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14:33:47

요하너스 페르메이르

요하네스 베르메르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AMD RYZEN 4세대의 코드네임 Vermeer에 대한 내용은 AMD ZEN 3 마이크로아키텍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04년 네덜란드 가톨릭 방송 KRO가 네덜란드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 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네덜란드인 100명'을 선정
TOP 10
1위 2위 3위 4위 5위
핌 포르타윈 빌럼 1세 판오라녀 빌럼 드레이스 안토니 판레이우엔훅 에라스뮈스
6위 7위 8위 9위 10위
요한 크루이프 미힐 더라위터르 안네 프랑크 렘브란트 하르먼손 판레인 빈센트 반 고흐
11위~100위
11위12위13위14위15위
알레타 야콥스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아니 M. G. 슈미트 율리아나 여왕 요한 뤼돌프 토르베커
16위17위18위19위20위
알리다 보스하르트 안톤 필립스 프레디 하이네컨 하니 스하프트 빌헬미나 여왕
21위22위23위24위25위
바뤼흐 스피노자 톤 헤르만스 클라우스 폰암스베르크 요한 판올덴바르네벌트 마르코 반 바스텐
26위27위28위29위30위
핏 피터르손 헤인 요프 던아윌 얀 레이흐바터르 파니 블랑커르스쿤 판코턴 언 더비
31위32위33위34위35위
후고 그로티우스 요한 더빗 안토니 포커 에뒤아르트 데커르 리페비스터펠트의 베른하르트 공자
36위37위38위39위40위
빔 콕 마우리츠 코르넬리스 에스허르 마르코 보르사토 에릭 하젤로프 룰프제마 티에스토
41위42위43위44위45위
베아트릭스 여왕 티튀스 브란츠마 코르넬리스 렐리 한스 테이우언 요서프 륀스
46위47위48위49위50위
레온틴 판모르설 빌럼 콜프 홋프리트 보만스 헨드릭 A. 로런츠 아벌 타스만
51위52위53위54위55위
요프 판던엔더 안드레 판다윈 요스트 판던폰덜 리누스 미헬스 미스 바우만
56위57위58위59위60위
빌럼 바런츠 페르디난트 도멜라 니우언하위스 뤼트 뤼버르스 얀 틴베르헌 빔 소네벌트
61위62위63위64위65위
요커 스밋 프리츠 볼케스테인 히에로니무스 보스 조니 크라이캄프 마르하 클롬페
66위67위68위69위70위
요하너스 페르메이르 딕 브뤼나 알베르트 플레스만 요프 주테멀크 헬라 하서
71위72위73위74위75위
토마스 아 켐피스 윌리엄 3세 케나우 시몬스도흐터르 하셀라어르 요하너스 디데릭 판더르발스 부보 오컬스
76위77위78위79위80위
아나 마리아 판스후르만 헤르만 부르하버 루드 굴리트 모니크 판더번 프레이크 더용어
81위82위83위84위85위
안톤 픽 바우데베인 더그로트 빌럼 프레데릭 헤르만스 피터르 옐러스 트룰스트라 알버르트 헤인
86위87위88위89위90위
파울 더레이우 약 P. 테이서 얀 볼커르스 핏 몬드리안 시몬 스테빈
91위92위93위94위95위
하윌라우머 흐룬 판프린스테러르 륏허르 하우어르 하리 뮐리스 아브라함 카위퍼 마르턴 트롬프
96위97위98위99위100위
빔 칸 폴 버호벤 이자벨 드 샤리에르 람서스 샤피 아버 렌스트라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
요하너스 페르메이르
Johannes Vermeer
파일:요하네스 베르메르.jpg
세례일 1632년 10월 31일
네덜란드 공화국 델프트
사망 1675년 12월 15일 (향년 43세)
네덜란드 공화국 델프트
국적
[[네덜란드 공화국|]][[틀:국기|]][[틀:국기|]]
직업 화가
가족 아내 카타리나 볼너스(1653년 결혼)
자녀 11명
종교 가톨릭[1]

1. 개요2. 생애3. 평가 및 기타

[clearfix]

1. 개요

렘브란트와 함께 네덜란드의 황금시대라고 하는 17세기를 대표하는 화가 중 하나로 델프트에서 태어나 활동하다 세상을 떠났으며, 작품은 35점으로 많지 않은 편이다.

'요하네스 베르메르'나 '얀[2] 베르메르'라는 표기도 쓰인다.

2. 생애

1653년 21세의 나이로 성 루가 길드라는 화가 조합에 가입했는데, 화가 조합에 등록하려면 장인에게 6년 이상 그림을 배워야 한다는 규정이 있었기에 늦어도 15세 때부터 그림을 배웠으리라고 추정된다. 1655년에 아버지가 사망한 뒤 점포를 이어받아 그림을 매매하거나 감정하는 일을 하는 한편 여관도 운영했고, 방직공 일도 했다고 전한다.[3] 1672년에 네덜란드와 프랑스 사이에 전쟁이 벌어지는 바람에 미술 시장이 무너져 주요 수입원이었던 그림 매매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워졌으며, 1675년에 심장 발작으로 사망했다. 사후 델프트의 구교회에 묻혔다.

상세한 것은 아버지는 죽는 날까지 그렸다…'자식 15명' 키운 비운의 거장 참조.

3. 평가 및 기타

생전에는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지만 19세기 중엽에 이르러 정밀한 구도의 그림을 밝고 깊은 색채로 그린 거장으로 재평가되었으며, 그중에서도 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 우유를 따르는 여인이 대표작으로 꼽힌다.

상술했듯 상인 일도 했기 때문인지 상인 계층의 일상을 소재로 삼은 작품이 많으며, 청금석을 주원료로 한 울트라마린[4]을 굉장히 좋아했다고 한다. 실제로도 그의 작품에는 청색 계열의 색이 자주 보인다. 다만 재료가 보석인 만큼 값이 매우 비쌌기 때문에 울트라마린을 구입하는 데에는 적지 않은 돈이 필요했고, 그 과정에서 진 빚도 많다고.

아내 카타리나와의 사이에서 11명의 자녀를 낳았는데, 사후에는 첫째 딸인 마리아가 아버지처럼 그림을 팔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 때문에 현재 베르메르의 작품이라고 전해지는 것 중 일부는 사실 그녀가 그린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도 있다는 듯.
  • 영화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는 1999년 트레이시 슈발리에의 장편 소설 <진주 귀고리 소녀>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 베르메르의 일생과 작품 세계를 다룬 국내 서적으로 전원경 박사가 쓴 <페르메이르 : 빛으로 가득 찬 델프트의 작은 방, 2020>이 있다


[1] 개신교 신도였으나 결혼 전 아내와 같은 가톨릭으로 개종했다.[2] 요하네스의 애칭.[3] 집안에 갚아야 할 빚진 돈이 있고 가족들을 먹여 살려야 했기 때문이다. 베르메르 외에도 네덜란드의 화가들은 경제적인 사정상 그림만 그려서는 생계를 유지할 수 없어 다른 일을 겸한 경우가 대부분이다.[4] 현대에는 대부분 합성 원료로 만든다.