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Marshal 초대 영국원정군 사령관 존 프렌치 John French KP, GCB, OM, GCVO, KCMC, PC | |
| |
이름 | 초대 이프르 백작 존 덴턴 핑크스톤 프렌치 John Denton Pinkstone French, 1st Earl of Ypres |
출생 | 1852년 9월 28일 |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켄트주 리플 | |
사망 | 1925년 5월 22일 (향년 72세) |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켄트주 딜 | |
국적 |
|
복무 기간 | 1866년 ~ 1870년 (해군) 1870년 ~ 1921년 (육군) |
최종 계급 | 육군 원수 (Field Marshal) |
학력 | 해로우 스쿨 이스트먼 왕립해군사관학교 |
참전 | 마흐디 운동 보어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아일랜드 독립 전쟁 |
재임 기간 | 제3대 영국군 총참모장 |
1912년 3월 15일 ~ 1914년 4월 6일 | |
초대 영국원정군 사령관 | |
1914년 ~ 1915년 |
1. 개요
영국의 군인.2. 생애
켄트주 리플에서 해군 장교였던 존 트레이시 윌리엄 프렌치의 아들로 태어났다. 해로우 스쿨, 해군사관학교에서 교육받고 1866년 해군 장교로 임관했다. 전함 HMS 브리타니아, 프리깃 HMS 브리스톨에서 복무했으며 1870년 육군으로 전군했다.서퍽민병포병대 소속으로 경력을 시작했고 제8근위아일랜드후사르연대에 배치되었으나 제19후사르연대로 옮겼다. 여러 기병대에서 복무하다가 1884년 찰스 조지 고든을 구출할 부대로 차출되어 하르툼에서 아부클레아에서 전투를 치렀다. 이후 중령으로 진급하고 올더숏 기병대장이 되었다.
1889년 대령으로 진급하고 인도에서 복무하다가 스캔들에 곤혹을 치르고 제2차 보어 전쟁 당시 투입되어 기병대를 이끌고 종횡무진으로 활약했으며 파드버그 전투에서 승리를 거둬 일약 주목을 받게 되었다. 성마이클 성조지 훈장을 수여받았다.
전후 올더숏군 사령관, 원수가 되어 영국군 총참모장이 되었고 1차 대전 당시 영국 원정군 사령관이 되어 초반 밀리고 있던 협상군의 일원으로 몽스 전투에서 성공적인 지연전을 펼쳤다. 마른 전투에도 참가했다. 하지만 교착화된 전선에서 소극적인 지휘로 비판받고 더글러스 헤이그로 교체되었다.
이후 본토육군사령관을 거쳐 아일랜드 총독으로 발령받았으나 불합리한 정책으로 아일랜드인에게 많은 비판을 받았다. 1921년 모든 직책에서 물러났다. 1925년 방광암으로 사망했다.
3.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원수 Field Marshal/Admiral of the Fleet | |
육군 원수 | 허버트 키치너 | 존 프렌치 | 더글러스 헤이그 | |
해군 원수 | 존 피셔 | |
대장 General/Admiral | ||
육군 대장 | 허버트 플러머 | 에드먼드 앨런비 | 줄리언 빙 | 헨리 롤린슨 | |
해군 대장 | 바텐베르크의 루트비히 공자 | 존 젤리코 | 데이비드 비티 | |
중장 Lieutenant-General/Vice-Admiral | ||
육군 중장 | - | |
해군 중장 | - | |
소장 Major-General/Rear-Admiral | ||
육군 소장 | - | |
해군 소장 | - | |
준장 Brigadier/Commodore | ||
육군 준장 | - | |
해군 준장 | - |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윗 첨자 †: 전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