봇 슈퍼패트론 |
첫 등장 | 시즌 4 16화 (Q라인의 등장) |
성우 | 김용준[3] |
난 어린이의 안전을 책임지는 스쿨버스, 패트론! |
진중하고 신뢰감 있는 말투의 스쿨버스 카봇. ‘그런데 말입니다~’하며 상황에 반전을 주는 말버릇이 있다. 원리원칙을 철저히 지키며, 원칙을 지키지 않는 친구들은 상냥하게 타이른다. 특기는 지팡이 ‘미스터리 스틱’으로 발사하는 비눗방울. |
날개는 있으나 그 날개를 이용한 비행능력은 없다.
4기 오프닝 곡 가사에 따르면 안전을 지키는 친절한 카봇이라고 한다.[6]
그리고 세이버 다음으로 등장한 단독 변신 버스로봇(차종은 미국에서 주로 쓰는 보닛형 버스).[7] 4기 16화에 스키드와 같이 등장.
같은 버스 변신 로봇인 세이버와 비교하면 세이버가 과거 90년대 슈퍼로봇의 향수를 불러올만한 듬직하고 강인한 인상이라면, 패트론은 최근 로봇만화의 추세에 걸맞은 날렵하고 늘씬한 형태를 하고 있다.
성격은 약간 스톰과 비슷하다.
3.2. 카봇 스키드
<colbgcolor=#194ad2,#194ad2><colcolor=#fff,#fff> 카봇 스키드 Carbot Skid | |
<nopad> | |
로봇 모드 | |
<nopad> | |
비클 모드 | |
비클 모드 | 경찰차[8] |
대표 색상 | 파란색 |
성별 | 남성 |
기체 특징 | 팬텀 러시 솔라빔 |
합체 | 카봇 패트론S 카봇 슈퍼패트론 |
첫 등장 | 시즌 4 16화 (Q라인의 등장) |
성우 | 홍범기[9] |
이 매력! 이 자신감! 나는 스키드! |
허세가 가득한 경찰차 카봇. 워낙 자신감이 넘쳐서 항상 허세를 부리며, 덕분에 사고를 치기도 하지만 그 허세가 매력인 친구이다. 특기는 빠르게 움직여 잔상을 남기는 ‘팬텀 러시’와 선글라스에서 발사하는 광선 ‘솔라빔’. |
4기 오프닝 곡 가사에 따르면 웃는 얼굴의 카봇이라고 한다. 하지만 막상 눈과 코는 디자인이 됐어도, 입은 적용되지 않아 무의미하다.
패트론 S로 합체시 흉부 장갑으로 변형한다. 4기 16화에 패트론과 같이 등장.
의외로 리프와 있으면 부끄러움을 탄다.[11][12]
4. 사용 기술
- 팬텀 러시
스키드, 패트론S의 기술. 매우 빠르게 움직이는 기술이다. 이 기술 덕에 스키드는 인간형 카봇 중에선 제법 빨리 달리는 편. 더구나 체구가 작은 편이라 더 돋보인다.[13]
- 솔라 빔
스키드의 전용 기술. 선글라스에서 광선을 발사한다.
- 미스터리 스틱
패트론, 패트론S의 무장. 스태프로 발사해서 비눗방울을 날려 목표 대상을 그 안에 가두는 능력이 있다. - 버블버블 팡
비눗방울을 가둔 뒤 비눗방울을 폭발시켜 소멸시키는 필살기. 패트론의 하차 이후 이 기술은 알카봇인 랩터쿵이 사용한다.
- 빔 머신건 → 레이저 건
패트론, 패트론S의 무장. 패트론이 사용 시엔 빔 머신건, 패트론S로 사용 시 상위호환으로 레이저 건으로 사용한다.
5. 작중 행적
5.1. 시즌 4
- 16화 : 첫 등장, 스키드는 QQ단의 트럭을 상대하다 잡히게 되었지만 패트론과 같이 차탄이 시계를 돌려 회수한 후 다시 소환되어 QQ단과 라인 4남매를 물리친다.
- 17화 : Q라인이 각종 명품들을 훔쳐 달아날 때 스키드가 먼저 추격했고 Q라인은 그림을 뺀 다른 유물들을 발사하여 훼손시키려 하나 패트론과 스키드는 그걸 재빨리 받아냈다. 그러나 한 도자기 속에 있는 G라인 부적의 강화판인 Q라인 부적에 의해 몸이 마비됐고 이후 패트론이 나머지 부분을 해결, 그리고 그림은 그린지 5일 밖에 안되는 평범한 그림인지라 사실상 QQ단의 자멸인 셈.
- 19화 : 패트론 S 첫 합체 후 현실에 나타난 진짜 몬스터를 퇴치한다.[14]차탄이 자기 대신 게임을 해달라고 할 때 놀라다가 스키드가 투덜대며 하다 재미들러서 먼저 가버렸다(...). 참고로 해당 에피소드는 모 게임 패러디에 가깝다.[15]
5.2. 시즌 5
6. 완구
6.1. 패트론S
7. 여담
- 쿵 시리즈에선 정식 출연은 아니지만 23화에서 패트론을 기반으로한 버스 모형이 나왔다.
미니 패트론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099,#099><tablebgcolor=#099,#099> | 시즌 4 등장 카봇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슈퍼패트론 | ||
패트론S | 다이어EX | ||
패트론ㆍ스키드 | 다이어ㆍ리프 | ||
기타 | |||
골드렉스 레스큐ㆍ트루 폴리스ㆍ우가바 캡틴 | |||
시즌 3 ← 시즌 4 → 시즌 5 |
[1] 다만 리프는 지붕이 분리되어 다이어EX의 활이 되는가 하면, 사이렌이 다이어의 정수리에 붙는다.[2] IC 버스 CE 시리즈 2003년형과 형태가 유사하다.[3] 카봇 스톰과 다르게 목소리가 차산과 더 가깝다.[16][4] 예를 들면 4기 19화에서 등장하자마자 그런데 말이야 스키드, 우리 지금 떨어지고 있어.라는 식으로.[5] 이게 어느 정도냐면 4기 19화에서 스키드와 같이 하늘에서 떨어지면서 등장할 때 놀라긴 커녕 침착했는데 다른 카봇들은 놀라서 변신하여 날아서 면했지만 스키드와 유일하게 놀라는 기믹도 없이 침착했다.[6] 헬로카봇 오프닝 곡 가사에 가장 인기있는 가사가 되었다.[7] 캅스는 단독 변신을 하지않는 합체파츠이므로 예외.[8] 포드 폴리스 인터셉터 유틸리티를 모티브로 하였고, 카봇 K-캅스의 스피드와 베이스 모델이 동일하다.[9] 과거 개콘코너 거지의 품격에서 허경환이 썼던 말투를 사용한다.왠지 홍범기 성우가 맡은 카봇들은 거의 특이한 말투들이 많다 특히나 시즌4 24화에서 오염된 강물 때문에 몸이 가려워지자 다이어가 워터 제트로 씻어주긴 커녕 오히려 또 빠뜨리자 "이 냄새, 이 가려움, 다이어... 나한테 왜이래...!"라고 한게 압권.[10] 도색은 트루, 루크와 같은 한국경찰 구도색. 모티브는 포드 익스플로러 5세대 초기형 모델이다.[11] 썩은 강물 에피소드에서도 같이 광산 입구를 막아서 리프가 "잘했어요, 스키드!" 라면서 손벽치기를 시전했다. 이때 "아니 이런, 나도 모르게 따라했네, 이거 쑥스러운데..." 라고 한건 덤.[12] 거미 에피소드도 마찬가지. 슈퍼 패트론이 거미줄에 묶여있을때 패트론이 솔라빔을 쏴서 거미줄을 제거하라 하지만, 그러고 싶지만 쏘면 리프가 다친다는 멘트를 했다.[13] 하지만 정작 팬텀 러시를 빼면 경찰 특유의 무장들이 없고(눈에서 발사하는 솔라빔이 있다 해도 이건 원래 다른 카봇들도 이론상 모두 가능한 기술이다.), 또 체구가 작다보니 자체 전투력에 있어서도 다른 경찰 카봇, 특히 스키드보다 먼저 나왔던 프론과 스카이보다 하위호환에 가깝다.[14] 사실 차탄이 게임을 하면서 걷자 앞에 절벽이 있는지 모르고 떨어져서 나무가지에 걸려 지원하였다. 운이 좋았으니 망정이지 그 나뭇가지가 아니었다면 차탄은 그대로 떨어져 죽었을 상황이었다![15] 아니면 이 게임의 위험성을 간접적으로 지적하려는 의도도 보인다. 자세한 내용은 이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